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대한민국최고과학기술인상' 황철성 서울대 교수 선정

올해 '대한민국최고과학기술인상' 황철성 서울대 교수 선정
[이미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Editor Pick
- 황철성 교수, 새로운 소자와 물질 발견 반도체산업 발전 기여 수상
- 인간 뇌처럼 작동하는 뉴로모픽 반도체 개발 연구 중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는 올해 '대한민국최고과학기술인상' 수상자로 황철성 서울대학교 석좌교수를 선정했다고 3일 밝혔다.

대한민국최고과학기술인상은 우리나라 대표 연구성과를 이룬 과학기술인을 발굴해 널리 알리기 위해 지난 2003년부터 시상해 온 국내 최고 권위의 과학기술인상이다.

올해 대한민국최고과학기술인상은 지난해 말부터 공모와 발굴, 추천으로 접수된 후보자를 대상으로 전공자심사, 분야심사, 통합심사 등 3단계 심사과정을 거쳐 최종 1명을 선정했다. 수상평가는 연구개발 업적, 경제발전 기여도, 국민생활 향상 영향 등을 종합 평가해 선정했다.

수상자 황철성 교수는 기존 디램(DRAM), 낸드플래시(NAND flash) 등 새로운 소자와 물질 발견에 기여했다. 이번 수상은 저항 스위칭 재료와 소자 분야 선구 업적으로 반도체산업 발전 공로를 인정받았다.

황 교수는 동료 교수들과 협력 연구로 '플래티넘/이산화티타늄/플래티넘 구조(Pt/TiO2/Pt) 시스템' 내 나노 필라멘트를 분석해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의 전환 메커니즘이 마그넬리상(Magnéli phase) 티타늄산화물(TinO2n-1) 필라멘트의 형성과 붕괴로 발생한다는 것을 최초로 확인했다.

해당 연구는 지난 2010년 네이처 나노테크놀로지(Nature Nanotechnology)에 발표된 이후 현재까지 2450회 이상 인용, 저항 변화 메모리 반도체 분야서 인용 빈도수 상위 다섯 번째 내 논문으로 주목받고 있다.

황 교수는 SCI 논문 750편 발표, 국내외 특허 227건(142건 출원, 85건 등록) 및 기술이전 16건, 학술연구 등 반도체 산업 발전에 공헌하고 있다. 최근에는 인간의 뇌처럼 작동하는 뉴로모픽 반도체 개발을 연구 중이다.

황 교수는 서울대학교 무기재료공학과에서 학·석·박사를 마치고 삼성전자 반도체연구소에서 선임연구원으로 근무한 뒤 1998년부터 서울대 재료공학부 교수로 재직해 왔으며, 현재까지 석사 65명, 박사 100명을 배출하는 등 차세대 반도체 분야 전문인력 양성에 기여하고 있다.

과기정통부는 오는 9일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개최하는 세계한인과학기술인대회 개회식에서 수상자인 황 교수에게 대통령 상장과 상금 3억 원을 수여할 예정이다.


하정우 AI수석, ”과학기술 인재 육성, 국가 책무 강화에 의미 있어”
💡Editor Pick - 새정부 AI 수석 과학기술 인재 육성 중요성 인식, 지원 예산 확대 전망 - 인재 처우 개선은 첨단 과학기술로 세계를 이끌기 위한 첫 걸음 ‘이공계 인재 육성’ 국가 책무 강화…정부, ‘이공계지원 특별법’ 의결 정부가 과학기술 인재 육성을 중요하게 인식해 인재 육성 지원 예산이 늘어날 전망이다. 19일 첫
[TE머묾] 첨단 기술들의 흥망성쇠
오래된 이름들이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리고 있다. ‘델몬트(Del Monte)’와 ‘아타리 2600(Atari 2600)’이다. 전자는 1886년에 창립된, 통조림 위주의 식품 회사이고, 후자는 70년대에 탄생해 80년대까지 게이머들을 열광시켰던 유명 비디오 게임 브랜드이다. 델몬트는 파산했고, 아타리 2600은 2025년 기준 최첨단으로 분류될 만한 기술과의 시합에서 연승을 거뒀다. 무슨 일이 일어난 것일까? “오렌지를
한-스위스, 양자과학 기술협력 확대 방안 논의
한국과 스위스 양국이 양자과학 기술협력 확대 방안을 논의했다. 이창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1차관은 23일(월) 오후 서울 주한스위스대사관서 열린 “양자 한국(퀀텀 코리아) 2025 사전행사(Waiting for Quantum Korea 2025)”에 참석해 한-스위스 양자과학 기술협력 확대 방안에 대해 집중 논의했다. 이날 행사는 주한스위스 대사 환영사를 시작으로, 참여자(패널)토론, 양자과학기술 연구사례 발표,
국가정보원, 안티드론 장비 기술 평가
‘국가 안티드론 훈련장’서 정부, 기업, 학계 관계자 400여명 참석 진행 ‘對드론 체계 성능시험 표준’ 첫 시범 적용…국정원 “국가 차원 기술 개발 적극 지원” 국가정보원이 17~18일까지 양일간 경북 의성 ‘국가 안티드론 훈련장’에서 국무조정실 대테러센터, 한국산업기술시험원과 합동으로 안티드론 장비 기술 평가를 한다고 밝혔다. 이날 현장에는 국내 안티드론 장비
[2025 우수 정보보호 기술] 한승철 엔피코어 대표 인터뷰
💡Editor Pick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엔피코어 ‘2025 우수 정보보호 기술’로 지정 - AI 기반 ‘RansomZERO EDR AI SaaS’ 랜섬웨어 대응 기술 선정 - 엔트로피 분석 기반 탐지로 알려지지 않은 공격까지 실시간 대응 - 중소기업 환경에 최적화된 클라우드 구독형 EDR 서비스 AI 기반 사이버 보안 전문 기업 엔피코어가 ’2025년 우수 정보보호

Read more

AI 기반 차세대 영상 표준화 개발

AI 기반 차세대 영상 표준화 개발

💡Editor Pick - 제47차 ‘다중매체 부호화’ 국제표준화회의 개최 - ▲차세대 영상 압축 ▲AI 영상분석에 최적화된 영상 압축 등 개발 제47차 ‘다중매체 부호화’ 국제표준화회의서 우리나라는 인공지능 기반 차세대 영상 압축/해제(비디오 코덱) 기술 관련, 130여 건의 기고서를 제출 등 표준화 논의에 앞장섰다. 지난 6월 26일부터 7월 6일까지 대전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된 회의에선

By CheifEditor
대한민국 엔지니어상, 박영민 책임연구원과 권경안 연구소장 선정

대한민국 엔지니어상, 박영민 책임연구원과 권경안 연구소장 선정

💡Editor Pick - 대한민국 엔지니어상 2025년 7월 수상자 - 박영민 HD한국조선해양 책임연구원, 테크로스 권경안 연구소장 선정 대한민국 엔지니어상 2025년 7월 수상자로 박영민 HD한국조선해양 책임연구원과 테크로스 권경안 연구소장이 선정됐다. ‘대한민국 엔지니어상’은 산업현장의 기술혁신 장려와 기술자 우대 풍토 조성을 위해 매월 대기업과 중소기업 엔지니어를 각 1명씩 선정하여 과기정통부 장관상과 상금 500만원을

By CheifEditor
안랩블록체인컴퍼니, ‘워터밤 서울 2025’서 웹3 티켓 시스템 도입

안랩블록체인컴퍼니, ‘워터밤 서울 2025’서 웹3 티켓 시스템 도입

💡Editor Pick - ‘워터밤 2025 서울’에 웹3 티켓 시스템 적용...티켓 발행 검증 진행 - 안랩블록체인컴퍼니 지갑 서비스 ‘ABC 월렛’ 활용해 보안성 강화 안랩블록체인컴퍼니(대표 강석균, 이하 ‘ABC’)가 ‘워터밤 2025 서울’에 웹3(WEB3) 티켓 시스템을 도입, 기술적 안정성 및 현장 적용 가능성을 입증했다고 7일밝혔다. 4일(금)부터

By CheifEdi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