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독헬스케어, 해킹당해 개인정보 유출

한독헬스케어, 해킹당해 개인정보 유출
[이미지: 일상건강 사이트]
💡
Editor Pick
- 한독헬스케어, 고객 성명·연락처 등 개인정보 유출 사고 발생
- 출범 한 달만에 사고 발생 보안 취약성 고스란히 드러나

국내 제약사 한독의 자회사인 한독헬스케어가 출범 한 달 만에 운영 중인 건강기능식품 전문몰 ‘일상건강’에서 고객 개인정보가 유출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한독헬스케어는 지난 14일 ‘일상건강’ 쇼핑몰 홈페이지를 통해 개인정보 유출 사실을 공지했다.

유출된 개인정보는 고객 성명, 아이디, 휴대전화번호, 이메일, 배송지 등이다. 유출 정보에는 7월 13일까지의 회원 정보와 주문 정보도 포함됐다.

한독헬스케어는 “제3자가 관리하는 쇼핑몰 시스템에 비정상적인 접근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며 “정확한 원인과 경위는 관계 기관과 공동으로 면밀히 조사 중”이라고 밝혔다.

회사는 추가 피해 방지를 위해 보안 강화 조치와 해당 기관 신고를 마쳤다는 입장이다. 한독헬스케어는 “출처가 불분명하거나 의심스러운 전화, 문자, 이메일 등을 받는 경우 즉시 삭제해달라”고 당부했다.

하지만 고객 개인정보가 노출된 것은 지난 6월 모회사 한독에서 분할·출범한 지 불과 한 달 만이다. 취약한 보안실태가 여과없이 드러난 셈이다.

익명을 요청한 보안전문가는 “개인정보 유출 공지에는 서비스 운영을 제3자에게 위탁한다고 명시되어 있는 반면, 회원가입시 확인되는 개인정보 처리방침에는 개인정보 위탁이 CS(고객지원) 용도로 선택 사항이라고 되어 있다”며, “이처럼 불일치하는 내용을 보면 전반적인 개인정보 운영에 미흡한 점이 있는 것은 아닌지 점검이 필요하다. 특히 개인정보를 맡기는 고객 입장에서는 불안감을 느낄 수 있는 만큼, 보다 정확하고 일관된 고지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청주랜드 어린이체험관 사이트 해킹…개인정보 6만건 유출
💡Editor Pick - 피해 규모 6만여명…성명·주소 등 개인정보 유출 - 청주시 “조속한 통지·신고, 신속 대응”…사이트 즉시 차단 - 예약 시스템, 올해 말까지 오프라인 전환…보안관리 대폭 강화 청주랜드 어린이체험관 홈페이지가 해킹 공격을 받아 이용자 6만여 명의 개인정보가 유출됐다. 청주시는 16일, 행정안전부 산하 한국지역정보개발원 사이버침해대응센터가 다크웹 모니터링
행정복지센터, 대선 투표사무원 1,000명 개인정보 유출
💡Editor Pick - 시스템 장애로 전세대출 등 민원업무 중단 - 유출 파일, 게시 후 하루 만에 삭제 - 서구청 “신속 대응·피해 접수 창구 운영” 인천 서구 아라동 행정복지센터 홈페이지에서 21대 대선 투표사무원 1,066명의 개인정보가 노출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해당 파일은 전세대출 등 주요 행정업무 시스템 장애로 게시물에 잘못 첨부됐다.
루이비통, 개인정보 유출...명품 브랜드줄줄이 보안사고 다른 잣대 필요
💡Editor Pick - 루이비통, 외부 해커가 시스템 해킹 통해 개인정보 유출 - 유출된 개인정보: 이름, 연락처, 고객 제공의 추가 정보 등 - 6월8일 사고 발생, 7월 2일 보안사고 인지...관계 당국 사실통지 명품 브랜드 루이비통에서 개인정보 유출 사고가 발생했다. 루이비통은 해커가 당사 시스템을 해킹해 고객정보가 유출됐다고 4일 문자, 메일 등을

Read more

새 암호화폐 채굴 캠페인...아파치 서버 취약점 악용

새 암호화폐 채굴 캠페인...아파치 서버 취약점 악용

💡Editor's Pick - 아파치 HTTP 서버에서 4년 전 발견된 취약점 - 현재 리넉시스라는 채굴 멀웨어가 퍼지는 중 - 리넉시스는 과거에도 다양한 취약점 통해 확산되었음 아파치 HTTP 서버에서 발견된 보안 취약점을 악용하는 암호화폐 채굴 캠페인이 발견됐다. 문제가 되고 있는 건 CVE-2021-41773으로, CVSS 기준 7.5점짜리 고위험군 취약점이다. 아파치 HTTP

By JustAnotherEditor
미국 FCC, “해저 케이블에 중국 손 못 대게 하겠다”

미국 FCC, “해저 케이블에 중국 손 못 대게 하겠다”

💡Editor's Pick - 연방통신위원회 위원장, 해저 케이블 강화 필요 설파 - 강화 위해 보안 규정 신설...중국 기술 가까이 못 오게 - 아직은 미결정...8월에 투표로 미국 연방통신위원회(FCC)가 적대 세력으로부터 자국 통신망을 보호한다는 차원에서 중국을 견제하기로 결정했다. 위원장 브렌던 카(Brendan Carr)가 “인공지능 인프라 구축을

By JustAnotherEditor
시트릭스블리드 2 취약점, 이미 익스플로잇 시작됐다

시트릭스블리드 2 취약점, 이미 익스플로잇 시작됐다

💡Editor's Pick - 공격자들이 좋아하는 네트워크 장비들, 취약해 - 2023년에도 한 차례 업계를 휩쓸고 간 취약점 - 이번에 나온 것도 그것과 비슷...다른 점도 존재 2023년 크게 화제가 됐던 취약점의 후속편이 돌아왔다. 시트릭스블리드(Citrix Bleed)의 후예인 시트릭스블리드2이다. 이미 해커들이 활발히 익스플로잇 하고 있으며, 이전 버전만큼이나 위협적인 것으로

By JustAnotherEditor
"SGI보증보험, 치명적 보안실수..외부 침입할 수 있도록 포트 열어놔"

"SGI보증보험, 치명적 보안실수..외부 침입할 수 있도록 포트 열어놔"

💡Editor Pick - SGI보증보험, 4월 17일 SSH서비스를 외부 침투할 수 있도록 열어놔 - 포트 변경 미흡, 접근통제 미흡이 해킹 주요 요인으로 '지목' SGI보증보험이 해커로 부터 랜섬웨어 공격을 받은 가운데, 외부에서 침입할 수 있도록 포트가 열린 정황이 포착됐다. 지난 4월 17일 SGI보증보험이 사용 중인 VPN안에 SSH서비스가 외부에서 접속할 수

By CheifEdi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