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 사칭 피싱 활개...URL주의!

공공기관 사칭 피싱 활개...URL주의!
공공기관 사칭 피싱 화면 [이미지: 누리랩]
💡
- 경찰청, 대검찰청, 법무부, 행정안전부 등 공공기관 사칭 피싱 기승
- 최근 사회 관심 집중, 이슈 소재 활용해 피싱 시도
- 공공기관 문자, 직접 공공기관에 연락해 사실 관계 확인 필요

최근 공공기관을 사칭한 피싱 수법이 나날이 교묘해지며 진화하고 있어 이용자들의 주의가 필요하다.

1일 누리랩에 따르면 공공기관 사칭해 악성코드를 유포하고 개인정보 탈취 피싱이 지속적으로 탐지되고 있다며 지난달만 3건의 공공기관 사칭 피싱 주의를 게시했다고 밝혔다.

공공기관 사칭한 피싱은 과거부터 사용된 피싱 방법이다. 일반인들이 공공기관으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면 심리적으로 위축되고 불안감을 느낀다. 공격자는 이러한 심리를 악용한다. 때문에 여전히 피해 사례가 많은 피싱 유형이다. 

최근에는 사회적으로 관심이 집중되고 이슈화되고 있는 소재를 활용해 피싱을 시도한다. 따라서 이용자들이 피싱에 쉽게 현혹될 수 있다.

최근 ‘에스크유알엘(AskURL)’에 탐지된 행정안전부를 사칭한 피싱 행위는 ‘정부 사기 피해 구제 신청’이라는 제목의 행정안전부 사칭 사이트에 접속하게 유도한 후 피해 보상을 미끼로 개인 정보를 탈취하는 피싱 행위다. 사칭 사이트에 개인 정보를 입력하고 본인 인증을 진행하면 개인 정보가 피싱 범죄자에게 전달되고 피싱 범죄자들이 보이스 피싱 등의 행위를 통해 2차 피싱을 시도할 수 있다.

대표적인 공공기관 사칭 피싱 유형은 ▲경찰청 사칭 범칙금 고지서 통지 피싱 ▲경찰청 교통민원 앱 사칭 피싱 ▲대검찰청 공식 웹사이트 사칭 피싱 ▲법무부 형사사법포털 사이트 사칭 피싱 등이 있다.

김지훈 누리랩 엑스엔진센터장은 “공공기관 사칭 피싱은 항상 피싱 탐지 순위 상위권을 차지하는 피싱 유형으로, 오래된 피싱 수법임에도 불구하고 수법이 교묘해지고 진화를 거듭하고 있다”며 “특히, 경찰청이나 대검찰청을 사칭한 피싱의 경우 보이스피싱까지 연계한 피싱 행위가 대다수로 특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공공기관 수신 문자는 반드시 해당 공공기관에 직접 연락해 사실 관계 여부를 확인해 봐야 한다”며 “공공기관 관련 내용이 포함된 URL은 ‘에스크유알엘’을 활용해 검사해 보는 것이 피싱 피해를 사전에 방지할 것”을 당부했다.


텔레그램 피싱 발견...계정 탈취 주의!
💡Editor Pick - 최근 텔레그램 사칭한 피싱 사이트 새롭게 등장 - 공식 웹사이트와 유사한 URL로 접속을 유도해 로그인 정보와 인증코드 빼내는 수법 사용 - 텔레그램 이용자는 2차 인증 등 보안 설정 강화 계정 탈취 목적의 텔레그램 피싱 사이트가 발견됐다. 텔레그램 이용시 이용자는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9일 누리랩은 ”텔레그램 계정 탈취
넷플릭스 사칭 피싱 주의!
OTT 플랫폼인 넷플릭스 사칭 피싱이 발견돼 이용자의 주의가 요구된다. 이번에 발견된 넷플릭스를 사칭한 피싱 사이트는 netfgg.vip다. IP 주소는 103.194.186.118로 중국이다. 이 피싱 사이트는 넷플릭스 로고를 사용해 유명 플렛폼인것 처럼 속이고 있다. 도메인 등록 날짜는 지난 10일 최근으로 확인됐다. 피싱 사이트는 투자 사기를 목적으로 이용자에게 접근한다. 사기
SK이노베이션 사칭 피싱 주의!
SK 이노베이션을 사칭한 피싱 사이트가 발견돼 이용자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이번에 발견된 피싱 사이트는 2개로 skbattery.vip와 sk-eletricity.com이다. 10일 누리랩에 따르면 탐지된 첫번째 피싱 사이트는 소액 투자, 고수익, 팀미션 등을 이용해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뺏거나 금전적 손해를 입히는 악의적인 목적을 갖고 있다. 도메인 등록일이 최근에 이뤄졌는데, 이는 피싱 사이트의 특징 중

Read more

[TE머묾] 안 전하니 안전하니?

[TE머묾] 안 전하니 안전하니?

💡Editors Pick - 보안, 스스로를 좀 더 드러내야 - 위험만 전파하니 효과 미미... 즐거움을 전파하면 어떨까 - 어떻게 해서든 일반인들에게 다가가는 게 보안의 필연 요즘 한국에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 것일까? 연일 대형 보안 사고 소식이다. 주요 통신사와 금융 조직, 굵직한 정부기관들과 전 국민이 알 법한 민간 사업체들까지, 그간 만만히

By 문가용 기자
북 추정 해킹 실체 공개, 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 분석 보고회 개최

북 추정 해킹 실체 공개, 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 분석 보고회 개최

💡Editor's Pick - 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 김수키 국내 해킹자료 분석 및 시사점 발표 - 국내 해킹 자료 공개한 프랙 문서 내용 보강, 새로 발견된 추가 내용 공개 최근 국내 정부와 기업을 해킹한 북한 김수키 추정의 공격 실체가 공개된다. 고려대학교 정보보호대학원은 22일 오후 3시 고려대학교 안암캠퍼스 정운오교양관 404호에서 'Kimsuky

By CheifEditor
개인정보위, SK텔레콤 해킹 사태 제재안 27일 상정

개인정보위, SK텔레콤 해킹 사태 제재안 27일 상정

💡Editor's Pick - 집중조사 TF 가동…결정은 비공개 회의서 - 과징금 최대 매출액의 3%…업계 ‘초미 관심’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개인정보위)가 SK텔레콤 대규모 고객 유심(USIM) 정보 해킹 사태에 대한 제재 수위를 이르면 오는 27일 결정할 전망이다. 개인정보위는 21일 “27일 열리는 전체회의에서 관련 제재안을 상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SK텔레콤은

By CheifEditor
개인정보위, 개인정보 본인전송 요구권 전분야 확대 개정 추진

개인정보위, 개인정보 본인전송 요구권 전분야 확대 개정 추진

💡Editor's Pick - 개인정보 본인전송요구권 확대,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개정 추진 - 인터넷에서 열람‧조회 개인정보 다운로드 방식도 본인정보전송 인정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가 개인정보 본인전송요구권 확대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개정에 나섰다. 개정안은 기존 의료·통신 분야에 국한됐던 전송 권한을 전 분야로 확장하되, 중소기업과 스타트업은 전송 의무에서 제외해

By CheifEdi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