AI에 1,793억원 추가경정예산안 의결

AI에 1,793억원 추가경정예산안 의결
[이미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Editor Pick
- 공공·의료·제조 분야 ‘AI 대전환’ 본격 추진 총 656억원 예산 투입
- 500억원 AI혁신펀드 추가 조성...AI 분야 유망 기업 육성
-정보통신기반시설 대상 고위험 취약점 관리체계 강화 67.4억원
-생성형 AI 기반 침해 대응체계 50억원, 인터넷 경로 보안체계 30억원

국회 본회의서 총 1,793억원 규모의 인공지능(AI) 분야 제2회 추가경정예산안이 지난 4일 의결됐다.

이번 제2회 추경은 AI 전환과 국민 체감도 제고에 초점을 맞춰 AI 활용 확산을 통한 우리나라 산업을 고도화와 공공서비스 혁신, 국가 정보보호체계 강화 내용을 담고 있다.

첫째, 공공·의료·제조 분야에 AI를 접목하는 ‘AI 대전환’을 본격 추진한다. 총 656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공공부문에 AI 접목을 위한 ‘공공AX 프로젝트’(150억원), AI기반 의료 예후관리서비스 개발(40억원), 제조업의 기술고도화를 위한 AX실증 플랫폼 구축(40억원), 피지컬AI 핵심기술 POC(Poof of Concept)(426억원) 등을 지원한다.

공공AX 프로젝트는 AI 활용 수요가 있는 부처와 민간기업이 협력해, 부처의 수요와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업이 AI 솔루션을 개발·실증하는 방식으로, 개발된 AI 솔루션은 추후 수요 부처와의 협의를 통해 현장 도입 및 확산을 추진할 예정이다.

아울러, 움직이는 인공지능인 피지컬AI에 대한 글로벌 기술확보 경쟁이 심화되는 상황에서, 피지컬AI 원천기술을 조속히 확보하기 위한 현실데이터 수집체계 구축, AI 모델 설계 등의 기반조성도 지원한다.

둘째, AI의 산업화 및 사업화 확대를 위한 투자도 강화한다. 2025년 본예산과 지난 1차 추경을 통해 확보한 AI혁신펀드(1,000억원) 외에 500억원 규모의 AI혁신펀드를 추가로 조성하여 민간의 적극적인 투자를 유도하고, AI 분야 초기 창업기업을 비롯한 유망기업의 육성에 박차를 가한다.

국산 AI반도체(NPU) 분야 역시 조기상용화 지원을 위한 1차 추경(494억원)에 이어 2차 추경에도 지속적인 의견수렴 과정에서 추가로 발굴한 수요를 사업화하여 반영했다. 이번에는 최신 AI모델과의 호환성 확대 및 설계에 필수 고비용 설계 IP 활용 등 제품 고도화를 지원(300억원)해 기업의 수요처 확보에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할 계획이다.

셋째, 국민의 삶과 직결된 정보보호를 강화하고, 청년·취약계층의 AI역량 제고를 위한 지원을 확충한다.

주요 정보통신기반시설 대상 고위험 취약점 관리체계 구축과 함께 고위험 산업군 대상 정보보호관리체계 특화 인증항목을 개발하여 국가 중요시설 등의 보호‧점검 수준을 한층 강화한다(67.4억원). 아울러, 신속한 사이버 침해사고 분석‧대응을 위한 생성형 AI 기반의 침해 대응체계를 구축하고(50억원), 대규모 인터넷 장애 방지를 위해 인터넷 경로 보안체계(RPKI*)를 구축한다(30억원).

또한, 국민 누구나 AI를 배우고 활용할 수 있도록 전국 단위의 ‘(가칭)AI디지털배움터’를 구축하고(66억원), 청년 대상 맞춤형 AI‧SW 교육을 확대(34억원)함으로써 디지털 포용사회 실현에도 기여할 계획이다.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은 “이번 2회 추경은 공공, 산업, 민생 전반에서 인공지능이 실질적인 혁신을 이끌도록 하기 위해 금년 내에 집행가능하며, 가장 시급히 추진해야 하는 사업 중심으로 편성”하였으며, “정부는 1차 추경에서 확보한 핵심 인프라를 바탕으로, 2회 추경을 통해 AI대전환을 더욱 속도감 있게 뒷받침할 것”이라고 밝혔다.

중기부, AI 기술혁신 보급 3,590억원

중소벤처기업부는 2025년 제2회 추가경정예산 9,258억원이 확정됐다. 이중 AI 기술혁신 보급 및 활용 확산에 3,590억원, 심층기술(딥테크) 등 유망창업기업 창업생태계 기반 강화 등에 2,540억원을 집중 지원한다. 


이 대통령 “AI시대 고속도로 구축...아낌없이 지원 투자할 것”
💡Editor Pick - 울산 AI 데이터센터 출범식 참석 : 미포 국가산업단지에 100MW(메가와트) 규모 인공지능(AI) 전용 데이터센터 구축 예정 - AI 글로벌 협력 기업 간담회 : AI 시대 준비하기에 따라 성장 또는 퇴보 - 최태원 SK 회장 : 대한민국의 성장 위해 AI 필수 울산 AI데이터센터 출범식 참석…“AI 개발 집중 지원” 이재명
이 대통령, “AI 등 첨단산업 100조원 투자할 것”
💡Editor Pick - 제21대 대통령 취임, AI3대 강국 진입 대선 공약 - 대규모 국민펀드 조성하여 국내 첨단저략산업에 100조원 집중 투자 - AI 데이터센터, 국가대표 거대언어모델, AI 접근권 이재명 대통령이 다시 성장하는 나라를 위해 인공지능(AI), 반도체 등 국내 첨단전략산업에 100조원을 집중 투자하겠다고 밝혀 새 정부가 앞으로 실천해나갈 정책 과제에 관심이
하정우 AI수석, ”과학기술 인재 육성, 국가 책무 강화에 의미 있어”
💡Editor Pick - 새정부 AI 수석 과학기술 인재 육성 중요성 인식, 지원 예산 확대 전망 - 인재 처우 개선은 첨단 과학기술로 세계를 이끌기 위한 첫 걸음 ‘이공계 인재 육성’ 국가 책무 강화…정부, ‘이공계지원 특별법’ 의결 정부가 과학기술 인재 육성을 중요하게 인식해 인재 육성 지원 예산이 늘어날 전망이다. 19일 첫

Read more

북한 혹은 중국 해킹 조직 턴 핵티비스트들, 외신과 인터뷰

북한 혹은 중국 해킹 조직 턴 핵티비스트들, 외신과 인터뷰

💡Editor's Pick - 외신 테크크런치, 세이버와 사이보그 인터뷰 - 신원과 해킹 기법은 한동안 미공개일 예정 - 앞으로도 이어질 '해커 해킹'...불법이긴 하지만 얼마 전 데프콘(DEF CON)에서 공개된 8.9GB 데이터 때문에 잠시 소란스럽다가 갑자기 잠잠해진 일이 있었다. 이 데이터는 세이버(Saber)와 사이보그(cyb0rg)

By 문가용 기자
[TE머묾] 안 전하니 안전하니?

[TE머묾] 안 전하니 안전하니?

💡Editors Pick - 보안, 스스로를 좀 더 드러내야 - 위험만 전파하니 효과 미미... 즐거움을 전파하면 어떨까 - 어떻게 해서든 일반인들에게 다가가는 게 보안의 필연 요즘 한국에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 것일까? 연일 대형 보안 사고 소식이다. 주요 통신사와 금융 조직, 굵직한 정부기관들과 전 국민이 알 법한 민간 사업체들까지, 그간 만만히

By 문가용 기자
북 추정 해킹 실체 공개, 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 분석 보고회 개최

북 추정 해킹 실체 공개, 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 분석 보고회 개최

💡Editor's Pick - 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 김수키 국내 해킹자료 분석 및 시사점 발표 - 국내 해킹 자료 공개한 프랙 문서 내용 보강, 새로 발견된 추가 내용 공개 최근 국내 정부와 기업을 해킹한 북한 김수키 추정의 공격 실체가 공개된다. 고려대학교 정보보호대학원은 22일 오후 3시 고려대학교 안암캠퍼스 정운오교양관 404호에서 'Kimsuky

By CheifEditor
개인정보위, SK텔레콤 해킹 사태 제재안 27일 상정

개인정보위, SK텔레콤 해킹 사태 제재안 27일 상정

💡Editor's Pick - 집중조사 TF 가동…결정은 비공개 회의서 - 과징금 최대 매출액의 3%…업계 ‘초미 관심’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개인정보위)가 SK텔레콤 대규모 고객 유심(USIM) 정보 해킹 사태에 대한 제재 수위를 이르면 오는 27일 결정할 전망이다. 개인정보위는 21일 “27일 열리는 전체회의에서 관련 제재안을 상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SK텔레콤은

By CheifEdi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