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슈나이더 일렉트릭, ‘SK AI 데이터센터 울산’ 구축 맞손

SKT-슈나이더 일렉트릭, ‘SK AI 데이터센터 울산’ 구축 맞손
을지로에 위치한 SK T타워에서 진행된 계약 체결 및 협력 확대 MOU 서명식 모습(좌부터 유영상 SKT CEO, 판카즈 샤르마 슈나이더 일렉트릭 시큐어 파워 및 서비스 총괄 사장) [이미지 SKT]
💡
Editor’s Pick
- 지난 MWC25 파트너십 이후 첫 결실…MEP 장비 통합 구매 계약 체결
- SKT AI DC 기술력+MEP 솔루션 결합 인프라 구축

‘SK AI 데이터센터 울산’에 MEP(기계·전기·배관) 장비 업체 슈나이더 일렉트릭의 장비를 도입한다.

SKT는 최근 슈나이더 일렉트릭(Schneider Electric)과 ‘SK AI 데이터센터 울산’ 구축을 위한 MEP장비 통합 구매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양사는 지난 3월 MWC25에서 처음 파트너십을 맺은 뒤 첫 결과물로, 슈나이더의 배전반, UPS, 변압기, 자동제어 등 5개 영역의 MEP 장비가 ‘SK AI 데이터센터 울산’에 통합 공급된다.

또한 이번 계약에는 슈나이더의 ETAP1) 솔루션을 SKT의 통합 AI DCIM(Data Center Infrastructure Management)2)시스템에 결합해 디지털 트윈 기반으로 운용 최적화를 추진하는 내용도 포함됐다. 양사는 이를 통해 데이터센터 운영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SKT AI DCIM 솔루션의 기능을 고도화 할 계획이다.

양사는 그룹 전반으로 협력을 확대하는 추가 MOU도 체결했다. 이 MOU에는 ▲SK온의 리튬이온 배터리를 이용한 슈나이더의 UPS(Uninterruptible Power Supply)/ESS(Energy Storage System) 개발 협력, ▲SK 그룹 전체의 MEP 장비 수요에 기반한 협력 확대 등 내용이 포함됐다.

기존 협력 체결을 통해 진행 중인 ▲SKT 통합 AI DCIM과 슈나이더 자동 제어 시스템 연동 및 상품화 추진 ▲MEP 레퍼런스 디자인 도출 및 데이터센터 설계·구축 서비스 공동 수행 ▲획기적인 공기 단축을 위한 프리팹(Pre-fab)3) 통합 솔루션 공동 설계 ▲에너지 구독 사업(EaaS)4) 확대를 위한 공동 영업 등에 있어서도 협력을 강화, 성과를 창출해 나갈 계획이다.

판카즈 샤르마(Pankaj Sharma) 슈나이더 일렉트릭 시큐어 파워 및 서비스 사업부 총괄 사장(EVP)은 “이번 협력은 양사 기술력과 노하우를 결합해 AI 데이터센터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슈나이더 일렉트릭은 앞으로도 SKT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지속 가능하고 효율적인 차세대 데이터센터 생태계를 만들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유영상 SKT CEO는 “이번 계약 체결과 전략적 협력 확대는 SKT가 추구하는 ‘자강과 협력’이라는 AI 피라미드 전략의 연장선”이라며 “향후 구로 AI DC 구축과 울산 AI DC의 GW급 확장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SK 그룹 멤버사로도 협력을 확대해 최고의 시너지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Read more

SGI서울보증, 랜섬웨어 사태로 외양간 고치나...전산직 채용

SGI서울보증, 랜섬웨어 사태로 외양간 고치나...전산직 채용

지난 7월 랜섬웨어 감염으로 시스템이 마비된 SGI서울보증보험이 전산분야 채용에 나섰다. SGI서울보증은 채용인원 70명을 모집하는 가운데, 전산 예정인원은 10명을 뽑는다고 밝혔다. 전공평가는 소프트웨어 공학, 데이터베이스, 컴퓨터구조, 데이터통신, 정보보호, 운영체제, 자료구조 등 전공평가를 거친다. 앞서 SGI서울보증은 랜섬웨어 공격을 받아 랜섬웨어에 감염된 바 있다. 랜섬웨어 감염 사태 원인으론 허술한 백업조치와 VPN 취약점 때문이란

By CheifEditor
KISA, 침해사고 신고 전년 동기대비 15%↑ 신고 위반 3천만원 과태료

KISA, 침해사고 신고 전년 동기대비 15%↑ 신고 위반 3천만원 과태료

💡Editor’s Pick - 침해사고 신고건수, 지난 3년간 약 2.2배 증가 - 서버해킹 신고현황 지난 3년간 약1.8배 상승 사이버 침해사고 신고건수가 전년 동기대비 1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절반 이상이 서버 해킹으로 확인됐다. 이처럼 침해사고 증가에 따라 침해사고 신고가 갈수록 중요해지고 있다. 지난해 8월 정통망법이 개정되면서 과태료 부과

By CheifEdi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