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양자종합계획' 연말까지 마련…AI·양자 융합 추진

AI 한계 극복할 ‘양자기술과 AI 융합’ 추진
산학연, 글로벌 진입 전략 논의...인프라 확대·보안 패러다임 전환 추진
정부가 인공지능(AI)과 양자기술을 접목해 미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양자종합계획' 수립에 착수했다.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20일 대전 한국표준과학연구원에서 열린 ‘퀀텀(양자) 프론티어 전략대화’에서 올해 말까지 10년을 내다보는 국가 차원의 종합계획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배 장관은 "대형언어모델(LLM) 발전으로 연산 처리 부담과 전력 소모 문제가 커지고 있어, 향후 GPU 중심의 방식은 한계에 직면할 것"이라며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은 양자기술과 AI 융합”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향후 5∼10년 내에 양자기술을 선도할 기회를 놓쳐선 안 된다며, 국가 전략적 대응의 필요성을 언급했다.
간담회에는 KAIST, 이화여대, 연세대, ETRI, KISA 등 학계와 삼성SDS, 지큐티코리아, 큐심플러스 등 산업계 전문가들이 함께해 양자보안, 인력 양성, 활용 시장 선점 방안을 논의했다. 참석자들은 △양자 소부장 기업 육성 △SW 연구개발 강화 △정부 주도 실증사업 확대 등을 주문하며 글로벌 공급망 진출 전략을 제시했다.
정부는 향후 5년 안에 양자컴퓨터, 양자통신, 양자센서 분야에서 가시적 성과를 도출하고, 중장기 경쟁력까지 확보하는 ‘투트랙 전략’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양자팹, 양자컴퓨팅 허브, 양자클러스터 거점 등을 조성하고, 양자암호통신 시범망 확대를 통해 상용화를 앞당길 방침이다. 또한 국가 암호체계를 양자내성암호 기반으로 전환하기 위한 기술개발·실증 지원도 강화하기로 했다.
Related Materials
- [The AI Report 2025-6] 투자 규모를 중심으로 본 주요국 AI 정책 동향 - NIA , 2025년
- 양자 컴퓨팅 시장 규모, 점유율 및 성장 보고서, 2032 - Fortunebusinessinsights , 2024년
- AI Index 2025 주요 내용과 시사점 - SPRi , 2024년
- 제276호 과학기술&ICT정책·기술동향(미국·EU·일본·독일 양자/AI 주요 정책 동향)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2024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