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이버안보학회, '2025 KACS 워크숍' 성료

한국사이버안보학회, '2025 KACS 워크숍' 성료
[2025 한국사이버안보학회 워크숍 단체사진 <이미지: 사이버안보학회>]

한국사이버안보학회(KACS)가 19일(목)∼20일(금) 양일간 부산 아쿠아펠리스호텔에서 ‘AI시대의 사이버안보 거버넌스’를 금년도 연구 주제로 '2025 KACS 워크숍' 개최했다.

이번 워크숍은 학계·산업계·정책기관 등 70여명 이상 전문가가 참여해 새로 출범한 정부가 추진해야 할 사이버안보 및 인공지능(AI) 관련 국가전략·기술정책·법제도에 대해 논의했다.

특히, 국내의 SKT 해킹사고, YES24 랜섬웨어 공격, 중국의위챗·알리페이 개인정보 유출 등 국가 기간망 뿐만 아니라 개인에게도 직접 피해를 미치는 최근 사이버 위협을 분석하고 대응책을 논의했다.

워크숍은 AI 기술 발전과 AI를 이용한 사이버 공격이 더욱 정교해지는 환경에서 국가 사이버안보를 지키기 위한 거버넌스 방안을 연구 주제로 ▲국가전략 ▲기술정책 ▲법제도 등 3개 전문 트랙으로 나누어 발표하고 공유했다.

국가전략 분야에서는 트럼프 행정부 출범과 국가 간 사이버안보 협력이 긴요한 글로벌 환경에서의 사이버안보 전략을 주제로 논의했고, 기술 정책 분야는 새롭게 추진하고 있는 '국가 망 보안체계(N2SF)'를 조기에 정착시키기 위한 기술 뒷받침으로 보안대책 및 보안 체크리스트 개발 등을 중점으로 연구 방향을 소개했다.

또한, 법제도 분야에서는 공세적 사이버 방어 전략의 이행을 위한 법제 연구, 민간 보안 전문가 활용 활성화를 위한 자격제도 도입 방안, 변화하는 보안 환경을 고려한 공공부문 ICT 제품 및 서비스 안전성 검증 제도 정비 방안에 관한 연구 계획을 설명했다.

한편, 워크숍에서는 ▲사이버안보 아카데미 ▲논문 공모전 ▲학회지 발행 등 학회의 주요 사업을 공유하는 자리도 마련됐다. 김미주 변호사(법무법인 미주)의 '생성형 AI시대의 디지털 거버넌스: 정보보호와 저작권 이슈 분석'을 주제로 한 전문가 초청 강연도 참석자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었다.

손기욱 학회장(서울과학기술대학교)은 “사이버와 인공지능을 둘러싼 전략 경쟁과 기술 변화가 가속화되는 지금, 학계와 산업계, 정책기관이 함께 대응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학회가 사이버안보 연구 교류와 정책 제언의 중심 플랫폼이라는 역할을 하는데, 이번 워크숍이 의미있는 자리였다”고 소회를 밝혔다.

후속으로, 학회에서는 오는 7월 9일 '정보보호의 날' 행사에 맞춰 AT센터(세계로룸)에서 ‘2025 사이버안보 최신 이슈 세미나’를 개최할 예정이다.


Read more

루이비통, 개인정보 유출...명품 브랜드줄줄이 보안사고 다른 잣대 필요

루이비통, 개인정보 유출...명품 브랜드줄줄이 보안사고 다른 잣대 필요

💡Editor Pick - 루이비통, 외부 해커가 시스템 해킹 통해 개인정보 유출 - 유출된 개인정보: 이름, 연락처, 고객 제공의 추가 정보 등 - 6월8일 사고 발생, 7월 2일 보안사고 인지...관계 당국 사실통지 명품 브랜드 루이비통에서 개인정보 유출 사고가 발생했다. 루이비통은 해커가 당사 시스템을 해킹해 고객정보가 유출됐다고 4일 문자, 메일 등을

By CheifEditor
SKT, 보안투자 5년간 7천억원 확대

SKT, 보안투자 5년간 7천억원 확대

💡Editor Pick - 고객 안심패키지 강화, ‘사이버 침해 보상 보증 제도’ 도입 예정 - 정보보호 투자 5년간 7천억원 확대, 내∙외부 보안 검증체계 강화 - 약정 고객 해지 위약금 면제 SKT(대표이사 사장 유영상)가 지난 4월 사이버 침해사고에 대한 막중한 책임감과 신뢰 회복을 위한 ‘책임과 약속’ 프로그램을 4일 발표했다.

By CheifEditor
UN, “현대HD 등 이스라엘 돕는 기업들 심판 필요” 주장

UN, “현대HD 등 이스라엘 돕는 기업들 심판 필요” 주장

💡Editor Pick - 이팔 전쟁에 직간접적 개입한 사기업 많다고 UN이 고발 - 무기 개발사, 최첨단 IT 기업, 중장비 및 건설 업체, 글로벌 브랜드 등 - "윤리 추구 초월한 국제법 위반" 현재 팔레스타인에서 진행되고 있는 이-팔 전쟁을 통해 많은 기업들이 비윤리적인 이득을 취하고 있다고  UN이 고발했다. “기업들은 식민지적 축출

By JustAnotherEdi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