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대통령 "미래산업인 방위산업, AI·무인 로봇 무기 체계 개발" 강조

- 제1회 방위산업의 날 맞아 'K-방산 미래의 길을 찾다' 토론회 참석
- "첨단무기 제품 경쟁력 강화, 방위산업 수출 확대 등에 정부 노력"
이재명 대통령이 8일 용산 그랜드 하얏트 호텔서 열린 'K-방산 미래의 길을 찾다' 토론회서 "방위산업이 더 나아가서 대한민국의 미래 먹거리 산업의 하나로 자리잡게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대한민국은 분단 국가, 전쟁 진행 중인 나라, 세계 군사 밀도가 높은 위험한 나라"라며 "방위산업은 대한민국 안보 산업으로, 이젠 무기 체계 수출 국가가 됐다"며 미래 먹거리 산업으로 주목했다.
이어 이 대통령은 "정부가 앞으로 노력을 기울여 투자, 지원해 방위산업 강국으로 나아갈 수 있게 하려고 한다"며 "전장에서 인공지능이나 무인 로봇과 같은 경쟁력 있는 무기 체계를 개발하고 발전시켜야 된다"며 K-방산 제품 경쟁력 강화를 제안했다.
특히 많은 기업들이 규모에 관계없이 참여할 수 있는 방위산업 생태계 구축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AI, 무인 로봇 등 첨단 무기 체계 개발을 통한 제품 경쟁력 향상과 다양한 기업이 참여하는 산업 생태계 조성으로, 방위산업 수출이 확대되도록 정부가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비공개 토론회에선 AI 기술 중요성과 기술력 확보, 인프라 구축, 국방 데이터 접근 어려움, 국방 데이터 통합 관리 체계 마련 시급 의견이 제기됐다.
또한 방위사업청이 아닌 방위산업청 수준으로 인식 전환이 필요하단 의견도 나왔다.
AI 스타트업 대표들은 컨소시엄 참여를 제안했고, 이에 대통령은 방위산업이 중소·벤처기업에 기회가 주어져야 한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방산 수출 컨트롤 타워 설치 지시를 언급하며, 민관이 함께하는 생태계 전환과 국제 협력 확대에 정부가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Related Materials
- 키워드로 보는 방위산업의 현재와 미래 - PwC, 2024년
- PwC 글로벌 항공우주 및 방위 산업 연례 보고서 : 삼일회계법인, 2024년
- Make K-Defense Great Again - 하나증권, 2024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