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SC제일은행, 130억원 금융사고 발생...내부통제 소홀

[속보] SC제일은행, 130억원 금융사고 발생...내부통제 소홀
SC제일은행 홈페이지 화면
💡
Editor Pick
- SC제일은행 130억원 규모 금융사고, 해킹 관련성 확인되지 않음
- 보안전문가, 내부통제 강화 필요성 언급

SC제일은행서 자체 내부 조사 결과 130억원 가량의 금융사고가 발생했다. 문제는 사고 인지를 2년 이상 파악하지 못했다는 점이다.

24일 SC제일은행이 금융감독원에 공시한 자료에 따르면 사고 발생은 부당한 서류로 돈을 요구한 여신거래로 130억 3100만원의 금융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드러났다.

25일 보도 시점까지 보이스피싱 등 여신거래와 관련한 해킹 가능성이나 연관성은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SC제일은행 관계자에 따르면 "해킹 이슈와 연관된 부당 여신거래라면 해당 이슈에 대해 전달받았을 텐데, 아직까지 전달받은 내용은 없다"고 밝혔다.

금융권 관계자 역시 해킹 이슈가 발생했다면 금감원에 신고가 들어갔을 텐데 아직 당국으로 부터 전달 받은 사항이 없다고 귀띔했다.

금융보안원도 부당서류 관련 사고라 별도 조치할 사항은 아니란 입장이다. 즉 해킹 이슈는 아니란 얘기다.

하지만 지난 2022년 2월부터 2024년 6월까지 무려 2년 4개월 동안 인지하지 못한 허술한 보안 관리에 지적이 일고 있다. 특히 내부통제와 리스크 관리 측면에서 보안관리를 강화해야 한단 게 보안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구동언 로그프레소 전무는 "이러한 내부 통제 보안사고와 금융 범죄 이슈도 전사적인 리스크 관리 측면에서 다뤄져야 한다"며 "리스크를 실시간으로 식별하고 평가하기 위한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임종인 고려대정보보호대학원 교수는 "미국은 상장사 기준으로 내부통제 실패시 CEO에게 책임을 묻는다"며 "이번 사건은 내부자가 보안 규칙을 지키지 않은 사례로, 관리 부족으로 인한 내부 통제 실패"라고 지적했다.

이어 임 교수는 "해당 이슈에 대해 내부적으로 철저한 조사와 함께 재발 방지 대책을 세워야 한다"며 "금융권서 사이버보안이 강화된 만큼, 내부통제 역시 강화돼야 한다"고 당부했다.


Read more

현 시점 온라인 사기의 모든 전략과 전술

현 시점 온라인 사기의 모든 전략과 전술

💡Editor’s Pick - 감정을 살살 건드리는 교묘한 문구들 - 소셜미디어 플랫폼이 특히 위험 - 최종 행동을 취하기 전에도 거듭 확인 온라인 사기가 진화함에 따라 일반 사용자들이 주의해야 할 것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이 중에는 잘 알려진 것들도 있고 그렇지 않은 것들도 있다. ‘피싱 공격’이라는 말을 들어본 사람은 빠르게

By 문가용 기자
지메일 사용자 25억명,이름·연락처 노출

지메일 사용자 25억명,이름·연락처 노출

💡Editor Pick - 해킹 조직 ‘샤이니헌터스,’ 구글 클라우드서 데이터 탈취 - AI 활용한 ‘보이스 피싱’ 진화…자동 통화로 사용자 속여 구글의 이메일 서비스 지메일(Gmail) 이용자 약 25억명 계정이 대규모 해킹 위협에 노출됐다. 현지시각 24일 IT 보안 매체 사이버섹(Cybershack)에 따르면 해킹 조직 ‘샤이니헌터스(ShinyHunters)’가 구글 클라우드에서 회사

By CheifEditor
애플, 이미지 IO 제로데이 취약점 주의!

애플, 이미지 IO 제로데이 취약점 주의!

💡Editor Pick - 운영체제 구성 요소 중 이미지 IO 프레임워크서 제로데이 취약점 발견 - 애플 사용자, 즉시 기기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해야 애플이 자사 운영체제 핵심 구성 요소 중 하나인 이미지 IO(Image IO) 프레임워크에서 제로데이 보안 취약점이 새롭게 발견됐다. 이용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이번 취약점은 실제 공격에 활용된 정황이

By CheifEditor
딥페이크 등 첨단 범죄 진화, 공인탐정제 실행해야

딥페이크 등 첨단 범죄 진화, 공인탐정제 실행해야

💡Editor Pick - OECD 국가 중 탐정업 관련 법률 없는 나라 한국 뿐 - 국가기관 ‘치안 사각지대’ 보완, 국민 권익 보호해야 산업스 파이 조사, 보험사기 추적, 실종자 탐색 등 수사기관이 미치기 어려운 분야서 탐정 역할이 많다며 국내도 ‘탐정’ 제도를 도입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제기됐다. 특히 AI 시대에 사이버 보안 위협, 해킹,

By CheifEdi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