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급] 국가배후 해킹조직 공격, 티맥스 솔루션 장비 점검 '시급'

[긴급] 국가배후 해킹조직 공격, 티맥스 솔루션 장비 점검 '시급'
💡
Editor Pick
- 티맥스 티베로 솔루션이 설치된 장비 내 해시값 악성파일 점검 '시급'
- 방화벽 등 보안 장비 로그에서 IP 접속 여부를 점검해야

최근 국가배후 해킹조직이 국가·공공기관과 기업을 타깃으로 악성코드를 유포와 해킹 시도가 확인됐다. 기업과 기관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특히 악성파일 점검과 악성IP 점검이 중요하다. 티맥스 티베로 솔루션이 설치된 장비 내 해시값을 가지는 악성 파일 설치를 확인해야 한다.

문제의 악성파일 해시값은 다음과 같다.
▲tibero7-bin-FS02_PS02-linux64_3.10-277758-20240826115751.tar.gz447E0D1A724568BD9C42EA5140F34BE8

▲tibero7-bin-FS02-linux64_3.10-254994.tar.gzAF1F7A9D7DCC48F94F578E83D181FD6C

▲tbsvr8AB862E03B8FEE02AF4BB29B10DD63C8

▲tbsvrAA3AB1C5DA6300B9107A3AF7D65E20A0

또한 방화벽·유해사이트 차단장비·엔드포인트 보안 장비 등의 로그에서 IP 접속 여부를 점검해야 한다. 문제의 IP 주소는 다음과 같다.

▲175.167.148.154(중국)

▲45.147.49.166(독일)

▲176.97.70.133(일본)

▲78.142.195.226(네덜란드)

▲64.176.225.173(한국)

▲194.169.54.15(독일)

▲139.180.153.122(싱가폴)

▲210.2.169.142(파키스탄)

▲203.229.190.124(한국)

▲45.147.49.103(독일)

▲5.188.34.71(싱가폴)

▲45.147.49.26(독일)

▲92.38.135.68(한국)

▲193.32.150.144(일본)

▲199.15.77.14(홍콩)

▲141.98.212.52(홍콩)

▲38.54.16.32(싱가폴)

▲46.4.122.188(독일)

▲5.188.108.105(폴란드)

▲65.20.81.172(인도)

▲5.188.108.240(폴란드)

▲104.233.163.244(미국)

▲5.188.33.141(홍콩)

▲139.84.223.15(호주)

한국인터넷진흥원은 "각 기관과 기업은 C-TAS 내 보안공지에서 침해지표와 보안점검 방법을 확인 후 전산망 내 PC·서버 대상 피해 여부를 점검해야 한다"며 "기업은 자체 점검 후, 이상징후가 발견됐을 경우 한국인터넷진흥원 침해사고 신고, 메일로 신고할 것"을 당부했다.


북한 혹은 중국 해킹 조직 턴 핵티비스트들, 외신과 인터뷰
💡Editor’s Pick - 외신 테크크런치, 세이버와 사이보그 인터뷰 - 신원과 해킹 기법은 한동안 미공개일 예정 - 앞으로도 이어질 ‘해커 해킹‘...불법이긴 하지만 얼마 전 데프콘(DEF CON)에서 공개된 8.9GB 데이터 때문에 잠시 소란스럽다가 갑자기 잠잠해진 일이 있었다. 이 데이터는 세이버(Saber)와 사이보그(cyb0rg)라는 ‘화이트햇 해커’ 두
최민희 과방위원장 “북한 해킹 의혹, 통신사 자체 조사 신뢰할 수 있냐”
💡Editor’s Pick - 국회 과방위 전체회의, 북한 해킹 조직, 국내 통신사 공격 의혹 - 류차관, “KT와 LG유플러스에 자료 제출받아 사실 여부 확인 계획”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북한 해킹 조직이 국내 주요 통신사들을 겨냥했다는 의혹과 관련해 사실 관계 확인에 나섰다. 류제명 과기정통부 2차관은 20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전체회의에서 “KT와 LG유플러스로부터 자료를 제출받아 사실 여부를
[단독] LG유플러스도 해킹? 데프콘에서 유출파일 공개...통신사 보안 ‘비상’
💡Editor’s Pick - 데프콘에서 공개된 해킹된 국내 데이터중 LG유플러스 포함 - 2023~2025년 2년간 30만건 서버 패스워드 변경 이력 포함 - 해커 로그 서버 해킹...엘지유플러스 사실 확인 중 SKT 해킹 사고가 채 가시기도 전에 LG유플러스 데이터 유출 의혹도 제기돼 통신사 보안에 비상이 걸렸다. 이번에 ‘데프콘(DEF CON)’에서 공개된

Read more

[긴급] 시큐위즈 제품, 패스워드 노출 취약점 발생...패치 적용 '시급'

[긴급] 시큐위즈 제품, 패스워드 노출 취약점 발생...패치 적용 '시급'

💡Editor Pick - SecuwaySSL U 1.0/2.0 제품에서 Root 패스워드 노출 취약점 발견 - 인터넷 망에서 SecuwaySSL 장비 SSH 접속 포트 차단 정책 설정해야 보안기업 시큐위즈의 SecuwaySSL U 1.0/2.0 제품에서 취약점이 발견돼 이용자들의 주의가 필요하다. 이용자들은 빠른 패치 적용이 필요하다. 22일 한국인터넷진흥원은 긴급조치 방안을 발표했다.

By CheifEditor
정부, '양자종합계획' 연말까지 마련…AI·양자 융합 추진

정부, '양자종합계획' 연말까지 마련…AI·양자 융합 추진

💡Editor Pick AI 한계 극복할 ‘양자기술과 AI 융합’ 추진 산학연, 글로벌 진입 전략 논의...인프라 확대·보안 패러다임 전환 추진 정부가 인공지능(AI)과 양자기술을 접목해 미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양자종합계획' 수립에 착수했다.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20일 대전 한국표준과학연구원에서 열린 ‘퀀텀(양자) 프론티어 전략대화’에서 올해 말까지 10년을

By CheifEditor
캐나다 GIS 혁신 - AI 결합한 공간정보 기술로 공공안전 패러다임 전환

캐나다 GIS 혁신 - AI 결합한 공간정보 기술로 공공안전 패러다임 전환

💡Editor Pick - 캐나다 GIS 기업들, AI·ML 통한 실시간 공간분석 시스템 구축 - 월 100만 건 API 호출 처리, 400여 개 센서 데이터 통합 분석 - 주민 참여형 softGIS로 범죄 예방·재난 대응 효과 입증 캐나다의 공간정보시스템(GIS) 기술이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기술과 결합하면서 공공안전 분야에 혁신적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By CheifEditor, Donghwi Sh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