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사고로 칼바람 부는 금융권, 리스크 대응 중요해"

"보안사고로 칼바람 부는 금융권, 리스크 대응 중요해"
[이미지: 금융보안원]
💡
Editor Pick
- 금융권, '개인정보보호법'과 '신용정보법' 모두 적용 리스크 대응 중요
- 전문인력 지원, 사각지대 해소 등 내부통제 업무 효율적으로 수행돼야
- 국내 주요 금융권, CISO·CPO·CIAP 겸직 약 80% 과중 책임 분산해야

SGI서울보증보험이 랜섬웨어에 감염돼 시스템이 마비된 가운데, 금융권의 안전한 디지털 환경 조성이 중요해지고 있다. 특히 금융회사는 '개인정보보호법'과 '신용정보법'이 모두 적용돼 법적 리스크 대응전략이 필요하단 의견이 제기됐다.

주민석 화우 변호사는 15일 금융투자협회 불스홀서 열린 ‘금융분야 개인(신용)정보 보호 세미나’에서 "금융회사는 '개인정보보호법'과 '신용정보법'이 모두 적용됨에 따라 두 법에 대한 명확한 이해가 필수"라고 강조했다. 이는 관련 법 위반 시 전체 매출액 3% 까지 과징금이 부과될 수 있는 등 제재 수준이 높기 때문이다.

특히 내부통제 업무가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충분한 경험과 능력을 갖춘 전문인력 조직을 구성해, 신용정보관리·보호인 등 최고책임자의 직무수행을 지원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박재호 삼성증권 상무는 수탁자와 재수탁자 관리·감독 관련 법규 리스크와 대응방안으로 위탁자의 수탁자 관리·감독과 수탁자의 안전성 확보조치 준수가 잘 이행된 경우 수탁자에서 발생한 개인정보 유출 관련 과징금 완화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효율적 업무지원을 위한 정보보호 업무 역할 분담의 중요성도 제기됐다. 금융보안원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은행, 증권, 보험, 카드 등 국내 주요 금융권 경우, 3개직 모두 겸직 비율이 약 80%에 달한다. 겸직 비율이 높은 만큼 과도한 책임을 분산시켜야 한단 얘기다.

김진규 KB손해보험 상무는 "금융 분야는 정보보호최고책임자(CISO), 개인정보보호책임자(CPO), 신용정보관리·보호인(CIAP) 겸직이 보편화되어 있으나, 정보보호 업무 등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해서는 조직과 역할 분담 등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윤수영 한국CPO협의회 사무국장은 "겸직 중인 임원에게 집중된 과도한 책임 분산을 위해 사업부서 임원의 역할 강화를 고려한 거버넌스 구축, 선량한 관리자의 주의 의무를 다한 CPO의 인사 불이익 방지를 위한 법제도적 장치가 마련돼야 한다"고 제시했다.

개인정보처리시스템 사각지대를 해소해야 한단 의견도 대두됐다. 김경하 제이앤시큐리티 대표는 "최근 SKT 사태 등 대규모 개인정보 유출사고가 증가하는 추세로 금융권도 안전지대가 아니다"라고 밝히며, 전사 차원의 개인정보처리시스템 사각지대 해소, 안전성 확보조치를 위한 법적 요건 준수, 능동적·선제적 보안대책 마련 등 리스크 대응전략"을 당부했다.

이외에도 안정로 세종 변호사는 개인정보와 신용정보 구분 및 적용되는 법령 판단의 어려움 등을 해소해야 한단 의견 제기와 함께 금융권 개인정보보호관련 현행 법체계의 특징, 금융회사 내 CISO, CIAP, CPO 등 C레벨의 책임과 역할 강화 방안 등에 대해 제언했다.

고규만 금융보안원 팀장은 상반기 중에 마련한 금융권 개인(신용)정보 보호 수준 제고 지원 방안에 대해 ▲ 개인(신용)정보 보호 협의회 구성·운영 ▲ 최신 개인(신용)정보 보호 이슈 분석·대응 강화 ▲ 금융권 개인(신용)정보 보호 가이드, 안내서 발간 ▲ 개인(신용)정보 보호 세미나 및 교육 정기적 실시 등 중점 추진과제를 하반기부터 본격적으로 추진하여 금융회사의 개인(신용)정보 보호 수준 제고를 지속적으로 지원할 예정이라 밝혔다.

박상원 금융보안원 원장은 이날 논의 결과에 깊이 공감하며 “디지털 금융환경이 고도화될수록 개인정보의 안전한 보호는 금융산업의 신뢰를 지탱하는 핵심 기반이 되므로, 앞으로도 금융회사의 안전한 개인정보 관리 및 보호를 지원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SGI서울보증 랜섬웨어 감염, 금액 협상 받았다”
💡Editor Pick - SGI서울보증, 랜섬웨어 감염...금액 협상 링크 받아 - 보안업계, 최근 기록 있는데 과거기록 없다...랜섬웨어 감염 - 백업본 있으면 바로 시스템 복구...현재까지 마비는 백업본 없단 뜻 시스템 장애라고 밝힌 SGI서울보증보험이 랜섬웨어에 감염돼 해커로부터 가격 협상 링크를 받은 사실이 드러났다. 금융권 관계자는 15일 “SGI서울보증보험이 랜섬웨어에 감염됐다”며
랜섬웨어 조직, 금융권 공격 집중...금융정보 점검 ‘시급’
💡Editor Pick - 랜섬웨어 그룹의 금융기관 공격 - ’알카나(Arkana), 록빗(LockBit), 플레이(Play), 세이프페이(SafePay), 스톰아우스(Stormous) 랜섬웨어 그룹 - 고객 정보 유출로 인한 피해 가능성 11일 안랩이 발표한 ’2025년 5월 국내외 금융권 관련 보안 이슈‘에 따르면 ’알카나(Arkana), 록빗(LockBit), 플레이(Play), 세이프페이(SafePay), 스톰아우스(Stormous) 랜섬웨어 그룹은
[칼럼] 랜섬웨어, 위협과 대응의 시간
💡Editor Pick - 랜섬웨어, 병원·통신·학교·금융 표적...‘보안 이슈’ 아닌 ‘사회 문제’ - 데이터 탈취·협박 ‘이중 갈취’ 보편화, 자동화로 여러 조직 동시 공격 - 이메일·원격 접속 취약점 조합 침투 증가...침투 훈련 없는 매뉴얼 허점 - 보안, 고립된 기술 아니라 사회 전체가 함께 지켜야 할 공동

Read more

[인터뷰] 한상기 대표, "모든 기업, AI-Native 접근 방식 고민해야"

[인터뷰] 한상기 대표, "모든 기업, AI-Native 접근 방식 고민해야"

💡Editor Pick - AI 기술 발전 한 발 늦는 것은 없다... 파괴적 혁신, 늘 내일 또 등장 - 그 동안 우리가 쌓았던 제조업·의료기술 경험 등에서 엣지 찾아야 이재명 정부의 AI정책 신호탄은 하정우 AI미래기획수석비서관 임명이다. 이미 하정우 수석은 IT업계에선 슈퍼스타 못지 않은 AI기술 전문가로는 정평이 나있다. 그런데 기자의 시선은 '

By CheifEditor
스파크키티 스파이웨어, iOS·안드로이드 동시 노려…가상화폐 노리는 신종 트로이 목마 발견

스파크키티 스파이웨어, iOS·안드로이드 동시 노려…가상화폐 노리는 신종 트로이 목마 발견

💡Editor Pick - Kaspersky Android/iOS 동시 겨냥 SparkKitty Trojan 확인 - 암호화폐, 도박, 변조 틱톡 앱 등으로 위장 가상자산 보유자 노려 - 기업 내부 배포용 개발자 도구 활용한 AppStore 배포 카스퍼스키 연구진이 iOS와 안드로이드를 동시에 겨냥한 신규 트로이 목마 ‘스파크키티(SparkKitty)’를 발견했다. 이 악성코드는 감염된 스마트폰에서 사진과 기기

By CheifEditor
미국 입양 단체, 110만 개인 민감 정보 노출시켜

미국 입양 단체, 110만 개인 민감 정보 노출시켜

💡Editor's Pick - 텍사스의 글래드니입양센터, DB 관리 실패 - 110만 명의 개인정보와 개인사, 각종 평가지 노출 - 데이터 암호화는 기본...비밀번호 설정과 주기적 점검도 기본 미국의 한 입양 단체가 110만 건이 넘는 개인정보를 노출시키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를 처음 발견한 보안 전문가 제레마이아 파울러(Jeremiah Fowler)는 “해당

By JustAnotherEditor
트럼프 추종자들만 쓰는 텔레메시지 앱, 민감 정보 노출

트럼프 추종자들만 쓰는 텔레메시지 앱, 민감 정보 노출

💡Editor's Pick - 시그널 기반 텔레메시지, 인증 메커니즘이 낡아 - 인증 과정 없이 특정 엔드포인트가 전체 공개돼 - 각종 민감 정보 포함될 수 있는 엔드포인트라 문제 보안 채팅 앱인 텔레메지시SGNL(TeleMessage SGNL)이 익스플로잇 공격에 노출됐다. 사용자들 간 오갔던 민감 정보들이 인터넷에 대량으로 노출됐다. 문제의 근원에는 CVE-2025-48927이라는 취약점이

By JustAnotherEdi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