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어 사용 공격자, 국내 서버 공격

중국어 사용 공격자, 국내 서버 공격
[이미지: 안랩]

최근 국내 웹 서버를 노린 사이버 공격이 포착됐다. 공격자는 네트워크 장악 시도를 위해 악성코드로 시스템을 감염시켰다. 네크워크가 장악될 경우 민감한 정보 탈취나 랜섬웨어에 감염될 수 있어 이용자들의 철저한 보안 점검이 필요하다.

공격자는 웹쉘 악성코드를 설치하고, 라돈(Ladon) 도구를 악용, 수퍼쉘(SuperShell)과 메쉬에이전트(MeshAgent)를 설치해 감염 시스템을 제어했다.

라돈은 중국어 사용 공격자가 주로 이용하는 공격 도구다. 주로 공격자가 권한상승 과정에서 활용된다.

수퍼쉘은 Go 언어로 개발되어 윈도우와 리눅스, 안드로이드를 포함한 다양한 플랫폼을 지원한다. 실질적인 기능은 리버스 쉘이며 공격자는 이를 이용해 감염 시스템을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다. 수퍼쉘은 관리가 미흡한 리눅스 서버 공격에 악용됐으며, UNC5174와 같은 APT 공격자가 사용한 바 있다.  

메쉬에이전트는 원격 관리에 필요한 시스템 기본 정보 수집, 전원 및 계정 제어, 채팅이나 메시지 팝업, 파일 업로드·다운로드, 명령 실행 기능을 제공한다. 이외에도 원격 데스크톱을 지원한다.

이처럼 공격자는 악성코드 설치·이용해 감염 시스템 정보 수집, 감염 시스템과 네트워크 스캐닝 단계를 거쳐 관리자 계정 정보를 획득, 조직의 다른 시스템으로 측면 이동하며, 시스템 장악을 위해 국내 서버를 공격했다. 공격자는 이외에도 MS-SQL 서버 또한 공격 대상이 됐으며, 측면 이동 공격이 확인됐다.

안랩은 "공격자는 윈도우뿐만 아니라 리눅스도 공격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며 이러한 공격에 주의를 당부했다.


Read more

[긴급] 시큐위즈 제품, 패스워드 노출 취약점 발생...패치 적용 '시급'

[긴급] 시큐위즈 제품, 패스워드 노출 취약점 발생...패치 적용 '시급'

💡Editor Pick - SecuwaySSL U 1.0/2.0 제품에서 Root 패스워드 노출 취약점 발견 - 인터넷 망에서 SecuwaySSL 장비 SSH 접속 포트 차단 정책 설정해야 보안기업 시큐위즈의 SecuwaySSL U 1.0/2.0 제품에서 취약점이 발견돼 이용자들의 주의가 필요하다. 이용자들은 빠른 패치 적용이 필요하다. 22일 한국인터넷진흥원은 긴급조치 방안을 발표했다.

By CheifEditor
[긴급] 국가배후 해킹조직 공격, 티맥스 솔루션 장비 점검 '시급'

[긴급] 국가배후 해킹조직 공격, 티맥스 솔루션 장비 점검 '시급'

💡Editor Pick - 티맥스 티베로 솔루션이 설치된 장비 내 해시값 악성파일 점검 '시급' - 방화벽 등 보안 장비 로그에서 IP 접속 여부를 점검해야 최근 국가배후 해킹조직이 국가·공공기관과 기업을 타깃으로 악성코드를 유포와 해킹 시도가 확인됐다. 기업과 기관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특히 악성파일 점검과 악성IP 점검이 중요하다. 티맥스 티베로

By CheifEditor
정부, '양자종합계획' 연말까지 마련…AI·양자 융합 추진

정부, '양자종합계획' 연말까지 마련…AI·양자 융합 추진

💡Editor Pick AI 한계 극복할 ‘양자기술과 AI 융합’ 추진 산학연, 글로벌 진입 전략 논의...인프라 확대·보안 패러다임 전환 추진 정부가 인공지능(AI)과 양자기술을 접목해 미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양자종합계획' 수립에 착수했다.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20일 대전 한국표준과학연구원에서 열린 ‘퀀텀(양자) 프론티어 전략대화’에서 올해 말까지 10년을

By CheifEdi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