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원 SK회장, "정부, AI원스톱 바우처 사업 확대해 달라"

최태원 SK회장, "정부, AI원스톱 바우처 사업 확대해 달라"
최태원 SK회장이 20일 AI글로벌협력기업간담회서 제언하고 있다.
💡
Editor Pick
- 최태원 SK회장 AI 산업 발전 위해 5가지 제언
- 전체 공공 시장의 25% : AI 전환 발주 가능
- 퓨리오, 카카오, LG AI 연구원 등 산업의 중요성과 전폭적 지원 언급

최태원 SK회장이 20일 울산 AI데이터센터 출범식서 개최된 'AI 글로벌 협력 기업 간담회'서 AI 원스탑 바우처 사업확대 필요성 등을 제언 했다.

'대한민국 AI고속도로를 통해 AI 3대 강국으로! 슬로건 아래 진행된 간담회는 SK그룹의 아마존 웹 서비스 40억 불 투자 유치를 포함해 총 7조 원 규모로 알려진 대규모 (100<메가와트>MW급) AI 데이터센터 출범식 계기로 마련된 자리다.

간담회 참여는 온라인 체제 기반(AI·플랫폼) 기업(카카오, 네이버 클라우드, LG AI연구원, 삼성SDS), 인공지능 신생기업(AI스타트업)(퓨리오사AI, 루닛) 등 우리 인공지능 해외시장 진출과 국제 경쟁력 확보를 위한 토론이 진행됐다.

이날 최태원 회장은 AI 원스탑 바우처 사업확대, AI 기술 주도 성장을 이끌 혁신 스타트업 육성 투자, AI 시장 형성을 위한 정부 투자, AI 국가 인재 양성, 울산을 AI에 특화된 메가 샌드박스로 지정해 달라는 5가지를 제언했다.

먼저 AI 원스탑 바우처 사업을 확대와 관련해 최 회장은 "연구기관, 소상공인, 중소기업, 스타트업 등이 AI 인프라를 좀더 싸고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정부의 AX 원스탑바우처 사업을 대폭 확대할 필요가 있다"며 "인프라와 솔루션이 증대하게 되면 시장도 증되고, 경제전반으로도 확산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두 번째 제언은 기술 주도 성장을 이끌 혁신 스타트업 육성을 위한 투자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정부의 국민 펀드를 조성 계획에 발맞춰 AI 스타트업 펀드를 통해 향후 5년 내에 2만개의 AI 스타트업을 육성할 수 있다는 것. 그러면서 SK와 대기업도 상생을 넘어 혁신의 수요자로서 AI 스타트업과 전방위 협력을 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토록 하겠다고 밝혔다.

세 번째는 정부 주도의 AI 시장 형성 지원이다. 최 회장은 "AI 시장 형성을 위해 정부 지원이 필요하다"며 "각 부처가 사용할 AI 애플리케이션을 발주해 현 정부가 AI 정보화가 되도록 하고, 이 혁신을 통해 공공 AI 수요가 나올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5년간 5조원 정도 시장을 만들 수 있다는 것. 전체 공공 시장의 25% 정도는 AI 화 하는 상황으로, 정부에서 발주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게 최 회장의 설명이다.

네 번째는 AI 국가 인재 양성이다. 초중고 교육과정서 AI 교육을 의무화, 전문인재 육성을 위해 대학서도 필수 과목화해 일상서 컴퓨터를 쉽게 다루는 것처럼 AI 네이티브 세대를 키워내야 한다는 것이다. 그래야 전문 스킬을 배울 수있다는 얘기다.

마지막은 울산의 AI 특구 지정이다. 울산 제조업이 보유한 데이터와 기업, 스타트업, 연구 기관들의 RND 역량을 결합해 제조 AI 혁신이 필요하단 뜻이다.

최 회장은 "울산을 AI에 특화된 메가 샌드박스로 지정해 줄 것"을 전하며 "SK 그룹은 세계 최고 기술과 자본을 국내로 계속 유치해 기업 역량을 높이고, 대한민국이 글로벌 AI 허브 도약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또 AI 인프라와 기술을 통해 대기업 스타트업 지역 사회와 함께 성장하는 상생 플랫폼을 만들겠다고 덧붙였다.

이어 퓨리오사 AI는 국산 인공지능 반도체 양산과 관련된 투자유치 현황과 향후 계획을 설명했다. 카카오는 오픈AI와의 전략적 제휴를 통한 '일상 속 인공지능 서비스' 확산 계획을 밝혔으며, 삼성 SDS는 기업용 인공지능 온라인 체제 기반(AI플랫폼)과 해결책(솔루션)을 통한 해외 진출 노력을 소개했다. 루닛은 자사 매출(2024)의 93%가 해외에서 발생하고 있다고 강조하며 해외 데이터 확보 등 정부의 실질적 지원이 필요함을 언급했다.

소버린 인공지능 확보 및 국제 경쟁력 강화를 위한 논의도 이어졌다. 먼저 LG AI연구원은 인공지능 3대 강국 도약을 위해서는 독자 기초 모형(파운데이션 모델) 중심의 생태계 경쟁력 강화 정책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네이버 클라우드 역시 소버린 인공지능 확보를 위해 적극적인 투자가 중요함을 강조했다. AI·SW협회도 세계적 수준의 거대언어모형(LLM) 보유가 이제 필수적인 국가 과제가 되었다며 이에 대한 전폭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향후 정부는 인공지능 시대 고속도로인 인공지능 데이터센터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민간의 노력을 적극 지원해 나가기로 했다. 

조세특례제한법 개정(2025년 3월, AI의 국가전략기술 지정) 이후 하위법령 개정 과정에서 인공지능 데이터센터에 대한 투자 세액공제 확대를 적극 검토하고, 아울러 국회에서도 인공지능 데이터센터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법안이 발의되어 있는 만큼, 법안 논의 과정에도 적극 참여할 계획이다. 

나아가 인공지능 데이터 센터를 포함한 인공지능 기반(인프라), 인공지능 인재, 데이터 등 인공지능 생태계 혁신과 이를 통한 인공지능 3대 강국 도약에 민·관의 역량을 총결집해 나가기로 했다.


Read more

[칼럼] SW 공급망 보안 강화, ‘디지털 면역체계’ 구축해야

[칼럼] SW 공급망 보안 강화, ‘디지털 면역체계’ 구축해야

💡Editor’s Pick - 유기적인 취약점 관리와 정보 공유로 자율보안 생태계 조성해야 - SW 공급망 보안, 생존 문제로 고객 신뢰와 기업 경쟁력 담보 핵심 가치 [칼럼 장운영 금융보안원팀장] 날로 지능화되는 사이버 공격에 취약점 관리는 보안 생태계 전반의 체질 개선이 시급한 과제로 떠올랐다. 이에 금융보안원이 소프트웨어(SW) 공급망 보안 강화 전략을

By CheifEditor
나이트스파이어 랜섬웨어, 이중 갈취 전략으로 전세계 기업 노려

나이트스파이어 랜섬웨어, 이중 갈취 전략으로 전세계 기업 노려

💡Editor’s Pick - 미국, 일본, 태국, 홍콩, 영국 등 전세계 기업 타깃으로 이중 협박 - 협상 위해 ProtonMail, OnionMail, Telegram 채널 등 통신 채널 제공 이중갈취로 전세계 기업을 노리는 나이트스파이어 랜섬웨어가 활개를 치고 있어 기관과 기업의 주의가 요구된다. 나이트스파이어(NightSpire)는 DLS(Dedicated Leak Sites) 사이트를 운영하며, 피해 정보와

By CheifEditor
"인터록 랜섬웨어, 기업 타깃 공격...데이터 복구 어려워"

"인터록 랜섬웨어, 기업 타깃 공격...데이터 복구 어려워"

💡Editor’s Pick - 암호화 정교함과 효율성 높인 구조 설계로 데이터 복구 어렵게 해 - 로컬 환경서 남은 흔적만으론 복호화 할 수 없도록 악성코드 설계 데이터 복구를 어렵게 만든 인터록 랜섬웨어가 발견돼 이용자들의 주의가 필요하다. 인터록(Interlock) 랜섬웨어 암호화 과정은 OpenSSL 라이브러리를 기반으로 구현된다. 고성능 암호화 처리와 키 관리 기능을

By CheifEditor
누리랩, 가짜 PASS 인증 피싱 시도 증가

누리랩, 가짜 PASS 인증 피싱 시도 증가

💡Editor’s Pick - 신뢰도 높은 본인 인증 서비스 PASS 앱 모방해 개인 정보 탈취 - 평소 자주 사용 인증 서비스, 공식 앱인지 반드시 확인 중요 누리랩이 28일 본인 인증 서비스인 PASS 앱을 모방한 피싱 시도가 최근 증가하고 있다며 이용자들의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누리랩의 AI 기반 안티 피싱 솔루션 ‘에스크유알엘(

By CheifEdi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