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U+, 경찰청과 보이스피싱 긴급 대응 체계 구축

LG U+, 경찰청과 보이스피싱 긴급 대응 체계 구축
AI활용 보이스피싱 피해 예방을 위한 경찰청-LG유플러스 업무협약식 [이미지 LG유플러스]
💡
Editor Pick
- ‘AI 활용 민생범죄 예방 업무협약’ 체결…피싱 차단와 대응 체계 구축
- 경찰청 연계해 전국 매장 ‘현장 대피소’로 운영…‘익시오’ 활용 대응

LG유플러스가 경찰청과 손잡고 보이스피싱 근절에 나선다. 피싱·스미싱 피해를 예방·차단하고, 피해 고객을 돕기 위한 ‘현장 대피소’ 등 긴급 대응 체계를 구축한다.

LG유플러스와 경찰청은 22일 서울 용산 LG유플러스 사옥에서 ‘AI 기술 활용 민생범죄 예방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날 협약식에는 LG유플러스 홍범식 대표와 경찰청 박성주 국가수사본부장 등 주요 임원이 참석했다. 

이번 협업은 국민의 일상을 위협하는 보이스피싱을 체계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추진됐다. 이번 협력을 통해 LG유플러스는 통신 인프라에서 탐지되는 이상 패턴, 악성 앱 제어서버 로그, 의심 문자 착신번호, 중계기 단말 정보 등 보이스피싱 관련 데이터를 제공하고, 경찰청은 이를 자체 범죄 DB 및 수사 정보와 연계해 실시간 대응 체계를 강화할 방침이다.

특히 LG유플러스는 AI 앱인 ‘익시오(ixi-O)’의 보이스피싱 탐지 기능을 활용해 확보한 피싱 의심 데이터를 경찰청과 공유한다. 피싱 범죄에 대한 사전 인지와 대응, 사후 추적 체계를 다질 계획이다.

보이스피싱·스미싱 등 피해 고객 보호에도 협력한다. 양측은 LG유플러스 매장을 피해 고객의 ‘1차 대피소’로 지정, 초동 대응부터 경찰 인계로 이어지는 긴급 대응 프로세스를 마련한다. 또한 경찰청의 현장 교육 프로그램으로 LG유플러스 보안전문상담사의 역량을 강화해 실질적인 대응 체계도 고도화할 계획이다.

LG유플러와 경찰청은 고객들의 보이스피싱 인식 개선을 위해서도 힘을 모은다. 양측은 대국민 보안 캠페인을 공동 추진한다. 경찰 전문 인력이 출연한 정보 콘텐츠를 영상, 신문, SNS 등 다양한 채널로 배포하고, 전국 LG유플러스 매장 고객에게 예방 안내 자료 제공 등 오프라인 접점 기반 캠페인을 강화한다.

 LG유플러스와 경찰청은 학교폭력·스토킹·다단계 사기 등 다양한 사이버기반 범죄로 협업을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홍범식 LG유플러스 대표는 “LG유플러스는 피싱 스미싱 등 통신을 활용한 범죄로부터 고객을 보호함으로써 모두가 안심할 수 있는 밝은세상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경찰청과 함께 책임 있는 민간 기업의 역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박성주 경찰청 국가수사본부장은 “보이스피싱 범죄는 개인의 재산적, 정신적 피해를 넘어 한 가족을 붕괴하거나 사회 전체의 안전망을 훼손하는 심각한 민생 침해 범죄"라며 "이번 LG유플러스와의 업무협약이 민관의 협업을 통해 범죄를 예방하는 모범적인 사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LG유플러스, ”보이스피싱 탐지...안전한 AI로 혁신할 것”
보이스피싱 탐지 기능으로 피해 예방 가능 딥페이크 목소리 찾는 ‘안티 딥 보이스’ 기능 도입 예정 LG유플러스의 AI 통화 에이전트 서비스인 ‘익시오(ixi-O)’ 업데이트를 통해 보안 기능 강화에 나섰다. 익시오는 ▲실시간 보이스피싱 탐지 ▲보이는 전화 ▲전화 대신 받기 ▲통화 녹음 및 요약 등 기능을 온디바이스(On-device) 환경에서 제공하는 AI 서비스다. LG유플러스가
[단독] LG유플러스도 해킹? 데프콘에서 유출파일 공개...통신사 보안 ‘비상’
💡Editor’s Pick - 데프콘에서 공개된 해킹된 국내 데이터중 LG유플러스 포함 - 2023~2025년 2년간 30만건 서버 패스워드 변경 이력 포함 - 해커 로그 서버 해킹...엘지유플러스 사실 확인 중 SKT 해킹 사고가 채 가시기도 전에 LG유플러스 데이터 유출 의혹도 제기돼 통신사 보안에 비상이 걸렸다. 이번에 ‘데프콘(DEF CON)’에서 공개된
北보단 中해킹 조직...국내 대규모 공격 주범 ‘농후’
💡Editor Pick - ‘APT-Down Revisited: 국가지원해킹그룹 해킹자료 분석’ 보고서 발표 - APT31 해킹 그룹 근거, Rootkit 및 악성코드·이반티 VPN 공격코드 - 비콘·공격자 행위 분석·TTP 기반 분석 결과 등 제시 데프콘서 프랙잡지를 통해 공개된 국내 대규모 해킹 공격 주범이 중국 해커 조직일 가능성이 높단 연구 결과가 나왔다. 중국

 

Read more

시스코, CVSS 10점 치명적 FMC 취약점 경고… 원격 코드 실행 가능성

시스코, CVSS 10점 치명적 FMC 취약점 경고… 원격 코드 실행 가능성

글로벌 네트워크 장비 업체 시스코가 자사 ‘Secure Firewall Management Center(FMC) 소프트웨어’에서 치명적인 보안 취약점이 발견됐다며 긴급 보안 패치를 배포했다. 이번 취약점은 CVE-2025-20265로 식별됐으며, CVSS(공통 취약점 평가 시스템) 기준 만점인 10.0점을 받았다. 이는 보안 업계에서 가장 심각한 수준으로 분류되는 등 긴급 대응이 필요하다는 의미다. 이번 취약점은 FMC

By CheifEdi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