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트스파이어 랜섬웨어, 이중 갈취 전략으로 전세계 기업 노려

나이트스파이어 랜섬웨어, 이중 갈취 전략으로 전세계 기업 노려
NightSpire Team 로고 [이미지 안랩]
💡
Editor’s Pick
- 미국, 일본, 태국, 홍콩, 영국 등 전세계 기업 타깃으로 이중 협박
- 협상 위해 ProtonMail, OnionMail, Telegram 채널 등 통신 채널 제공

이중갈취로 전세계 기업을 노리는 나이트스파이어 랜섬웨어가 활개를 치고 있어 기관과 기업의 주의가 요구된다.

나이트스파이어(NightSpire)는 DLS(Dedicated Leak Sites) 사이트를 운영하며, 피해 정보와 데이터 공개 카운트다운 타이머를 게시한다. 사이버 협박을 위해 위협적인 언어 사용이 특징이다.

2025년 2월부터 활동한 이 랜섬웨어 그룹은 공격적인 전략과 전문화된 인프라를 갖추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기존의 RaaS (Ransomware-as-a-Service) 운영 방식과 유사하다.

이 조직은 피해자와 협상 목적으로 ProtonMail, OnionMail, Telegram 채널 등 다양한 통신 채널을 제공한다. 기업 취약점을 공격해 침투한다고 주장한다.

피해 기업들은 여러 국가와 산업군에 걸쳐 있다. 미국 소매 및 도매업, 일본 화학 산업과 제조업, 태국 해양 산업, 영국 회계 서비스, 중국 대기업, 폴란드 제조업, 홍콩 비즈니스 서비스 및 건설업, 대만(타이완) 기술 및 금융 서비스 분야의 기업들이 공격을 받았다.

이들은 이중 갈취 전략을 사용해 피해자들에게 압박을 가하고 있다.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유출해 몸값을 요구한다. 지불하지 않을 경우 데이터를 공개하겠다고 위협한다.

파일 암호화는 확장자를 블록 암호화 또는 전체 암호화 방식을 구분해 사용한다. 블록 암호화 선택은 주로 성능(속도)과 효율성 때문이다. 대용량 파일이나 이미지, 가상 디스크 파일 등 특정 확장자는 암호화 속도를 위해 블록 암호화하고, 일반 파일을 대상으로 전체를 암호화하는 전략을 사용한다.

기업과 기관에선 랜섬웨어 감염 피해를 입지 않도록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랜섬웨어 탐지 및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피해 예방 수칙 준수 등 보안을 강화해야 한다.


랜섬웨어 조직, 금융권 공격 집중...금융정보 점검 ‘시급’
💡Editor Pick - 랜섬웨어 그룹의 금융기관 공격 - ’알카나(Arkana), 록빗(LockBit), 플레이(Play), 세이프페이(SafePay), 스톰아우스(Stormous) 랜섬웨어 그룹 - 고객 정보 유출로 인한 피해 가능성 금융기관을 타깃으로 한 랜섬웨어 공격이 활개를 치고 있다. 국내서도 금융기관 타깃으로 랜섬웨어 공격 시도가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다. 특히 금융권에선 랜섬웨어 감염 피해가 발생하지
″인터록 랜섬웨어, 기업 타깃 공격...데이터 복구 어려워”
💡Editor’s Pick - 암호화 정교함과 효율성 높인 구조 설계로 데이터 복구 어렵게 해 - 로컬 환경서 남은 흔적만으론 복호화 할 수 없도록 악성코드 설계 데이터 복구를 어렵게 만든 인터록 랜섬웨어가 발견돼 이용자들의 주의가 필요하다. 인터록(Interlock) 랜섬웨어 암호화 과정은 OpenSSL 라이브러리를 기반으로 구현된다. 고성능 암호화 처리와 키 관리 기능을
‘언더그라운드’ 랜섬웨어 갱단 ‘묻지마’ 타깃 공격
💡Editor’s Pick - 국가와 산업, 기업 규모 상관없이 기업 표적 공격...전세계 확산 추세 - 로컬 환경서 남은 흔적만으론 복호화 할 수 없도록 랜섬웨어 설계 언더그라운드(Underground) 랜섬웨어 갱단이 대한민국을 포함, 전세계 산업 기업들을 타깃으로 랜섬웨어 공격을 가하고 있다. 기업과 기관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언더그라운드 조직의 랜섬웨어는 2023년 7월

 

Read more

해커, 의료관련 학회 의료진 개인정보 다크웹에 공개

해커, 의료관련 학회 의료진 개인정보 다크웹에 공개

💡Editor’s Pick - 지난 24일 밤 9시 45분경 국내 의료진 개인정보 데이터 다크웹에 공개 - 다크웹에 공개된 모든 아이디, 의료관련 학회 가입자 다크웹에 임상강사, 군의관 등 국내 의료진의 개인정보가 올라온 정황이 포착됐다. 다크웹 사이트 기준으로 지난 24일 밤 9시 45분경 닉네임 '129582'를 사용하는 해커가 국내 의료진의

By CheifEditor
[칼럼] SW 공급망 보안 강화, ‘디지털 면역체계’ 구축해야

[칼럼] SW 공급망 보안 강화, ‘디지털 면역체계’ 구축해야

💡Editor’s Pick - 유기적인 취약점 관리와 정보 공유로 자율보안 생태계 조성해야 - SW 공급망 보안, 생존 문제로 고객 신뢰와 기업 경쟁력 담보 핵심 가치 [칼럼 장운영 금융보안원팀장] 날로 지능화되는 사이버 공격에 취약점 관리는 보안 생태계 전반의 체질 개선이 시급한 과제로 떠올랐다. 금융보안원은 소프트웨어(SW) 공급망 보안 강화 전략을 추진한다.

By CheifEditor
"인터록 랜섬웨어, 기업 타깃 공격...데이터 복구 어려워"

"인터록 랜섬웨어, 기업 타깃 공격...데이터 복구 어려워"

💡Editor’s Pick - 암호화 정교함과 효율성 높인 구조 설계로 데이터 복구 어렵게 해 - 로컬 환경서 남은 흔적만으론 복호화 할 수 없도록 악성코드 설계 데이터 복구를 어렵게 만든 인터록 랜섬웨어가 발견돼 이용자들의 주의가 필요하다. 인터록(Interlock) 랜섬웨어 암호화 과정은 OpenSSL 라이브러리를 기반으로 구현된다. 고성능 암호화 처리와 키 관리 기능을

By CheifEditor
누리랩, 가짜 PASS 인증 피싱 시도 증가

누리랩, 가짜 PASS 인증 피싱 시도 증가

💡Editor’s Pick - 신뢰도 높은 본인 인증 서비스 PASS 앱 모방해 개인 정보 탈취 - 평소 자주 사용 인증 서비스, 공식 앱인지 반드시 확인 중요 누리랩이 28일 본인 인증 서비스인 PASS 앱을 모방한 피싱 시도가 최근 증가하고 있다며 이용자들의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누리랩의 AI 기반 안티 피싱 솔루션 ‘에스크유알엘(

By CheifEdi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