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스, 시각 장애인 위한 자동 점검 도구 '앨리' 개발

- 시각 장애인을 위한 화면 음성 안내 요소
- 하반기 내 앨리 고도화…접근성 개선 사례 ‘토스 테크’서 공개 예정
토스(운영사 비바리퍼블리카, 대표 이승건)가 앱 접근성 자동 진단 도구 ‘앨리(Ally)’를 자체 개발했다고 27일 밝혔다. 토스는 앨리를 통해 시각 장애인의 금융 서비스 접근성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한다.
앨리는 이미지를 설명하는 ‘대체 텍스트’나 ‘라벨’ 등이 개발 코드에서 누락됐는지를 클릭 한 번에 감지한다. 시각 장애인이 앱 화면 내용을 음성으로 듣는 보조 기술인 ‘스크린 리더(Screen Reader)’를 원활히 사용할 수 있도록 돕는다. 앨리 도입 후 개발자는 시간당 약 100건의 접근성 오류를 사전에 감지, 수정하고 있다.
이전에는 접근성 전문 컨설턴트가 수작업으로 오류를 점검하고 개선 사항을 전달했다.하지만 이제는 서비스 출시 전 개발자가 접근성 문제를 확인하고 해결할 수 있게 됐다. 이를 통해 토스는 서비스 개선 과정을 간소화하고, 모든 서비스에 접근성을 일관되게 적용할 수 있는 구조를 구축했다.
앨리는 접근성을 뜻하는 ‘Accessibility’의 업계 약자인 ‘a11y’에서 따왔다. 토스는 앨리를 통해 '모두에게 쉽고 간편한 금융'이라는 비전을 더욱 충실히 실천할 예정이다. 또한 이를 통해 개발자와 전문가가 접근성 향상을 위해 긴밀히 협업하는 내부 문화 역시 정착될 것으로 보인다.
하반기에는 앨리 진단 범위를 고도화하고, 관련 기술과 개선 사례를 토스 기술 블로그 ‘토스테크(Toss Tech)’에서 공유할 계획이다.
토스 관계자는 “앨리는 시각 장애인 이용자들을 직접 만나 들었던 불편과 목소리를 바탕으로 개발한 도구”라며 “누구나 금융 서비스를 제약 없이 이용할 수 있도록 기술적, 문화적 노력을 지속하겠다”라고 밝혔다.
Related Materials
- 장애를 이유로 금융서비스 이용에 불편을 겪는 사람 없도록 시각장애인용 점자 신용카드 및 디지털OTP 서비스 확대 필요 - 한국개발연구원, 2025년
- 시각장애인의 금융이해력에 관한 심층분석 - 한국학술정보, 2012년 (참고용)
- 소비자원 모바일뱅킹 앱, 시각장애인용 음성안내 허점 및 접근성 문제 지적 - 한국경제, 2023년
- 디지털 금융서비스의 장애인 접근성 및 UI/UX 개선 연구: 시각장애인 모바일 결제 경험 분석 - 디지털콘텐츠학회지, 2024년
-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 알림 UX 가이드라인 제안: 결제 과정에서의 이용행태 및 심리적 불안감 해소 - 한국장애인재단, 2023년
- 모바일뱅킹 서비스 장애인·고령자 접근성 현황 및 개선 필요성 보고서 - 한국소비자원, 2023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