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제명 2차관, AI·보안 협력 방안 논의

- AI·디지털, 정보보호 기업 간담회 개최
- AI 3대 강국 도약과 정보보호 역량강화 민관 ‘한 팀’ 협력 방안 논의
- AI・디지털 분야 도약 위한 최적 정책 방안 모색 추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 류제명 제2차관은 인공지능(AI) 3대 강국 실현을 위해 현장의 생생한 의견을 청취하고, 정책적 지원방안을 모색하는 분야별 현장 소통을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매주 정례적으로 인공 지능 기업·학계·연구소 등 현장을 찾아 허심탄회하게 소통하고, 필요시 사안에 따라 핵심 문제 정의와 집중 논의하는 방식으로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류 차관은 8일 한국인공지능·소프트웨어산업협회를 방문하고, 인공 지능・디지털 분야 기업인들과의 대화를 통해 “인공 지능 3대 강국 조기 실현을 위한 민관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이후에는 정보보호산업협회(이하 ‘KISIA’)를 방문해 AI 산업 발전을 뒷받침하는 사이버보안, 정보보호 산업 중요성과 동반 성장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인공 지능・디지털 기업 간담회’에는 한국인공지능·소프트웨어산업협회(KOSA) 조준희 회장을 비롯해 LG AI연구원, 네이버클라우드, 퓨리오사AI, 업스테이지 등 AI모델부터, 클라우드, AI반도체 등 기업인이 참석했다.
기업인들은 세계 인공 지능 산업 주도권 경쟁 동향과 우리 기업들의 현황을 공유하면서, 민・관 ‘한팀’이 되어 인공 지능・디지털 선도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정책을 제안・논의했다.
류제명 차관은 “인공 지능은 국가 경쟁력을 좌우하고, ‘진짜 성장’을 이끄는 핵심 수단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만큼, 새롭게 출발한 정부에서도 핵심 국정과제로 추진하기 위해 준비하고 있다”면서, “현장의 목소리가 국정과제에 잘 반영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차질없이 추진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조준희 회장은 "민간에서도 정부 정책에 발맞춰 우리나라 인공 지능 산업의 국제 경쟁력을 높이고, 혁신적인 인공 지능 생태계 구축을 위해 함께 노력해 나가겠다"고 화답했다.
정보보호산업협회에서 진행된 정보보호기업 간담회에는 조영철 회장을 비롯해 안랩, 이글루시큐리티, 이로운앤컴퍼니 등 정보보호 관련 기업들이 참석하였으며, 인공 지능 시대를 맞아 점차 고도화되는 사이버보안 위협 동향을 공유하고, 민・관의 개방적 협력을 통한 보안 역량 강화 방안과 정보보호 산업의 전략적 육성 방안에 대해 심도깊은 토론과 정책 건의가 이루어졌다.
류제명 차관은 “진정한 인공 지능 선도국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탄탄한 정보보호와 보안 기술이 뒷받침 되어야 한다”면서, “보안 산업이 인공 지능 3대 강국으로 도약하는 한 축으로 자리매김 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Related Materials
- 해외 AI안전연구소 추진 현황과 시사점 - SPRi, 2024년
- 국가전략기술 기술주권 브리프: 안전신뢰 AI - KISTEP, 2024년
-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인공지능을 위한 주요국의 정책 및 국제협력 동향 - KICS, 2024년
- 2024년 AI 규제정책 전망 - 글로벌 ICT포털, 2024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