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 '나의건강기록' 앱 의료정보 한 눈에 '확인'

보건복지부, '나의건강기록' 앱 의료정보 한 눈에 '확인'
[이미지 보건복지부]
💡
Editor’s Pick
- 보건복지부 국가 의료정보 중계 플랫폼 연계 완료
- 상급종합병원 등 1264개 기관 참여, 앱에서 진료·투약 등 정보 확인
- 국가건강검진 결과와 자녀 예방접종, 24시간 운영 병원·약국 정보 확인

‘나의건강기록’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자신의 의료 정보를 직접 확인할 수 있게 됐다.

보건복지부는 전국 47개 상급종합병원과 ‘건강정보 고속도로’ 플랫폼 연계를 완료했다며 환자들이 ‘나의건강기록’을 통해 의료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고 27일 밝혔다.

‘건강정보 고속도로’는 공공기관과 의료기관이 보유한 개인의 진료·투약·검진·예방접종 정보를 환자가 한 곳에서 조회·활용할 수 있도록 구축된 국가 의료정보 중계 플랫폼이다. 이달 기준 상급종합병원 47곳을 포함해 종합병원 53곳, 의원급을 포함한 의료기관 1천164곳 등 총 1천264개 기관이 참여하고 있다.

‘나의건강기록’ 앱은 개인의 진료 이력과 검사 결과, 혈압·혈당 수치, 처방 내역 등을 조회할 수 있다. 국가건강검진 결과 확인과 자녀 예방접종 일정 관리 기능도 제공한다. 24시간 운영하는 병원·약국 현황을 안내해 긴급 상황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신꽃시계 복지부 첨단의료지원관은 “이번 연계를 통해 모든 상급종합병원 의료 정보를 환자 본인이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됐다”며 “앞으로 대상 범위를 전체 종합병원으로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의료기기, 미국시장 진출하려면 사이버 보안부터 챙겨야”
💡Editor’s Pick - 의료기기 출시 전 사이버 보안 적용해 환자 치료 중단되지 않도록 해야 - 의료기기 제조사, 미국 진출 시 사이버보안 엔지니어링 법 적용 받아 미국 시장에 진출하려는 의료기기 제조사는 사이버보안 엔지니어링 법을 적용받아 의료기기의 사이버 보안을 강화해야 한다. 의료기기 출시전부터 사이버 보안을 적용해 의료기관 임상 현장에서 환자 치료가
이희조 고대 교수 ”의료분야, 고위험 취약점 80%...취약점 관리 필수”
💡Editor’s Pick - 의료분야, 고위험 취약점 80%...SBOM 연계한 VEX로 취약점 관리해야 - 미국, SBOM 자동 생성 및 검증과 취약점 검증하는 플롯폼 VEX로 재편 현대 의료기기는 복잡한 사이버물리시스템으로 돼 있다. 혈압, 심전도, 센서와 펌프, 로봇 등 물리적 요소를 비롯해 펌웨어, 제어 알고리즘, AI 기반 진단 모듈 등 사이버 요소,

Read more

SKT, 개인정보 유출 1348억원 과징금 폭탄 받아

SKT, 개인정보 유출 1348억원 과징금 폭탄 받아

💡Editor’s Pick - SKT, 1천347억9천100만원 과징금과 960만원의 과태료 부과 - 4월 SKT 코어·관리망 침투, 총 2,324만4,649명 유출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가 사상 최대 규모의 이동통신 개인정보 유출사고와 관련해 SKT에 1천347억9천100만원의 과징금과 960만원의 과태료를 부과했다. 개인정보위는 27일 제18회 전체회의에서 SKT의 개인정보 보호법 위반 행위에 대한 제재처분을 의결하고, 유심(USIM) 정보

By CheifEditor
압축 해제, 패츠 트래버설 취약점 주의!

압축 해제, 패츠 트래버설 취약점 주의!

💡Editor’s Pick - 공격자가 상대경로 사용해 파일 수정, 생성 등 공격할 수 있어 - 사용자가 파일 실행하지 않고 압축 해제만으로도 공격자 악용 가능 사용자 입력을 검증하지 않아 발생하는 패츠 트래버설(Path Traversal) 보안 취약점이 발견됐다. 취약점 공격에 피해를 입지 않도록 기관과 기업은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이 취약점은 공격자가 상대경로

By CheifEditor
'언더그라운드' 랜섬웨어 갱단 '묻지마' 타깃 공격

'언더그라운드' 랜섬웨어 갱단 '묻지마' 타깃 공격

💡Editor’s Pick - 국가와 산업, 기업 규모 상관없이 기업 표적 공격...전세계 확산 추세 - 로컬 환경서 남은 흔적만으론 복호화 할 수 없도록 랜섬웨어 설계 언더그라운드(Underground) 랜섬웨어 갱단이 대한민국을 포함, 전세계 산업 기업들을 타깃으로 랜섬웨어 공격을 가하고 있다. 기업과 기관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언더그라운드 조직의 랜섬웨어는 2023년 7월

By CheifEditor
행안부, '재난정보 전달체계 개선 대책' 발표

행안부, '재난정보 전달체계 개선 대책' 발표

💡Editor’s Pick - '지자체-마을-취약계층' 등 3중 전달망 연결, 재난문자 중복 최소화 - 위급한 상황, 휴대전화 최대볼륨 울리는 긴급재난문자 발송으로 개선 정부가 지자체·마을·취약계층을 연결하는 다층적 재난정보 전달체계를 마련한다. 국민이 재난 상황에서 안전 정보를 받을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그동안 재난문자는 모호한 내용·과다 발송·고령층 미수신

By CheifEdi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