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엔지니어상, 박영민 책임연구원과 권경안 연구소장 선정

- 대한민국 엔지니어상 2025년 7월 수상자
- 박영민 HD한국조선해양 책임연구원, 테크로스 권경안 연구소장 선정
대한민국 엔지니어상 2025년 7월 수상자로 박영민 HD한국조선해양 책임연구원과 테크로스 권경안 연구소장이 선정됐다.
‘대한민국 엔지니어상’은 산업현장의 기술혁신 장려와 기술자 우대 풍토 조성을 위해 매월 대기업과 중소기업 엔지니어를 각 1명씩 선정하여 과기정통부 장관상과 상금 500만원을 수여, 과기정통부 과학기술진흥기금/복권기금의 재원으로 운용된다.
박영민 HD한국조선해양㈜ 책임연구원은 국내 최초로 CHB 고압 드라이브를 상품화하고, 선박 전기 추진용 MMC 고압 드라이브의 기술 자립화를 달성한 공로를 인정받아 수상자로 선정됐다.
CHB(Cascaded H-Bridge)는 다수의 전력 모듈(H-bridge)을 직렬로 쌓은 직관적 설계로 실용성·경제성을 갖춰 대형 모터 제어, 제철소 등에 사용된다. MMC(Modular Multilevel Converter)는 높은 전압 용량 및 파형 품질이 요구되는 고압 직류 송전이나 대규모 설비 등에 사용된다.
고압 드라이브는 발전소, 대형 선박 등에 사용되는 대형 모터를 효율적·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전력 변환 장치로, 에너지를 절감하고 설비 수명도 연장하는 등 경제성을 높일 수 있는 핵심 기술로 여겨진다.
박영민 책임연구원은 수입이나 기술제휴에 의존하던 CHB 고압 드라이브를 독자 기술로 개발하고 총 80개 모형으로 상품화하여 신기술 인증(KT, 2001년), 신제품 인증(NEP, 2008년)을 받았으며, MMC 고압 드라이브 기술 개발로 차세대 전기추진 대형상선·함정의 전동화 기술 경쟁력을 강화해나가고 있다.
박영민 책임연구원은 2027년 동안 현장에서 축적한 경험 등을 바탕으로 세계적인 수준의 기술 경쟁력을 확보하여 우리나라 중전기 산업 및 조선 기술발전에 기여하고 싶다”고 수상소감을 밝혔다.

권경안 테크로스 연구소장은 선박평형수처리장치(BWTS*) 핵심 장비의 국산화 및 수직 계열화를 완성하고, 재생 에너지를 바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산업용 수소 생산 장치 개발을 주도하여 우리나라 환경산업 경쟁력 향상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수상자로 선정됐다.
BWTS(Ballast Water Treatment System)는 선박의 균형을 잡기 위해 사용하는 바닷물을 살균 처리하기 위한 체계다.
국제 항해 시에는 생태계 교란 방지 등을 위해 평형수를 살균 처리하는데, 이 때 사용되는 선박용 잔류염소 감지기(TRO 센서)를 해외에서 독점하고 있어 고탁도 해역에서의 품질 문제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고가로 이용할 수밖에 없었다.
이에 권경안 연구소장은 탁도를 보정하는 3파장 적용 기술로 선박용 잔류염소 감지기(TRO 센서) 품질을 개선하고, 잔류염소(TRO) 측정 시 폭발 가능성을 차단하는 본질방폭형 감지기(센서)를 세계 최초로 상업화해 핵심 장비 국산화 및 세계 시장 점유율 1위를 달성하였다. 또한, 수전해 전문 연구기관을 설립하여 재생에너지 활용률 및 경제성을 대폭 개선한 재생에너지 직결형 수전해 체계 개발에 성공하였다.
권경안 연구소장은 “지구적 기후 위기 해결에 필수적인 친환경 수소(그린 수소) 수전해 설비의 대중화와 수전해 산업 발전을 위해 앞으로도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수상 소감을 밝혔다.
Related Materials
- 2024년 PCT 연례보고서 요약본 - WIPO, 2024년
- 2023년 주요국 논문 발표 현황 및 과학기술 동향 - KISTEP, 2023년
- 2024 국제 이주 전망 - OECD, 2024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