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보안원 '2025금융AI챌린지' 개최

금융보안원 '2025금융AI챌린지' 개최
[이미지: 금융보안원]
💡
Editor Pick
- 금융보안원, 금융위원회ㆍ금융회사와 공동 추진
- 총 상금 3,300만 원, 대상 팀에 금융위원장상 및 상금 1,500만원 수여

금융보안원(원장 박상원)이 전 국민 대상으로 '2025 금융 AI Challenge'를 5개 금융회사와 공동 개최한다.

'2025 금융 AI Challenge' 참가 신청은 오는 14일부터 8월 29일까지며, 참가 부문은 ▲금융 AI 모델 경쟁 ▲맞춤형 AI 금융서비스 아이디어 공모전 2개로 진행된다.

모델 경쟁 부문서는 금융보안원이 자체 개발한 평가지표를 활용해 참가자들이 개발한 생성형 AI 모델의 성능을 평가한다.

AI 모델이 금융보안 관련 질문에 정확히 답변했는지 평가한다. 참가자들이 실시간으로 자신의 순위를 확인할 수 있는 리더보드 기반의 경쟁 환경을 제공한다.

공모전 부문서는 생성형 AI를 활용해 금융 고객 특성과 서비스 채널(영업점, 모바일 앱 등)에 따라 맞춤형으로 고객을 지원하는 금융서비스 아이디어를 모집한다. AI에 대해 세부적인 구현 방법을 모르더라도 국민 누구나 참여 가능하다.

금융보안원

총 상금규모 3,300만원, 대상 1개팀에게 금융위원장상 및 1,500만원 상당의 상금을 수여할 예정이다. 또한, 모든 입상자에 대해 금융보안원 입사 지원 시 우대 혜택이 제공된다.

금융보안원

 박상원 원장은 “이번 '2025 금융 AI Challenge'가 소비자와 금융기관 모두 신뢰할 수 있는 AI 기술 개발과, 금융회사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현장 중심의 실용적 아이디어를 발굴하는 자리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금융보안원, 보안평가…AI·클라우드 안전 확보
💡Editor Pick -총 83건 보안대책 평가, 진행해 금융회사 신뢰 확보 -패스트트랙 운영으로 평가 효율성 극대화 -모범·미흡 사례 공유로 실무자 역량 강화 금융권 망분리 규제 특례 허용으로 금융사 내부망에서 생성형 AI 등을 활용할 경우 서비스 개시 전 예상되는 보안 리스크 대책 수립과 금융보안원 등으로부터 확인받은 결과를 제출해야 한다. 이와 관련
금융보안원, 금융보안아카데미 2025 교육생 모집
디지털금융보안 미래인재 양성을 위한 금융보안아카데미 2025 실시 오는 6월 20일(금) 18시까지 지원서 접수 금융보안원(원장 박상원)이 디지털금융보안 미래인재 양성을 위해 ‘금융보안아카데미 2025’ 교육생을 모집한다. 정보보호에 관심과 재능이 있는 대학(원)생과 취업준비생은 누구나 지원 가능하다. 접수는 금융보안원 홈페이지를 통해 오는 20일(금) 18시까지다. 교육생 선발은 지원자 역량, 지원동기

Read more

이희조 고대 교수 "의료분야, 보안 내재화 위한 취약점 관리 필수"

이희조 고대 교수 "의료분야, 보안 내재화 위한 취약점 관리 필수"

💡Editor’s Pick - 의료분야, 고위험 취약점 80%...SBOM 연계한 VEX로 취약점 관리해야 - 미국, SBOM 자동 생성 및 검증과 취약점 검증하는 플롯폼 VEX로 재편 현대 의료기기는 복잡한 사이버물리시스템으로 돼 있다. 혈압, 심전도, 센서와 펌프, 로봇 등 물리적 요소를 비롯해 펌웨어, 제어 알고리즘, AI 기반 진단 모듈 등 사이버 요소,

By CheifEditor
"의료기기, 미국시장 진출하려면 사이버 보안부터 챙겨야"

"의료기기, 미국시장 진출하려면 사이버 보안부터 챙겨야"

💡Editor’s Pick - 의료기기 출시 전 사이버 보안 적용해 환자 치료 중단되지 않도록 해야 - 의료기기 제조사, 미국 진출 시 사이버보안 엔지니어링 법 적용 받아 미국 시장에 진출하려는 의료기기 제조사는 사이버보안 엔지니어링 법을 적용받아 의료기기의 사이버 보안을 강화해야 한다. 의료기기 출시전부터 사이버 보안을 적용해 의료기관 임상 현장에서 환자 치료가

By CheifEditor
사이버안보 비서관, 김소정 전국가안보전략연구원책임연구위원 임명

사이버안보 비서관, 김소정 전국가안보전략연구원책임연구위원 임명

💡Editor’s Pick - 국가사이버안보, 국방외교안보, 국제안보 등 자문위원 및 연구활동 - 국가안보실 산하 사이버안보 비서관 업무, 사이버안보에 주축 역할 담당 이재명 정부 사이버안보 비서관으로 김소정 전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책임연구위원이 임명됐다. 이로써 김소정 신임 사이버안보 비서관은 그동안 공석이었던 대통령 국가안보실 산하 사이버안보 비서관 업무를 맡으며, 국가 사이버안보에 주축 역할을 담당한다. 공학박사인

By CheifEditor
현 시점 온라인 사기의 모든 전략과 전술

현 시점 온라인 사기의 모든 전략과 전술

💡Editor’s Pick - 감정을 살살 건드리는 교묘한 문구들 - 소셜미디어 플랫폼이 특히 위험 - 최종 행동을 취하기 전에도 거듭 확인 온라인 사기가 진화함에 따라 일반 사용자들이 주의해야 할 것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이 중에는 잘 알려진 것들도 있고 그렇지 않은 것들도 있다. ‘피싱 공격’이라는 말을 들어본 사람은 빠르게

By 문가용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