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랜섬웨어, 위협과 대응의 시간
![[칼럼] 랜섬웨어, 위협과 대응의 시간](/content/images/size/w1200/2025/07/unnamed--7--1.jpg)
- 랜섬웨어, 병원·통신·학교·금융 표적...‘보안 이슈’ 아닌 ‘사회 문제’
- 데이터 탈취·협박 ‘이중 갈취’ 보편화, 자동화로 여러 조직 동시 공격
- 이메일·원격 접속 취약점 조합 침투 증가...침투 훈련 없는 매뉴얼 허점
- 보안, 고립된 기술 아니라 사회 전체가 함께 지켜야 할 공동 책임
[칼럼 방효섭 엔피코어 엔피연구소 이사] 정부와 기업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랜섬웨어 공격은 여전히 멈추지 않고 있다. 단순한 해킹을 넘어, 산업 전반과 시민 일상에 직격탄을 날리는 고도화된 공격으로 진화하고 있다. 최근 금융기관을 겨냥한 침해 사례가 연이어 발생하면서, 보안은 더 이상 IT 부서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적 기반을 지키는 공공안전의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1. 멈추지 않는 랜섬웨어 – 2025년 금융권 ‘서울보증’ 사태로 본 현실
2025 년 7월, SGI서울보증이 랜섬웨어 공격으로 전산 시스템 전체가 마비됐다. 보험사 최초의 침해 사례로, 웹사이트·모바일은 물론 전세·주택담보대출 등 핵심 금융 업무까지 멈췄다. 일부 은행은 고객에게 보증서 없이 선 대출을 제공하며 급한 불을 껐고, 시스템 복구는 지연되는 중이다. 이 사건은 랜섬웨어 위협이 IT 기업을 넘어, 실생활과 연결된 금융 인프라까지 파고들고 있음을 보여준다. 대출 지연, 고객 불편 등 현실적 피해는 서비스 중단이 단순한 ‘보안 이슈’가 아닌 ‘사회 문제’라는 사실을 명확히 드러낸다.
2. 공격의 진화 – 협박 방식과 침투 수법까지 더 정교해졌다
최근 랜섬웨어는 단순 파일 암호화에서 그치지 않는다. 데이터를 탈취한 후 이를 유출하겠다며 협박하는 ‘이중 갈취’가 보편화되고 있다. 자동화된 공격 도구를 통해 여러 조직을 동시에 노리거나, 이메일·원격 접속 취약점을 조합해 침투하는 수법도 증가 추세다. 병원, 통신사, 학교, 금융기관 등 실생활과 연결된 분야가 주요 표적이 되고 있으며, 운영체제 내 기본 도구를 악용하는 APT(지능형 지속 위협) 침투도 확산되고 있다. 기존 방식의 대응만으로는 부족하다는 점이 분명해진다.
3. 왜 계속 당할까? – ‘알면서도 막지 못하는’
현실 많은 조직이 보안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지만, 패치 미적용, 권한 관리 미흡, 백업 부재 등 기초 보안은 여전히 취약한 경우가 많다. 운영체제와 소프트웨어가 최신이 아니고, 관리자 계정이 방치되거나 정기 백업이 빠진 곳도 흔하다. 보안 교육은 일회성에 그치고, 침투 상황을 가정한 훈련 없이 대응 매뉴얼만 존재하는 경우도 많다. 실전 경험이 없는 조직은 공격 발생 시 대응이 늦어질 수밖에 없다. “설마 우리까지”라는 안일함이 랜섬웨어 공격의 통로가 되고 있는 셈이다. 결국 문제는 기술보다, 준비되지 않은 태도에서 비롯된다.
4. 막을 수는 없을까? – 실천 가능한 예방 전략
보안은 결국 기본을 지키는 데서 출발한다. 운영체제·소프트웨어 보안 패치를 정기적으로 적용하고, 오프라인을 포함한 다중 백업 체계를 갖춰야 한다. 의심스러운 메일에 대한 대응 훈련과 다중 인증(MFA), 최소 권한 관리도 필수다. 최근에는 AI 기반 이상징후 탐지 시스템도 상용화되고 있다. 하지만 기술보다 중요한 건 전 직원의 인식 변화다. 보안은 IT팀의 업무가 아니라, 모든 직원이 실천해야 할 조직문화다.
5. 대기업은 생태계 기반 방어체계로 – XDR의 도입이 핵심
대기업은 XDR(확장 탐지·대응) 기반 통합 보안 체계를 통해, 다양한 위협 데이터를 통합 분석하고 공격 흐름을 조기에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이와 함께, 실제 공격 상황을 가정한 ‘모의 침투 훈련’을 통해 방어 시나리오를 점검하는 것도 중요하다. 한 팀은 공격을, 다른 팀은 방어를 맡아 실제 해킹 상황을 시뮬레이션한다. 이 과정을 통해 실전 대응력과 취약점 점검이 동시에 가능하다. 대기업의 보안은 복합 리스크를 관리하는 핵심 전략이 되어야 한다.
6. 중소기업은 클라우드 보안 + 정부지원 활용이 현실적
예산과 인력이 부족한 중소기업은 클라우드 기반 보안 서비스(SaaS)를 통해 초기 투자 없이 최신 보안 체계를 도입할 수 있다. 클라우드형 EDR, 이메일 보안, 자동 백업 솔루션이 대표적이다. 또한 과기정통부, KISA 등이 운영하는 정보보호 지원사업을 활용하면 컨설팅, 인증, 솔루션 도입 비용 지원도 받을 수 있다. 기업의 크기가 아닌 ‘취약성’이 공격의 기준이라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한다.
7. 2025 년 변화의 시작 – 보안은 이제 협력의 시대
2025 년부터 국내 보안 기업 간 자율 협력체계가 본격 가동되고 있다. 위협 정보 공유, 침해 지표 연계, 공동 훈련 등을 중심으로 민간이 주도하는 대응 생태계가 만들어지고 있다. 공격은 조직적으로 이뤄지는데, 방어는 각자도생이었던 기존 구조를 바꾸려는 시도다. 정부도 인센티브와 제도 정비로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기술 경쟁을 넘어 정보 공유와 협업이 곧 사이버 방어력이라는 인식이 확산되는 중이다. 보안은 이제 고립된 기술의 영역이 아니라, 사회 전체가 함께 지켜야 할 공동 책임이다.

Related Materials
- 2024년 랜섬웨어 공격 모음: 올해의 주요 사건들 - 상포, 2024년
- 정교해진 사이버 공격의 변화 양상과 대응 전략 - 딜로이트, 2024년
- 금융의 디지털화와 위험요소 - KIRI 연구보고서, 2024년
- 2024 사이버 위협 동향 보고서 - 라자루스데이, 2024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