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드론 기체공급망 이니셔티브’ 출범

‘K-드론 기체공급망 이니셔티브’ 출범
[K-드론 기체 공급망 이니셔티브 출범식 <이미지: The Tech Edge>]
💡
Editor Pick
- 우주항공청 K-드론 이니셔티브 출범 : 드론 생태계 구축 위한 정책
- 드론 산업의 외산 의존에서 벗어난 자립 기반 마련

우주항공청(청장 윤영빈)이 'K-드론 기체공급망 이니셔티브 출범식'을 17일(화) 개최, 대한민국 드론산업 전략 도약에 돌입했다.

‘K-드론 기체공급망 이니셔티브’는 국내 드론산업이 직면한 ▲기체 및 핵심 부품의 해외 의존 문제 ▲공급망 취약성 ▲기술주도권 미확보 등 구조적 문제를 해결하고, 드론 생태계 구축을 위한 범정부 정책이다.

우주청은 세계 시장 진출을 위한 기술·정책 로드맵 마련, 기체와 핵심부품 국내 생산을 통한 산업 생태계 자립화, 범부처 협업체계 강화, AI와 차세대 반도체 기반의 지능형 드론 기술 혁신 생태계 조성 등 핵심 전략 과제 중심으로 정책과 기술 개발을 본격 추진 계획이다.

이번 이니셔티브를 통해 국내 드론산업은 외산 의존에서 벗어나 핵심 기술의 자립 기반을 구축하고, 안정적이고 회복력 있는 공급망 체계를 갖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민관 협력을 통해 기술력과 생산 역량도 함께 강화될 전망이다.

특히, 인공 지능과 차세대 반도체 등 첨단 기술과의 융합을 통해 기존의 기체 하드웨어 중심에서 벗어나, 고도화된 지능형 드론 기술 생태계를 선도할 수 있는 기반도 갖춰질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변화는 글로벌 시장에서의 기술 경쟁력을 점차 높이는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K-드론 기체공급망 이니셔티브 출범식' 단체사진 <이미지: The Tech Edge>]

우주항공청 존 리 임무본부장은 “K-드론 이니셔티브는 단순한 기술개발을 넘어, 국가 전략기술의 자립화, 공급망 복원력 강화,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한 범부처 협력체계의 출발점”이라며, “산업계와 협력을 통해 기술 혁신과 시장 확대를 동시에 달성하고, 지속가능한 드론 산업 생태계를 구축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또한 “이번 출범식을 통해 마련되는 정책 방향을 기반으로, 중점과제별 실행전략을 체계화하고, 이를 뒷받침할 예비타당성조사 기획 등 구체적인 실행 절차를 순차적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Read more

AI컨트롤타워, “국가인공지능전략위원회” 설치규정 국무회의 의결

AI컨트롤타워, “국가인공지능전략위원회” 설치규정 국무회의 의결

💡Editor’s Pick - AI 정책 지휘본부로 출범...‘국가인공지능전략위원회’로 명칭 변경 - 위원회 역할 확대, 범부처 인공 지능 전략과 정책 및 사업 총괄·조율 국가인공지능전략위원회 구성도가 본격 추진된다. 2일 '국가인공지능전략위원회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규정(대통령령)'이 국무회의서 의결됐다.  이번 대통령령 제정은 그 후속조치로, 대통령이 위원장으로서 단순

By CheifEditor
금감원, 롯데카드 사고 ‘비상대응체계’ 가동

금감원, 롯데카드 사고 ‘비상대응체계’ 가동

💡Editor’s Pick - 이찬진 금융감독원장, 롯데카드 소비자 피해 예방 최우선 대응 지시 - “정보보안은 신뢰 기반”…CEO 책임 강조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은 2일 임원회의에서 최근 발생한 롯데카드 침해사고와 관련해 “소비자 피해 예방을 최우선 과제로 두고 신속하고 면밀하게 대응하라”고 지시했다. 2일 금감원은 즉각 비상대응체계를 가동해 현장검사에 착수하고, 사고 원인과 피해

By CheifEditor
복구 할 수 없게 설계한 '다이어 울프' 랜섬웨어 주의!

복구 할 수 없게 설계한 '다이어 울프' 랜섬웨어 주의!

💡Editor’s Pick - 특정 디렉터리 타깃, 중복 실행 판별, 암호화 처리 식별, 성능 저하 시켜 - 현재까지 미국, 태국, 대만 등 16개국 16개 조직 피해 다이어 울프(DireWolf) 랜섬웨어 공격이 포착돼 이용자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이 그룹은 2025년 5월 처음 모습을 드러냈다. 같은 달 26일 다크넷 유출 사이트에 첫 피해

By CheifEditor
로봇청소기, 카메라 사진 열람 등 보안 취약점 발견

로봇청소기, 카메라 사진 열람 등 보안 취약점 발견

💡Editor’s Pick - 인증 절차 미비, 불법 접근 및 조작과 개인정보 관리 미흡으로 유출 우려 - 펌웨어 보안 설정 미흡, 기기 내부 보안 구조 외부 노출 취약점 - 안전한 로봇청소기 사용 위한 보안수칙 준수해야 로봇청소기에서 카메라 사진 열람 등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는 취약점이 발견됐다. 로봇청소기는 카메라와 센서를 통해

By CheifEdi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