랜섬웨어 조직 ‘헌터스 인터내셔널’ 돌연 해산 선언…복호화 키 무상 배포

💡
Editor Pick
- 랜섬웨어조직 Hunters International 활동 중단 선언
- 활동 중단 선언 - World Leaks 라는 다른 이름으로 활동 정황

2년간 미국 내 주요 기관을 포함해 다수의 피해자를 만들어온 랜섬웨어 조직 ‘헌터스 인터내셔널(Hunters International)’이 활동 중단을 선언했다. 다크웹을 통해 이 같은 소식을 공개한 이들은 피해 기업들을 위한 복호화 키를 무상으로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헌터스 인터내셔널은 27일(현지시간) 자사 다크웹 게시판에 “최근 여러 사정을 고려해 프로젝트를 종료하기로 결정했다”며 “이 결정은 가볍게 내린 것이 아니며, 우리와 연관된 조직들에 미칠 영향을 잘 알고 있다”고 전했다. 그러나 구체적인 해산 배경은 밝히지 않았다.

이들은 피해 기업들을 향해 “이제 랜섬을 지불하지 않고도 암호화된 데이터를 복구할 수 있다”며 공식 웹사이트를 통해 복호화 키를 제공하겠다고 안내했다. 하지만 기사 작성 시점 기준, 해당 사이트에는 실제 복호화 정보가 게시되지 않은 상태다.

헌터스 인터내셔널은 활동 기간 중 미국 내 암센터와 연방보안관국(U.S. Marshals Service) 등을 공격 대상으로 지목했으나, 연방보안관국은 해킹 피해 사실을 공식 부인한 바 있다.

이번 선언은 과거 다른 랜섬웨어 조직들의 사례와 유사하다. 일부 조직은 복호화 키를 공개한 뒤 해산을 선언했고, 이후 새로운 이름으로 재등장해 수사 기관의 추적을 회피하려는 시도를 하기도 했다. 반면, 일정 수익을 거둔 뒤 완전히 활동을 접는 경우도 있었다.

사이버 보안 기업 레코디드 퓨처(Recorded Future)의 위협 분석가 앨런 리스카(Allan Liska)는 헌터스 인터내셔널이 조직 재편을 위해 과거의 흔적을 정리하는 단계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이는 단순한 인프라 청산에 가깝다”며 “헌터스 피해자들로부터 더 이상 수익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기에, 복호화 키 배포는 비용이 들지 않는 ‘선심성 조치’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실제 보안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헌터스 조직원들이 ‘월드 릭스(World Leaks)’라는 이름으로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는 정황도 제기됐다. 해당 그룹은 새로운 랜섬웨어 프로그램을 사용하고 있으며, 전혀 다른 위치에 웹사이트를 운영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리스카는 “기존 기술 인프라를 오래 사용하는 것은 수사기관의 추적에 노출될 위험을 키운다”며 “2023년 FBI에 의해 해산된 하이브(Hive) 사례처럼, 헌터스도 비슷한 상황을 감지하고 선제적으로 해산을 택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랜섬웨어 조직의 해산이 실제 활동 종료로 이어질지는 여전히 불확실하다. 전문가들은 향후 월드 릭스나 유사 조직의 움직임을 면밀히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Read more

2025년 사이버 침해 사고 유형 TOP4

2025년 사이버 침해 사고 유형 TOP4

💡Editor Pick - 2025년 상반기 침해사고 중 랜섬웨어 1위 - 포털 사이트 피싱 2위, 개인정보 유출 3위 침해사고 발생 -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 서버 등 보안 강화해야 2025년 상반기 침해사고 중 랜섬웨어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서는 포털사이트 피싱, 개인정보유출, 게시글 무단작성 순으로 발생했다. 블루데이타시스템즈에 따르면 2025년 상반기 침해사고

By CheifEditor
특허청, AI기업과 특허 경쟁력 강화 방안 논의

특허청, AI기업과 특허 경쟁력 강화 방안 논의

💡Editor Pick - 특허청, 인공지능기업들과 지식재산 간담회 개최 - AI시장규모 2030년 약 1.4조 달러 연평균 35.7% 수준 성장 - AI분야 특허로R&D 및 해외특허 출원지원 확대 등 논의 특허 경쟁력 강화와 글로벌 진출방안 간담회가 4일 판교이노밸리서 개최됐다. 이번 간담회는 국내 ‘AI 가치사슬’ 내 혁신기업 간의 수직・수평

By CheifEditor
루이비통, 개인정보 유출...명품 브랜드줄줄이 보안사고 다른 잣대 필요

루이비통, 개인정보 유출...명품 브랜드줄줄이 보안사고 다른 잣대 필요

💡Editor Pick - 루이비통, 외부 해커가 시스템 해킹 통해 개인정보 유출 - 유출된 개인정보: 이름, 연락처, 고객 제공의 추가 정보 등 - 6월8일 사고 발생, 7월 2일 보안사고 인지...관계 당국 사실통지 명품 브랜드 루이비통에서 개인정보 유출 사고가 발생했다. 루이비통은 해커가 당사 시스템을 해킹해 고객정보가 유출됐다고 4일 문자, 메일 등을

By CheifEditor
SKT, 해킹 사태 이후 보안투자 5년간 7천억원 확대

SKT, 해킹 사태 이후 보안투자 5년간 7천억원 확대

💡Editor Pick - 고객 안심패키지 강화, ‘사이버 침해 보상 보증 제도’ 도입 예정 - 정보보호 투자 5년간 7천억원 확대, 내∙외부 보안 검증체계 강화 - 약정 고객 해지 위약금 면제 SKT(대표이사 사장 유영상)가 지난 4월 사이버 침해사고에 대한 막중한 책임감과 신뢰 회복을 위한 ‘책임과 약속’ 프로그램을 4일 발표했다.

By CheifEdi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