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국민 민생회복 소비쿠폰 피싱 주의!

- 대국민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악용한 스미싱, 피싱, 보이스피싱 주의
-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과 사용방법 등 키워드로 피싱 접속 유도
대국민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시기를 악용한 스미싱, 피싱, 보이스피싱 발생이 우려되고 있어 이용자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 따르면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관련 키워드를 사용한 피싱 시도가 예상된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스미싱은 문자메시지내 악성 인터넷주소를 포함시켜 클릭을 유도한다. 이용자가 악성링크를 클릭하면 악성앱 설치를 유도한다.
피싱 사이트의 경우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과 사용방법 등 관련 키워드로 피싱사이트 접속을 유도한다.
보이스피싱은 소비쿠폰 추가 지급과 지급 방법 안내를 빙자한 유선 연락을 통해 원격제어 앱 설치를 유도한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 관련해 ①공식 안내문에 인터넷주소(URL)가 포함되지 않는다. 또한 ②정부 공식 채널 외에는 신청이 불가하다. 또 민생회복 소비쿠폰 공식 사이트에서는 카드번호, 비밀번호 등 요구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용자는 안내문자에 [국제발신/국외발신] 문구가 포함돼 있으면, 스미싱이므로, URL 클릭 및 전화 회신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또 문자 수신 화면에서 ‘스팸으로 신고’ 클릭을 통해 신고할 수 있다. 카카오톡 채널에선 보호나라 내 ‘스미싱·피싱 확인서비스’를 이용해 신고, 악성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KISA는 "문자 수신 시 출처가 불분명한 사이트 주소는 클릭을 자제하고 바로 삭제해야 한다"며 "스미싱 악성앱 감염과 피싱사이트 개인 정보 입력 시 모바일 결제 피해가 발생할 수 있어 모바일 결제 내역을 확인할 것"을 당부했다.
Related Materials
- 국내·외 피싱(Phishing) 대응 현황 및 시사점 : 미국·EU·영국·독일·일본·중국 중심으로 -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2024년
- 국내·외 피싱(Phishing) 대응 현황 및 시사점 -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2024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