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 해킹 도구로 위장한 랜섬웨어 등장!

비밀번호 해킹 도구로 위장한 랜섬웨어 등장!
[출처: 안랩]

최근 계정 비밀번호 크랙 도구로 위장한 랜섬웨어가 발견됐다. 공격자는 보안 연구자나 해커들이 자주 찾는 크랙 도구나 해킹 툴의 형태로 랜섬웨어를 배포했다. 사용자는 아무 의심없이 접근할 수 있어 감염 위험성이 크다. 이용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이번에 발견된 랜섬웨어는 유저네임 및 이메일을 입력해 비밀번호를 탈취하는 도구로 위장했다.

암호화되는 확장자명은 .data .epub .gif .md .sql .jpg .rar .txt .mdb .doc .odp .tar .bmp .htm .sqlite .pdf .gz .csv .zip .rtf .ppt .html .accdb .docx .xlsm .json .ini .xlsx .png .odt .log .db .tsv .ods .bak .pptx .jpeg .xls .xml 등이다.

파일 암호화 방식은 AES-256 알고리즘의 CFB 모드다. 특히 주목되는 점은 키 관련 정보를 저장하거나 공격자에게 전송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즉 랜섬노트에 안내된 대로 공격자에게 비트코인을 전송해도 암호화된 파일 복구가 불가능하단 뜻이다.

이와 관련 안랩은 "사용자들이 자주 찾는 크랙 도구로 위장해 유포되는 랜섬웨어는 사용자의 의심을 최소화한다"며 "쉽게 실행되도록 유도해 감염 위험이 크다"며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따라서 이용자는 출처가 불확실한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프로그램 설치를 자제하고, 공식 웹사이트나 신뢰할 수 있는 경로를 통해 안전하게 소프트웨어를 설치해야 한다.

Read more

왓츠앱, iOS·macOS 대상 ‘제로 클릭’ 취약점 스파이웨어 공격에 악용

왓츠앱, iOS·macOS 대상 ‘제로 클릭’ 취약점 스파이웨어 공격에 악용

💡Editor Pick - 메신저 앱 왓츠앱에서 제로클릭 취약점 긴급 패치 - CVE-2025-55177, 사용자 이벤트 없이 트리거 가능하며 즉각 패치 요망 - 피해 대상 기기 사용자에게 경고 메시지 발송 메타(Meta) 산하 메신저 앱 왓츠앱이 애플 iOS와 macOS 기기에서 발견된 ‘제로 클릭(Zero-Click)’ 취약점을 긴급히 수정하는 보안 업데이트를 배포했다. 이번 취약점은

By CheifEditor, Donghwi Shin
나이 인증 의무화 논란, 아동 보호냐 사생활 침해냐

나이 인증 의무화 논란, 아동 보호냐 사생활 침해냐

💡Editor Pick - 인터넷, 나이 인증에 따른 개인정보 및 표현의 자유 논쟁 - 미국, 영국 관련 법안 추진으로 인증과 프라이버시 충돌 인터넷의 양면성이 다시금 사회적 논쟁의 중심에 섰다. 한편으로는 전 세계적으로 교육과 교류의 장을 열어주는 혁신적 도구이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아동이 무분별하게 접근할 경우 심각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By CheifEditor
매주 수십억 회 다운로드 되는 NPM 패키지 침해되다

매주 수십억 회 다운로드 되는 NPM 패키지 침해되다

💡Editor's Pick - 유명 NPM 계정 침해한 공격자 - 침해 후 수십억 회 씩 다운로드 되던 패키지 오염시켜 - 다행히 5분만에 탐지돼 막혔으나 위험은 끝나지 않아 어쩌면 최악의 공급망 사건이 될 뻔한 일이 벌어졌다. 보안 업체 아이키도시큐리티(Aikido Security)가 발견해 세상에 알린 것으로, 오랜 시간 npm에서 활동해

By 문가용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