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S 계정 탈취 피싱, 기존과 다른 수법이 떴다"

"MS 계정 탈취 피싱, 기존과 다른 수법이 떴다"
[이미지: AI Generated by TheTechEdge]
💡
Editor Pick
- '제품 구매 확인 메일'로 위장 접근...실제 기업 웹사이트 URL 활용
- 첨부파일 엑셀로 착각하도록 속이고, 2013년 등록된 12년차 도메인 활용

구매 주문 확인으로 위장한 피싱 메일이 포착돼 이용자의 주의가 요구된다.

피싱 메일 전문 [이미지: 누리랩]

피싱 메일은 특정 기업 관계자로 위장해, 제품 구매 확인을 빌미로 첨부 파일 열람을 요청했다. 메일 전문 하단에는 메일 주소와 웹 사이트 URL이 포함돼 있다. 해당 웹 사이트는 실제 존재하는 기업이다. 기업 관계자처럼 보이도록 이용자를 속이기 위함이다.

엑셀파일로 위장한 첨부파일 열람 화면 [이미지: 누리랩]

첨부 파일은 “엑셀(.xlsx)” 확장자 뒤에 “.svg” 확장자가 붙어 있다. 이는 공격자가 해당 파일을 엑셀(.xlsx) 파일로 착각하게 만들기 위함이다. 파일 탐색기의 “확장자 보기 옵션”이 비활성화돼 있으면 이용자는 “.svg” 확장자를 확인할 수 없다.

첨부 파일을 열면, 브라우저가 실행, Microsoft 계정 정보 입력창이 뜬다. 공격자는 엑셀 파일로 보이기 위해 구매 주문서 엑셀 데이터를 배경에 추가했다. 주문서 확인을 미끼로 로그인을 유도한다. 로그인 화면에 계정 정보를 입력하면, 공격자 서버 도메인에 계정 정보가 전송된다.

24일 누리랩은 "피싱 도메인은 2013년에 등록됐다. 보통 피싱 도메인 등록일이 최근 일인 반면, 이 피싱 도메인은 12년 전 등록됐다"며 "악성 코드 배포, 피싱 사이트 유도 등과 같은 일반 피싱 공격과 공격 방식이 다르다. 엑셀 파일로 위장한 svg 파일 첨부, 파일 열람 및 로그인 시도를 유도해 계정 정보를 탈취한다"고 분석했다. 또한 "첨부 파일은 백신서 탐지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즉 이용자가 의심없이 계정 정보를 입력할 수밖에 없단 얘기다.

따라서 이용자는 파일 다운로드 전 메일 전문에서 문구가 부자연스러운지, 송신자 정보가 명확한지 확인해야 한다. 파일을 다운로드 후에도 파일 열람은 자제해야 하며, 파일 포맷과 확장자 확인이 중요하다.


[칼럼] 사이버 범죄 시작점, 피싱 해부
💡Editor Pick - 요즘 피싱, 도메인·UI·로고·운영 방식·사업자번호 까지 복제 - ‘정상 사이트처럼 보이는 것’이 피싱 성공률의 핵심이 된 셈 - 디지털 보안, 전문가들만의 문제 아냐...모두 일상 속에서 실천돼야 [칼럼 김지훈 누리랩 이사] 최근 몇 년 사이, 사이버 범죄의 양상은 더욱 정교해지고 조직화 되고 있다.
대국민 민생회복 소비쿠폰 피싱 주의!
💡Editor Pick - 대국민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악용한 스미싱, 피싱, 보이스피싱 주의 -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과 사용방법 등 키워드로 피싱 접속 유도 대국민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시기를 악용한 스미싱, 피싱, 보이스피싱 발생이 우려되고 있어 이용자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 따르면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관련 키워드를 사용한 피싱 시도가 예상된다며
부킹닷컴 사칭 피싱 주의!..여름휴가철 여행 예약 피싱 기승
💡Editor Pick -유명 여행 예약 사이트와 어플 사칭해 개인 정보 탈취 금전적 피해 입혀 -휴가철 특가 할인, 이벤트 당첨 등 여행 관련 이메일도 각별히 주의 -URL 영문 표기 수상할 경우 접속 금지, AskURL 통해 검사해야 여름철 휴가 시즌을 틈타 여행 예약 사이트나 모바일 앱을 사칭한 피싱 시도가 급증하고 있어 특별한

Read more

인디게임 사용자 노리는 크리덴셜 탈취 캠페인, “영리한 진화”

인디게임 사용자 노리는 크리덴셜 탈취 캠페인, “영리한 진화”

💡Editor's Pick - 있지도 않은 인디게임을 유튜브와 디스코드로 광고 - 사실은 크리덴셜 수집하는 정보 탈취 멀웨어 - 미끼가 되는 게임은 전혀 개발하지 않아...오로지 마케팅만 인디게임 사용자들을 노리는 크리덴셜 탈취 캠페인이 발견됐다. 이 캠페인에 유튜브와 디스코드까지 악용됐다. 보안 업체 아크로니스(Acronis)의 분석가들이 공개한 것으로, 공격자들이 원하는 건

By JustAnotherEditor
애플, 이란인 다수에게 “아이폰 정부 스파이웨어 공격” 경고…전 세계 150개국서 위협 통지

애플, 이란인 다수에게 “아이폰 정부 스파이웨어 공격” 경고…전 세계 150개국서 위협 통지

💡Editor Pick - 아이폰 사용 이란인 대상 스파이웨어 공격 경고 및 감염 확인 - DarkCell 분석 결과 스파이웨어 제작사 특정 실패 - 국가 차원의 스파이웨어 공격에 대한 애플의 위협 통지 애플이 최근 1년간 이란인 수십 명에게 아이폰이 정부 배후 스파이웨어에 노출됐다는 ‘위협 통지(threat notification)’를 보낸 사실이 보안 전문

By CheifEditor, Donghwi Shin
중국 공안, 휴대폰 압수 후 ‘매시스턴트’로 GPS·문자·사진까지 싹쓸이…신형 모바일 포렌식 도구 실체 드러나

중국 공안, 휴대폰 압수 후 ‘매시스턴트’로 GPS·문자·사진까지 싹쓸이…신형 모바일 포렌식 도구 실체 드러나

💡Editor Pick - 중국 공안 휴대폰 압수 이후 내부 정보 수집 - iOS 변종 가능성까지도 제기되고 있음 중국 공안이 압수한 휴대폰에서 위치정보·문자·이미지 등 민감 데이터를 무단 추출할 수 있는 신형 모바일 포렌식 도구 ‘매시스턴트(Massistant)’의 작동 방식과 배경이 공개됐다. 해당 도구는 MFSocket의 후속 버전으로, 전자증거 수집·정보보안

By CheifEditor, Donghwi Shin
암호화폐 거래소 CoinDCX, 내부 운영 지갑 해킹

암호화폐 거래소 CoinDCX, 내부 운영 지갑 해킹

💡Editor Pick - 인도 암호화폐 거래소 CoinDCX 유동성 공급계정 해킹 피해 - 회사 유동성 공급계정에 대한 패킹으로 고객 지갑에 영향 없음 인도 최대 암호화폐 거래소 CoinDCX가 내부 유동성 공급용 계정이 해킹돼 약 4,420만 달러(약 579억 원)의 암호화폐를 도난당했다고 21일 밝혔다. CoinDCX에 따르면 피해를 입은 지갑은 외부 파트너

By CheifEditor, Donghwi Sh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