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발사체 산업 활성화, 생태계 기반 마련돼야

민간발사체 산업 활성화, 생태계 기반 마련돼야
[20일 국회의원회관에서 개최된 민간발사체 산업활성화 토론회 <이미지: The Tech Edge>]
💡
Editor Pick
- 최형두, 황정아 의원실 & 한국우주기술진흥협회 주최 토론회 열려
- 기술 발전 위해 민간 기업의 연구와 성장 필요하나 행정, 비용 등의 문제 산적
- 우주 영역의 원천기술 확보 가능 기업 산업 성장 환경 조성 필요

'우리 위성은 우리 발사체'를 적용해야 한다는 공감대 확산 필요성이 제기됐다. 또 민간 주도의 발사서비스 생태계 기반도 마련돼야 하단 주장도 나왔다.

20일 국회의원회관서 열린 최형두, 황정아 의원실과 한국우주기술진흥협회가 공동 주최한 '민간발사체 산업 활성화 토론회'선 국가 우주발사체 개발 및 산업육성을 위한 산, 학, 연 전문가들의 의견이 교류됐다.

발사체 산업 활성화에 있어 풀어야 할 과제로 정혜경 우주항공청 우주항공산업정책과장은 "'우리 위성은 우리 발사체로'라는 공감대가 우선 확산돼야 한다"며 "타 부처들과도 컨센서스 정립이 돼야 한다"고 말했다. 또 브릿지 사업으로서 누리호 헤리티지 사업을 추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발사서비스 체계 구축 환경이 조성돼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진승보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기술 헤리티지, 인프라 헤리티지, 인력 헤리티지, 데이터 헤리티지 등 민간 주도 의 발사서비스 생태계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며 "발사서비스 체계를 구축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뿐만 아니라 민간 발사체 제작, 개량 및 다양한 발사임무에 능동적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누리호 발사서비스 산업화의 장벽 요인으로는 누리호 우주수송능력 부족, 경사궤도 발사 레코드 부재, 가격경쟁력 부족, 생산연속성 중단 위기가 지목됐다.

이준원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전무는 "누리호 지속활용을 위한 수요 확보와 가격경쟁력 확보를 위한 협력이 이뤄져야 한다"며 "재료비, 노무비, 손폐비 절감을 위해 1회성 발사서비스 계약에서 다년간의 대량 발사서비스 계약이 될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이 전무는 "정부 산업화 지원 프로그램으로 민간 비용 부담을 완화해야 하고, 참여기업 공동의 원가절감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민,군협력 우주개발의 주요 제약 요소로는 민,군 조정 메커니즘의 부재, 거버넌스 비대칭 구조, 기술 개발의 중복 및 비효율, 산업 생태계의 단절이 지적됐다. 김호식 포틀랜드주립대 교수는 "한국은 전략적 통합보단 분절과 중복, 조정 기능이 부재하다"며 "우주개발 섹터의 구조 개편, 시빌 디펜스 커머셜 간 조정 메커니즘 구축, 다층적 공정과 조정 구조의 제도화가 필요하다"고 제시했다.

김경근 국방과학연구소 단장도 민, 군 조정 미흡에 공감하며 "그동안 민,군 조율 목적의 조직이 없었다"며 "군은 보안 문제로 폐쇄성을 인정했다. 국방부와 과기정통부가 서로 조율하면서 종합 로드맵이 나와야 한다"고 강조했다.

발사 면허제 도입과 보험 요건 완화도 언급됐다. 김수종 이노스페이스 대표는 "건당 발사 허가는 행정력 낭비며, 발사보험료가 과다하다"고 지적했다. 고정환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책임연구원 역시 현 발사허가제와 보험제도는 조정이 시급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창헌 우주항공청 우주항공산업국장은 "원천기술은 소중히 생각하는 반면 응용개발은 간과했다"며 "발사체 기업이 성장하고 활성화될 수 있도록 발사 수요와 시장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Read more

"의료기기, 미국시장 진출하려면 사이버 보안부터 챙겨야"

"의료기기, 미국시장 진출하려면 사이버 보안부터 챙겨야"

💡Editor’s Pick - 의료기기 출시 전 사이버 보안 적용해 환자 치료 중단되지 않도록 해야 - 의료기기 제조사, 미국 진출 시 사이버보안 엔지니어링 법 적용 받아 미국 시장에 진출하려는 의료기기 제조사는 사이버보안 엔지니어링 법을 적용받아 의료기기의 사이버 보안을 강화해야 한다. 의료기기 출시전부터 사이버 보안을 적용해 의료기관 임상 현장에서 환자 치료가

By CheifEditor
사이버안보 비서관, 김소정 전국가안보전략연구원책임연구위원 임명

사이버안보 비서관, 김소정 전국가안보전략연구원책임연구위원 임명

💡Editor’s Pick - 국가사이버안보, 국방외교안보, 국제안보 등 자문위원 및 연구활동 - 국가안보실 산하 사이버안보 비서관 업무, 사이버안보에 주축 역할 담당 이재명 정부 사이버안보 비서관으로 김소정 전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책임연구위원이 임명됐다. 이로써 김소정 신임 사이버안보 비서관은 그동안 공석이었던 대통령 국가안보실 산하 사이버안보 비서관 업무를 맡으며, 국가 사이버안보에 주축 역할을 담당한다. 공학박사인

By CheifEditor
현 시점 온라인 사기의 모든 전략과 전술

현 시점 온라인 사기의 모든 전략과 전술

💡Editor’s Pick - 감정을 살살 건드리는 교묘한 문구들 - 소셜미디어 플랫폼이 특히 위험 - 최종 행동을 취하기 전에도 거듭 확인 온라인 사기가 진화함에 따라 일반 사용자들이 주의해야 할 것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이 중에는 잘 알려진 것들도 있고 그렇지 않은 것들도 있다. ‘피싱 공격’이라는 말을 들어본 사람은 빠르게

By 문가용 기자
지메일 사용자 25억명,이름·연락처 노출

지메일 사용자 25억명,이름·연락처 노출

💡Editor Pick - 해킹 조직 ‘샤이니헌터스,’ 구글 클라우드서 데이터 탈취 - AI 활용한 ‘보이스 피싱’ 진화…자동 통화로 사용자 속여 구글의 이메일 서비스 지메일(Gmail) 이용자 약 25억명 계정이 대규모 해킹 위협에 노출됐다. 현지시각 24일 IT 보안 매체 사이버섹(Cybershack)에 따르면 해킹 조직 ‘샤이니헌터스(ShinyHunters)’가 구글 클라우드에서 회사

By CheifEdi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