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신규폰에 보안 솔루션 '킵' 적용...AI 기능 보호 위해 도입

삼성전자, 신규폰에 보안 솔루션 '킵' 적용...AI 기능 보호 위해 도입
[이미지: 삼성전자]
💡
Editor Pick
- One UI 8 기기 내 개인정보 보호 강화 신규 보안 솔루션 ‘킵’ 도입
- 킵, 개인화된 AI 기능 보호하기 위해 개발
- 기기 보안 스토리지 영역 내 앱별로 분리된 암호화 저장 공간 생성

삼성전자가 9일 미국 뉴욕서 발표하는 신규 폴더블 기기에 One UI 8 정식 버전을 탑재한다.

이번 One UI 8은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기능이 특징이다.

삼성전자는 AI 사용이 확대됨에 따라 One UI 8에 기기 내 개인정보 보호를 강화하는 신규 보안 솔루션인 ‘킵(KEEP, Knox Enhanced Encrypted Protection)’을 도입했다.

이번에 신규 도입한 킵(KEEP)은 개인화된 AI 기능을 보호하기 위해 새롭게 개발됐으며, 기기의 보안 스토리지 영역 내에서 앱별로 분리된 암호화 저장 공간을 생성한다.

암호화된 정보의 개별 보호로 각 앱은 각자 자신의 민감한 정보에만 접근할 수 있으며, 다른 앱의 정보에는 접근할 수 없다. 이렇게 킵(KEEP)은 개인 데이터를 갤럭시 AI 외 다른 앱에서 접근할 수 없도록 제어해 퍼스널 데이터 엔진(PDE, Personal Data Engine)을 통해 학습된 사용자의 일상, 선호도와 같은 민감 정보를 보호한다.

사용자의 개인정보는 기기 내에만 저장되며, 갤럭시 보안의 근간인 녹스 볼트(Knox Vault)를 활용한 킵(KEEP)의 보호를 받는다. 이를 통해 갤럭시 AI는 개인화 경험을 제공하면서도 데이터를 강력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 다양한 연결 기기의 위협 탐지 및 보호 기능을 제공하는 녹스 매트릭스(Knox Matrix)도 더 강력해진다.

One UI 8에서는 기기가 심각한 위험에 처한 경우, 자동으로 삼성 계정에서 로그아웃 돼 삼성 계정 기반 서비스로의 접근을 차단하고 위협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 사용자의 갤럭시 기기로 알림을 보내 사용자가 보안 관련 조치를 취할 수 있게 한다.

One UI 8은 AI 연결 경험이 확대되는 시대에 갤럭시를 포함한 연결 기기를 보호하고 상황 모니터링이나 알림 등을 직관적으로 제공한다.

삼성전자는 업계 최초로 갤럭시 S25 시리즈에 양자 내성 암호 기술을 도입한 바 있다.

이번 One UI 8에서는 ‘보안 Wi-Fi’에도 신규로 양자 내성 암호 기술을 도입해 공공 와이파이 네트워크망 이용 시에도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가 강화됐다.

갤럭시 기기와 서버 간의 보안을 강화해 공공 Wi-Fi와 같은 고위험 환경에서도 안심하고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이 기능은 ▲사용자가 별도의 조치를 취하지 않아도 공공장소에서 자동으로 활성화 돼 Wi-Fi 연결을 보호하는 ‘Wi-Fi 자동 보호(Auto Protect Wi-Fi)’ ▲트래픽 암호화 및 익명화를 통해 추적을 방지하는 ‘개인정보 보호 강화(EPP, Enhanced Privacy Protection)’ ▲사용 중 네트워크 보호 기록을 보여줘 사용자가 어떻게 개인정보가 보호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삼성전자는 이번에 새롭게 도입한 기능 외에도 그동안 강력한 기기 보호와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갤럭시 기기의 핵심 보안 체계인 녹스 볼트를 통해 비밀번호, PIN, 생체 인식과 같은 민감 정보를 한층 안전하게 보호할 뿐 아니라 ▲보안 위험 자동 차단(Auto Blocker) ▲도난당한 기기 보호(Theft Protection) 등 다양한 보안 기능도 갖췄다.

One UI 8은 이번 폴더블 신제품부터 적용되고 순차적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삼성전자, “보안 없이 프라이버시 존재할 수 없다”
💡Editor Pick - 삼성전자, 하드웨어 자체 프로세서와 메모리 기반 Knox Vault로 보안 강화 - 갤럭시 AI 온라인 서버를 거치지 않고, 온디바이스에서 작업 수행하여 개인정보보호를 실현 삼성전자가 AI 시대에 발맞춰 갤럭시 디바이스의 핵심 보안 체계인 녹스 볼트(Knox Vault)로 보안 강화에 나섰다. 삼성전자는 “‘보안 없이는 프라이버시도 존재할 수 없다’는 신념
삼성가전, 보안 어떻길래...세탁건조기, 2년 연속 최고 보안 등급 획득
💡Editor Pick - 2025년형 ‘비스포크 AI 콤보’, 2년 연속 IoT 보안 평가서 최고 등급 - 악성 SW 변조·불법 접근·사용자 데이터 익명화 등 총 33개 항목 통과 - 삼성전자 보안 솔루션 녹스 기반의 다중 보안 적용 삼성전자가 글로벌 인증기관인 ‘UL 솔루션즈(UL Solutions)’ 주관 사물인터넷(IoT) 보안 평가서 최고
삼성전자, 메르세데스-벤츠에 보안 앞세워 삼성월렛 디지털 키 적용
💡Editor Pick - 디지털 키, 삼성녹스와 초광대역 기반의 암호화된 보안 기술 적용 - 생체 인식과 PIN 기반 사용자 인증으로 동작 보안성 강화 - 실물 키 소지하지 않아도 디지털 키로 차량 잠금 해제, 미리 시동 삼성전자가 메르세데스-벤츠(Mercedes-Benz)의 주요 모델에 삼성월렛 디지털 키(Digital Key)를 적용한다. 삼성전자와 메르세데스-벤츠는 이번

Read more

KISA-ICANN, 2025년 아태지역 인터넷거버넌스 아카데미 성료

KISA-ICANN, 2025년 아태지역 인터넷거버넌스 아카데미 성료

💡Editor Pick - 아태지역 차세대 인터넷거버넌스 전문가 양성 위해 교육 - 인터넷주소자원 및 거버넌스 개념과 최신 이슈 국제기구 임원진 강의 한국인터넷진흥원은 국제인터넷주소기구(ICANN)와 함께 차세대 인터넷거버넌스 전문가 양성을 위한 ‘2025년 아태지역 인터넷거버넌스 아카데미(APIGA)’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APIGA(Asia-Pacific Internet Governance Academy)는 2016년부터 아태지역 차세대 인터넷거버넌스 전문가 양성을

By CheifEditor
KISIA, '정보보호 개발자 해커톤' 성료

KISIA, '정보보호 개발자 해커톤' 성료

💡Editor Pick - AI 기반 보안 서비스 개발 주제, 전국 대학생 대상 무박 2일 해커톤 진행 - 최우수상, LLM 기반 의미 분석 통한 지능형 파일 유출 방지 시스템 개발 한국정보보호산업협회(KISIA)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2025 제3회 KISIA 정보보호 개발자 해커톤’을 성료했다고 밝혔다. 20일부터 21일까지 무박 2일간 서울 스페이스쉐어 중부센터에서 진행된

By CheifEditor
북 추정 해커 역추적한 해커들, “불법이지만 폭로해야 했다”

북 추정 해커 역추적한 해커들, “불법이지만 폭로해야 했다”

💡Editor Pick - 국가 배후 해커 일상과 운영 방식 엿볼 수 있는 새로운 단서 제공 - 국가 차원의 공격자조차 다른 해커의 표적이 될 수 있는 사례 - 불법 해킹과 내부 폭로라는 경계가 가져오는 윤리적 논란 북한 추정 해커 시스템에 접근한 ‘세이버(Saber)’와 ‘사이보그(cyb0rg)’는 ‘프랙(Phrack)’ 잡지에 자신들의

By CheifEditor
구글 클라우드, AI 지원 보안 신 기능 발표

구글 클라우드, AI 지원 보안 신 기능 발표

💡Editor's Pick - AI 에이전트 맞춤형 필수 보안 기능으로 실시간 위협 탐지 및 방어 강화 - AI 에이전트 기반 자율형 보안관제센터, 맨디언트 컨설팅 서비스 확대 구글 클라우드가 현지 시간 20일 온라인으로 진행된 ‘구글 클라우드 시큐리티 서밋 2025(Google Cloud Security Summit 2025)’에서 AI 혁신을 지원하는 보안 신기능을

By CheifEdi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