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추정 해커 역추적한 해커들, “불법이지만 폭로해야 했다”

북 추정 해커 역추적한 해커들, “불법이지만 폭로해야 했다”
[이미지: AI Generated by TheTechEdge]
💡
Editor Pick
- 국가 배후 해커 일상과 운영 방식 엿볼 수 있는 새로운 단서 제공
- 국가 차원의 공격자조차 다른 해커의 표적이 될 수 있는 사례
- 불법 해킹과 내부 폭로라는 경계가 가져오는 윤리적 논란

북한 추정 해커 시스템에 접근한 ‘세이버(Saber)’와 ‘사이보그(cyb0rg)’는 ‘프랙(Phrack)’ 잡지에 자신들의 조사 내용을 기고하며 북 추정 해킹 활동을 구체적으로 드러냈다. 사이버 작전과 관련된 정황, 해킹 도구, 인프라 등을 발견했고, 이를 공개했다.

사이버 보안 업계에서는 북한이 암호화폐 탈취, 원격 IT 노동자 위장, 사이버 첩보 등 다양한 해킹 활동을 통해 핵무기 개발 자금을 마련하고 있다는 사실을 꾸준히 추적해왔다. 그러나 이번 사례는 “해커가 해커를 해킹한” 드문 경우로, 실제 국가 배후 해커의 일상 활동과 운영 방식을 엿볼 수 있는 새로운 단서를 제공했다.

이들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접근했는지는 공개되지 않았다. 같은 기법을 통해 국가 배후의 다른 시스템에도 침투할 수 있다고 판단해 방법은 밝히지 않았다는 것이다. 다만, 접근 과정에서 한국과 대만 기업을 대상으로 한 김의 실제 공격 정황을 확인했으며, 피해 기업에 이를 알렸다고 설명했다.

이번 사건은 국가 차원의 공격자조차 다른 해커의 표적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줬다. 또한 북한 해커들의 구체적 활동 내역이 외부에 노출된 드문 사례로, 보안 연구자들에게는 탐지와 방어에 있어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동시에 불법 해킹과 내부 폭로라는 경계가 가져오는 윤리적 논란도 함께 불거졌다.

세이버와 사이보그의 행동은 “불법이지만 필요했다”는 양면성을 드러낸다. 이들의 폭로가 북한의 사이버 작전에 어떤 차질을 줄지는 아직 알 수 없지만, 국제 보안 커뮤니티에는 분명 의미 있는 파급력을 남겼다는 평가가 나온다.


북한 혹은 중국 해킹 조직 공략한 해커, 외신과 인터뷰
💡Editor’s Pick - 외신 테크크런치, 세이버와 사이보그 인터뷰 - 신원과 해킹 기법은 한동안 미공개일 예정 - 앞으로도 이어질 ‘해커 해킹‘...불법이긴 하지만 얼마 전 데프콘(DEF CON)에서 공개된 8.9GB 데이터 때문에 잠시 소란스럽다가 갑자기 잠잠해진 일이 있었다. 이 데이터는 세이버(Saber)와 사이보그(cyb0rg)라는 ‘화이트햇 해커’ 두
한국 정부가 위험하다 해서 알아보니...아직까지 주인공은 해킹 조직
💡Editor’s Pick - 데프콘 현장에서 한 APT 조직의 내부 정보 유출 - 이 APT 조직은 북한이나 중국과 관련 있을 가능성 높음 - 한국 국방방첩사령부와 대검찰청을 턴 APT 조직 화이트햇 해커들을 위한 올림픽이라고 불리는 ‘데프콘(DEF CON)’에 데이터 폭탄이 떨어졌다. 보안 잡지 프랙(Phrack)을 통해 두 명의 해커가 한
드디어 공개된 ‘킴’의 데이터...피해 정황만 한가득이긴 한데
💡Editor’s Pick - 고려대학교 정보보호대학원이 8.9GB 분석 완료 - 행안부, 외교부, 통일부, 해수부, LG유플, 한겨레, KT가 당해 - 피해 정황 있지만 실제 피해 사실은 당사자들이 직접 확인해야 세이버(Saber)와 사이보그(cyb0rg)라는 핵티비스트들이 데프콘(DEF CON)에서 공개한 8.9GB 데이터에 대한 분석을 고려대학교 정보보호대학원 측에서 완료했다. 이

Read more

LG U+, 경찰청과 보이스피싱 긴급 대응 체계 구축

LG U+, 경찰청과 보이스피싱 긴급 대응 체계 구축

💡Editor Pick - ‘AI 활용 민생범죄 예방 업무협약’ 체결…피싱 차단와 대응 체계 구축 - 경찰청 연계해 전국 매장 ‘현장 대피소’로 운영…‘익시오’ 활용 대응 LG유플러스가 경찰청과 손잡고 보이스피싱 근절에 나선다. 피싱·스미싱 피해를 예방·차단하고, 피해 고객을 돕기 위한 ‘현장 대피소’ 등 긴급 대응 체계를 구축한다. LG유플러스와 경찰청은

By CheifEdi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