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청소기, 카메라 사진 열람 등 보안 취약점 발견

로봇청소기, 카메라 사진 열람 등 보안 취약점 발견
💡
Editor’s Pick
- 인증 절차 미비, 불법 접근 및 조작과 개인정보 관리 미흡으로 유출 우려
- 펌웨어 보안 설정 미흡, 기기 내부 보안 구조 외부 노출 취약점
- 안전한 로봇청소기 사용 위한 보안수칙 준수해야

로봇청소기에서 카메라 사진 열람 등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는 취약점이 발견됐다.

로봇청소기는 카메라와 센서를 통해 외부 서버와 통신하는 사물 인터넷(IoT) 제품이다. 편의성과 효율성으로 최근 사용자가 증가하고 있으나, 보안성이 미흡할 경우 개인정보 등이 유출될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한국인터넷진흥원은 한국소비자원과 시중에 유통 중인 로봇청소기 6개 제품의 ‘모바일앱 보안’, ‘정책 관리’, ‘기기 보안’ 분야 총 40개 항목 점검 결과, 일부 제품서 사생활 침해와 개인정보 유출 가능성이 있는 보안 취약점을 확인해 조치했다고 2일 밝혔다.

모바일앱 보안 점검 결과, 나르왈, 드리미, 에코백스 3개 제품은 사용자 인증 절차가 미비해 불법적인 접근이나 조작 가능성이 있었다. 이로 인해 집 내부를 촬영한 사진이 외부로 노출되거나 카메라 기능이 강제로 활성화되는 등 사생활이 노출될 수 있는 보안 취약점이 확인됐다.

정책 관리 점검에서는 드리미 1개 제품이 개인정보 관리가 미흡해 이름, 연락처 등 사용자의 개인정보 유출 우려가 있는 취약점이 발견 됐다. 일반적인 사용 환경에서는 악용 가능성이 다소 낮지만, 특정 수준 이상의 해커에 의해 악용될 소지가 있어 사업자에게 즉시 조치를 주문하여 개선 완료했다.

기기 보안 점검에서는 드리미, 에코백스 2개 제품의 하드웨어 보안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았으며, 조사대상 제품 전반적으로 펌웨어 보안 설정이 충분하지 않아 기기의 내부 보안 구조가 외부에 노출될 가능 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 6개 제품 중 삼성전자, LG전자 2개 제품이 접근 권한 설정, 불법 조작 방지 기능, 안전한 패스워드 정책, 업데이트 정책 등이 비교적 잘 마련되어 있어 종합적인 평가에서 상대적으로 우수했다.

KISA와 한국소비자원은 전체 조사대상 6개 사업자에게 모바일앱 인증 절차, 하드웨어 보호, 펌웨어 보안 개선 등 취약점에 대해 보안성 향상을 위한 조치를 권고했다. 소비자는 로봇청소기 사용 시 안전한 비밀번호를 설정하고 주기적으로 보안 업데이트를 하는 등 기본적인 보안에 주의해야 한다.

KISA와 한국소비자원은 앞으로도 협력해 로봇청소기 등 사물 인터넷(IoT) 제품의 보안 관리 강화를 위한 점검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이번 조사 결과에 따른 보안 이슈를 공유하고 사물인터넷 제품의 보안성 제고를 위한 정책·기술적 협력을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Read more

AI컨트롤타워, “국가인공지능전략위원회” 설치규정 국무회의 의결

AI컨트롤타워, “국가인공지능전략위원회” 설치규정 국무회의 의결

💡Editor’s Pick - AI 정책 지휘본부로 출범...‘국가인공지능전략위원회’로 명칭 변경 - 위원회 역할 확대, 범부처 인공 지능 전략과 정책 및 사업 총괄·조율 국가인공지능전략위원회 구성도가 본격 추진된다. 2일 '국가인공지능전략위원회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규정(대통령령)'이 국무회의서 의결됐다.  이번 대통령령 제정은 그 후속조치로, 대통령이 위원장으로서 단순

By CheifEditor
금감원, 롯데카드 사고 ‘비상대응체계’ 가동

금감원, 롯데카드 사고 ‘비상대응체계’ 가동

💡Editor’s Pick - 이찬진 금융감독원장, 롯데카드 소비자 피해 예방 최우선 대응 지시 - “정보보안은 신뢰 기반”…CEO 책임 강조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은 2일 임원회의에서 최근 발생한 롯데카드 침해사고와 관련해 “소비자 피해 예방을 최우선 과제로 두고 신속하고 면밀하게 대응하라”고 지시했다. 2일 금감원은 즉각 비상대응체계를 가동해 현장검사에 착수하고, 사고 원인과 피해

By CheifEditor
복구 할 수 없게 설계한 '다이어 울프' 랜섬웨어 주의!

복구 할 수 없게 설계한 '다이어 울프' 랜섬웨어 주의!

💡Editor’s Pick - 특정 디렉터리 타깃, 중복 실행 판별, 암호화 처리 식별, 성능 저하 시켜 - 현재까지 미국, 태국, 대만 등 16개국 16개 조직 피해 다이어 울프(DireWolf) 랜섬웨어 공격이 포착돼 이용자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이 그룹은 2025년 5월 처음 모습을 드러냈다. 같은 달 26일 다크넷 유출 사이트에 첫 피해

By CheifEdi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