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스퍼스키, 국내 웹 기반 사이버 공격 260만건 상회

카스퍼스키, 국내 웹 기반 사이버 공격 260만건 상회
[이미지: AI Generated by TheTechEdge]
💡
Editor Pick
- 2분기 동안 국내 KSN 참여자 중 12.7%가 웹 기반 위협에 노출
- 주요 공격 경로, 브라우저와 플러그인 취약점 이용한 DBD 방식

올해 4월부터 6월까지 국내에서 탐지한 인터넷 기반 사이버 공격이 총 2,613,289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1분기 3,063,343건 대비 약 14.7% 감소한 수치다.

웹 기반 위협
카스퍼스키가 발표한 2025년 2분기 보안 보고서(Kaspersky Security Bulletin)에 따르면 2분기 동안 국내 KSN 참여자 중 12.7%가 웹 기반 위협에 노출, 전 세계 113위로 집계됐다. 1분기(13.7%, 107위) 대비 비율과 순위 모두 소폭 하락했다.

주요 공격 경로는 브라우저와 플러그인의 취약점을 이용한 드라이브 바이 다운로드(DBD) 방식이며, 파일리스 악성코드는 레지스트리 또는 WMI 구독을 통해 지속성을 유지해 정적 분석은 어렵다.

소셜 엔지니어링 방식도 사용되며, 공격자는 악성 코드를 정상 프로그램처럼 위장하고 난독화를 사용해 정적 분석과 에뮬레이션을 우회한다.

카스퍼스키는 행동 기반 탐지와 익스플로잇 예방 기능을 통해 이러한 위협을 탐지 및 차단한다.

로컬 위협
2분기 국내에서 탐지된 로컬 위협은 총 1,798,459건이며, 공격을 받은 사용자는 전체의 20.4%였다. 1분기 1,835,168건, 21.5% 대비 건수와 비율 모두 소폭 감소했다.

로컬 위협은 주로 웜과 파일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며, USB 드라이브, CD/DVD 등 오프라인 매체를 통해 확산된다. 대응을 위해 안티바이러스, 방화벽, 루트킷 방지, 이동식 장치 제어 기능이 필요하다.

위협 발생지
국내 서버에서 발생한 온라인 위협은 2분기 1,545,602건으로, 전 세계 20위를 기록했다. 1분기 1,595,680건, 19위 대비 순위가 한 단계 하락했다. 전체 온라인 위협 중 국내 서버가 차지하는 비중은 0.46%였다.

카스퍼스키 이효은 한국지사장은 “올해 2분기에는 전반적으로 웹·로컬 위협 건수가 1분기보다 감소했지만, 여전히 수백만건 공격이 탐지되고 있다. 강력한 보안 환경 구축을 위해 머신러닝과 빅데이터 기반 위협 인텔리전스를 활용하고, 사용자 대상 보안 인식을 강화가 필수”라고 말했다.


2분기 피싱 공격 1위 ‘청첩장’ 위장
💡Editor Pick - ‘2025년 2분기 피싱 문자 트렌드 보고서’ 발표 - 1위: 청첩장 위장, 사칭 산업군 1위: 금융, 피싱 시도 방식 1위: URL 삽입 - 불분명한 송신자 보낸 URL 클릭 금지, 국제 발신 문자 수신 차단 등 준수 올해 2분기 피싱 공격 1위는 청첩장 위장 피싱이, 사칭 분야 1위 피싱은
Cloudflare, 2분기 초대형 DDoS 공격 7,300만 건 차단
💡Editor Pick - Cloudflare에서 6,500건 이상의 초대형 DDoS 공격 차단 - 보안이 취약한 포트, 유출 인증 정보가 DDoS 봇넷 확산 기여 Cloudflare가 2025년 2분기 동안 총 7,300만 건의 분산서비스거부(DDoS) 공격을 차단했다고 밝혔다. 이는 1분기 2,050만 건과 비교해 절반 이하로 줄어든 수치다. 그러나 공격의 규모와 복잡도는 더
KISA, 올해 2분기 랜섬웨어 신고 증가
💡Editor’s Pick - 올해 2분기 기업 랜섬웨어 감염 신고 건수, 1분기 대비 약 10% 증가 - 보안 투자, 전담 인력 부족한 비영리기관, 제조업, IT기업 집중 공격 최근 기업을 겨냥한 랜섬웨어 감염 사고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보안 담당자들은 사전 점검과 사고 대비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14일 발표한 자료에

Read more

시스코, CVSS 10점 치명적 FMC 취약점 경고… 원격 코드 실행 가능성

시스코, CVSS 10점 치명적 FMC 취약점 경고… 원격 코드 실행 가능성

글로벌 네트워크 장비 업체 시스코가 자사 ‘Secure Firewall Management Center(FMC) 소프트웨어’에서 치명적인 보안 취약점이 발견됐다며 긴급 보안 패치를 배포했다. 이번 취약점은 CVE-2025-20265로 식별됐으며, CVSS(공통 취약점 평가 시스템) 기준 만점인 10.0점을 받았다. 이는 보안 업계에서 가장 심각한 수준으로 분류되는 등 긴급 대응이 필요하다는 의미다. 이번 취약점은 FMC

By CheifEditor
LG U+, 경찰청과 보이스피싱 긴급 대응 체계 구축

LG U+, 경찰청과 보이스피싱 긴급 대응 체계 구축

💡Editor Pick - ‘AI 활용 민생범죄 예방 업무협약’ 체결…피싱 차단와 대응 체계 구축 - 경찰청 연계해 전국 매장 ‘현장 대피소’로 운영…‘익시오’ 활용 대응 LG유플러스가 경찰청과 손잡고 보이스피싱 근절에 나선다. 피싱·스미싱 피해를 예방·차단하고, 피해 고객을 돕기 위한 ‘현장 대피소’ 등 긴급 대응 체계를 구축한다. LG유플러스와 경찰청은

By CheifEdi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