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대통령 "미래산업인 방위산업, AI·무인 로봇 무기 체계 개발" 강조

이 대통령 "미래산업인 방위산업, AI·무인 로봇 무기 체계 개발" 강조
[이미지: 대통령실]
💡
Editor Pick
- 제1회 방위산업의 날 맞아 'K-방산 미래의 길을 찾다' 토론회 참석
- "첨단무기 제품 경쟁력 강화, 방위산업 수출 확대 등에 정부 노력"

이재명 대통령이 8일 용산 그랜드 하얏트 호텔서 열린 'K-방산 미래의 길을 찾다' 토론회서 "방위산업이 더 나아가서 대한민국의 미래 먹거리 산업의 하나로 자리잡게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대한민국은 분단 국가, 전쟁 진행 중인 나라, 세계 군사 밀도가 높은 위험한 나라"라며 "방위산업은 대한민국 안보 산업으로, 이젠 무기 체계 수출 국가가 됐다"며 미래 먹거리 산업으로 주목했다.

이어 이 대통령은 "정부가 앞으로 노력을 기울여 투자, 지원해 방위산업 강국으로 나아갈 수 있게 하려고 한다"며 "전장에서 인공지능이나 무인 로봇과 같은 경쟁력 있는 무기 체계를 개발하고 발전시켜야 된다"며 K-방산 제품 경쟁력 강화를 제안했다.

특히 많은 기업들이 규모에 관계없이 참여할 수 있는 방위산업 생태계 구축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AI, 무인 로봇 등 첨단 무기 체계 개발을 통한 제품 경쟁력 향상과 다양한 기업이 참여하는 산업 생태계 조성으로, 방위산업 수출이 확대되도록 정부가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비공개 토론회에선 AI 기술 중요성과 기술력 확보, 인프라 구축, 국방 데이터 접근 어려움, 국방 데이터 통합 관리 체계 마련 시급 의견이 제기됐다.

또한 방위사업청이 아닌 방위산업청 수준으로 인식 전환이 필요하단 의견도 나왔다.

AI 스타트업 대표들은 컨소시엄 참여를 제안했고, 이에 대통령은 방위산업이 중소·벤처기업에 기회가 주어져야 한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방산 수출 컨트롤 타워 설치 지시를 언급하며, 민관이 함께하는 생태계 전환과 국제 협력 확대에 정부가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방위사업청, 방산기술 보호지원 전담기관 ‘국방기술품질원’ 지정
💡Editor Pick - 방위산업 기술보호, 체계적 지원체계 구축 - 국방기술품질원, 대상기관 보안관제·기술유출 대응·실태조사 등 수행 방위사업청(청장 석종건)은 30일 국방기술품질원(원장 신상범)을 방위산업기술 보호지원 업무를 수행 전담기관으로 지정했다. 방위사업청은 ‘방위산업기술 보호법’ 개정을 통해 요건을 충족하는 국방기술품질원을 ‘방위산업기술 보호지원 전담기관’으로 지정하게 됐다고 밝혔다. 국방기술품질원은 ‘방위산업기술 보호법’
이 대통령, 나토 사무총장과 방산분야 협력 강화
💡Editor Pick - 한국-나토 간 파트너십 방안 논의 - 상호운용성 증진과 나토 고가시성 프로젝트에 한국 참여 등 - 구체 방산 협력 방안 협의, 글로벌 안보 대응에 긴밀히 소통하기로 함 이재명 대통령은 3일 마르크 뤼터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사무총장과 통화해 한국과 나토 간 파트너십 방안을 논의했다. 강유정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을 통해 뤼터
이재명 대통령, UAE와 AI·첨단기술·국방 협력
💡Editor Pick - 양 정상, AI·첨단기술·국방·방산·원전 등 분야서 협력 강화 - 양국 관계 증진을 위한 구체 협력 방안 논의 예정 이재명 대통령은 1일 모하메드 빈 자이드 알 나흐얀 아랍에미리트연합국(UAE) 대통령과 취임 후 첫 통화를 가졌다고 강유정 대변인이 브리핑을 통해 밝혔다. 이 대통령은 모하메드 대통령 취임

Read more

"의료기기, 미국시장 진출하려면 사이버 보안부터 챙겨야"

"의료기기, 미국시장 진출하려면 사이버 보안부터 챙겨야"

💡Editor’s Pick - 의료기기 출시 전 사이버 보안 적용해 환자 치료 중단되지 않도록 해야 - 의료기기 제조사, 미국 진출 시 사이버보안 엔지니어링 법 적용 받아 미국 시장에 진출하려는 의료기기 제조사는 사이버보안 엔지니어링 법을 적용받아 의료기기의 사이버 보안을 강화해야 한다. 의료기기 출시전부터 사이버 보안을 적용해 의료기관 임상 현장에서 환자 치료가

By CheifEditor
사이버안보 비서관, 김소정 전국가안보전략연구원책임연구위원 임명

사이버안보 비서관, 김소정 전국가안보전략연구원책임연구위원 임명

💡Editor’s Pick - 국가사이버안보, 국방외교안보, 국제안보 등 자문위원 및 연구활동 - 국가안보실 산하 사이버안보 비서관 업무, 사이버안보에 주축 역할 담당 이재명 정부 사이버안보 비서관으로 김소정 전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책임연구위원이 임명됐다. 이로써 김소정 신임 사이버안보 비서관은 그동안 공석이었던 대통령 국가안보실 산하 사이버안보 비서관 업무를 맡으며, 국가 사이버안보에 주축 역할을 담당한다. 공학박사인

By CheifEditor
현 시점 온라인 사기의 모든 전략과 전술

현 시점 온라인 사기의 모든 전략과 전술

💡Editor’s Pick - 감정을 살살 건드리는 교묘한 문구들 - 소셜미디어 플랫폼이 특히 위험 - 최종 행동을 취하기 전에도 거듭 확인 온라인 사기가 진화함에 따라 일반 사용자들이 주의해야 할 것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이 중에는 잘 알려진 것들도 있고 그렇지 않은 것들도 있다. ‘피싱 공격’이라는 말을 들어본 사람은 빠르게

By 문가용 기자
지메일 사용자 25억명,이름·연락처 노출

지메일 사용자 25억명,이름·연락처 노출

💡Editor Pick - 해킹 조직 ‘샤이니헌터스,’ 구글 클라우드서 데이터 탈취 - AI 활용한 ‘보이스 피싱’ 진화…자동 통화로 사용자 속여 구글의 이메일 서비스 지메일(Gmail) 이용자 약 25억명 계정이 대규모 해킹 위협에 노출됐다. 현지시각 24일 IT 보안 매체 사이버섹(Cybershack)에 따르면 해킹 조직 ‘샤이니헌터스(ShinyHunters)’가 구글 클라우드에서 회사

By CheifEdi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