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엔지니어상, 박영민 책임연구원과 권경안 연구소장 선정

대한민국 엔지니어상, 박영민 책임연구원과 권경안 연구소장 선정
박영민 책임연구원
💡
Editor Pick
- 대한민국 엔지니어상 2025년 7월 수상자
- 박영민 HD한국조선해양 책임연구원, 테크로스 권경안 연구소장 선정

대한민국 엔지니어상 2025년 7월 수상자로 박영민 HD한국조선해양 책임연구원과 테크로스 권경안 연구소장이 선정됐다.

‘대한민국 엔지니어상’은 산업현장의 기술혁신 장려와 기술자 우대 풍토 조성을 위해 매월 대기업과 중소기업 엔지니어를 각 1명씩 선정하여 과기정통부 장관상과 상금 500만원을 수여, 과기정통부 과학기술진흥기금/복권기금의 재원으로 운용된다.

박영민 HD한국조선해양㈜ 책임연구원은 국내 최초로 CHB 고압 드라이브를 상품화하고, 선박 전기 추진용 MMC 고압 드라이브의 기술 자립화를 달성한 공로를 인정받아 수상자로 선정됐다.

CHB(Cascaded H-Bridge)는 다수의 전력 모듈(H-bridge)을 직렬로 쌓은 직관적 설계로 실용성·경제성을 갖춰 대형 모터 제어, 제철소 등에 사용된다. MMC(Modular Multilevel Converter)는 높은 전압 용량 및 파형 품질이 요구되는 고압 직류 송전이나 대규모 설비 등에 사용된다.

고압 드라이브는 발전소, 대형 선박 등에 사용되는 대형 모터를 효율적·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전력 변환 장치로, 에너지를 절감하고 설비 수명도 연장하는 등 경제성을 높일 수 있는 핵심 기술로 여겨진다.

박영민 책임연구원은 수입이나 기술제휴에 의존하던 CHB 고압 드라이브를 독자 기술로 개발하고 총 80개 모형으로 상품화하여 신기술 인증(KT, 2001년), 신제품 인증(NEP, 2008년)을 받았으며, MMC 고압 드라이브 기술 개발로 차세대 전기추진 대형상선·함정의 전동화 기술 경쟁력을 강화해나가고 있다.

박영민 책임연구원은 2027년 동안 현장에서 축적한 경험 등을 바탕으로 세계적인 수준의 기술 경쟁력을 확보하여 우리나라 중전기 산업 및 조선 기술발전에 기여하고 싶다”고 수상소감을 밝혔다.

권경안 데크로스 연구소장

권경안 테크로스 연구소장은 선박평형수처리장치(BWTS*) 핵심 장비의 국산화 및 수직 계열화를 완성하고, 재생 에너지를 바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산업용 수소 생산 장치 개발을 주도하여 우리나라 환경산업 경쟁력 향상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수상자로 선정됐다.

BWTS(Ballast Water Treatment System)는 선박의 균형을 잡기 위해 사용하는 바닷물을 살균 처리하기 위한 체계다.

국제 항해 시에는 생태계 교란 방지 등을 위해 평형수를 살균 처리하는데, 이 때 사용되는 선박용 잔류염소 감지기(TRO 센서)를 해외에서 독점하고 있어 고탁도 해역에서의 품질 문제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고가로 이용할 수밖에 없었다.

이에 권경안 연구소장은 탁도를 보정하는 3파장 적용 기술로 선박용 잔류염소 감지기(TRO 센서) 품질을 개선하고, 잔류염소(TRO) 측정 시 폭발 가능성을 차단하는 본질방폭형 감지기(센서)를 세계 최초로 상업화해 핵심 장비 국산화 및 세계 시장 점유율 1위를 달성하였다. 또한, 수전해 전문 연구기관을 설립하여 재생에너지 활용률 및 경제성을 대폭 개선한 재생에너지 직결형 수전해 체계 개발에 성공하였다.

권경안 연구소장은 “지구적 기후 위기 해결에 필수적인 친환경 수소(그린 수소) 수전해 설비의 대중화와 수전해 산업 발전을 위해 앞으로도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수상 소감을 밝혔다.


하정우 AI수석, ”과학기술 인재 육성, 국가 책무 강화에 의미 있어”
💡Editor Pick - 새정부 AI 수석 과학기술 인재 육성 중요성 인식, 지원 예산 확대 전망 - 인재 처우 개선은 첨단 과학기술로 세계를 이끌기 위한 첫 걸음 ‘이공계 인재 육성’ 국가 책무 강화…정부, ‘이공계지원 특별법’ 의결 정부가 과학기술 인재 육성을 중요하게 인식해 인재 육성 지원 예산이 늘어날 전망이다. 19일 첫
LG전자, ‘LGE AI Night’ 열어...AI 인재 확보 ‘박차’
CVPR 참가 대상, AI 연구 활동·성과 공유와 인재 영입하는 ‘LGE AI Night’ 열어 LG전자(대표이사 조주완)가 AI 우수 인력 유치를 위해 세계 인공지능(AI) 학회를 찾았다. LG전자는 현지시간 11일부터 15일까지 미국 테네시주 내슈빌에서 열린 ’국제 컴퓨터 비전 및 패턴 인식 학술대회(이하 CVPR, Computer Vision and Pattern Recognition)

Read more

[TE머묾] 안 전하니 안전하니?

[TE머묾] 안 전하니 안전하니?

💡Editors Pick - 보안, 스스로를 좀 더 드러내야 - 위험만 전파하니 효과 미미... 즐거움을 전파하면 어떨까 - 어떻게 해서든 일반인들에게 다가가는 게 보안의 필연 요즘 한국에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 것일까? 연일 대형 보안 사고 소식이다. 주요 통신사와 금융 조직, 굵직한 정부기관들과 전 국민이 알 법한 민간 사업체들까지, 그간 만만히

By 문가용 기자
북 추정 해킹 실체 공개, 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 분석 보고회 개최

북 추정 해킹 실체 공개, 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 분석 보고회 개최

💡Editor's Pick - 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 김수키 국내 해킹자료 분석 및 시사점 발표 - 국내 해킹 자료 공개한 프랙 문서 내용 보강, 새로 발견된 추가 내용 공개 최근 국내 정부와 기업을 해킹한 북한 김수키 추정의 공격 실체가 공개된다. 고려대학교 정보보호대학원은 22일 오후 3시 고려대학교 안암캠퍼스 정운오교양관 404호에서 'Kimsuky

By CheifEditor
개인정보위, SK텔레콤 해킹 사태 제재안 27일 상정

개인정보위, SK텔레콤 해킹 사태 제재안 27일 상정

💡Editor's Pick - 집중조사 TF 가동…결정은 비공개 회의서 - 과징금 최대 매출액의 3%…업계 ‘초미 관심’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개인정보위)가 SK텔레콤 대규모 고객 유심(USIM) 정보 해킹 사태에 대한 제재 수위를 이르면 오는 27일 결정할 전망이다. 개인정보위는 21일 “27일 열리는 전체회의에서 관련 제재안을 상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SK텔레콤은

By CheifEditor
개인정보위, 개인정보 본인전송 요구권 전분야 확대 개정 추진

개인정보위, 개인정보 본인전송 요구권 전분야 확대 개정 추진

💡Editor's Pick - 개인정보 본인전송요구권 확대,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개정 추진 - 인터넷에서 열람‧조회 개인정보 다운로드 방식도 본인정보전송 인정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가 개인정보 본인전송요구권 확대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개정에 나섰다. 개정안은 기존 의료·통신 분야에 국한됐던 전송 권한을 전 분야로 확장하되, 중소기업과 스타트업은 전송 의무에서 제외해

By CheifEdi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