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기기, 미국시장 진출하려면 사이버 보안부터 챙겨야"

"의료기기, 미국시장 진출하려면 사이버 보안부터 챙겨야"
[이미지 The Tech Edge]
💡
Editor’s Pick
- 의료기기 출시 전 사이버 보안 적용해 환자 치료 중단되지 않도록 해야
- 의료기기 제조사, 미국 진출 시 사이버보안 엔지니어링 법 적용 받아

미국 시장에 진출하려는 의료기기 제조사는 사이버보안 엔지니어링 법을 적용받아 의료기기의 사이버 보안을 강화해야 한다. 의료기기 출시전부터 사이버 보안을 적용해 의료기관 임상 현장에서 환자 치료가 중단되지 않도록 보안을 강화해야 한다.

26일 케빈푸(Kevin Fu) 노스이스턴 대학(Northeastern University) 교수는 JW 메리어트동대문 스퀘어 서울서 열린 'IoTcube Conference 2025'에서 이 같이 밝혔다.

고려대학교와 노스이스턴 대학이 공동 주최한 컨퍼런스서 캐빈푸 교수는 "미국은 19년전 전자의무기록을 확인할 수 있었던 사이버 보안 취약점이 존재했다"며 "전기충격 기능이 있는 의료기기 자체를 무력화하거나, 심박동 재새기 관련 기기도 무력화할 수 있는 사이버 보안 취약점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현재는 많은 랜섬웨어 공격이라는 사이버 보안 위협에 직면해 있다. 미국 '체인지' 헬스케어 회사는 랜섬웨어 공격을 받아 큰 돈을 지불해 미국내에서도 상이슈가 된 바 있다. 하지만 공격자는 데이터를 돌려주지 않는 게 특징이다. 따라서 데이터 몸값을 줄 필요가 없다. 설사 해커에게 데이터를 돌려 받는다 해도 데이터를 신뢰할 수 없다는 게 캐빈푸 교수의 설명이다.

미국은 25,000개 의료 기기 제조사가 있으며, 미국 시장 진출을 위해 2000개 제조사가 대기 중이다. 이와 관련해 미국은 관련 가이드를 20개 이상 발표했다. 특히 그 중에서도 사이버 보안 가이드는 매우 중요하다. 의료기기 출시 전부터 사이버보안 엔지니어 문서 한국식약처도 레거시 의료기기 가이드라인 초안을 발표한 바 있다.

캐빈푸 교수는 "미국은 의료기기 관련 사이버보안 엔지니어링을 전세계 유일하게 법으로 적용하고 있다"며 "사이버 기기 정의를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는 의료기기와 SW, 앞으로 연결할 수 있는 기능에 대해서도 법의 적용을 받는다"고 설명했다.

이어 캐빈푸 교수는 "국적 상관없이 미국 시장에 진출하는 모든 의료기기는 해당 법의 요구사항을 충족해야 한다"며 "제조사는 사이버보안 취약점을 모니터 할 수 있는 능력과 계획이 이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는 각각 의료기기 기업이 오래된 취약점부터 최신 취약점까지 어떻게 관리하는지 파악하기 위함이다.

캐빈푸 교수는 "취약성이 발견될 경우 즉각 FDA에 보고해야 한다"며 "법적 취약점을 파악하고, 계획해야 한다"며 의료기기의 사이버 보안의 중요성을 당부했다.


랜섬웨어 공격 1년 새 25% 급증…사상 최고치 기록
💡Editor’s Pick - 지난 2월 한 달 새 1천 건 넘는 공격 발생, 월간 기준 최대치 경신 - 전체 공격의 47% 미국서 발생...올해 42개국서 공격 보고 글로벌 확산 최근 1년 새 랜섬웨어 공격이 25%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금융권을 비롯해 해외에서도 피해가 발생하고 있는 만큼 기업과 기관은 랜섬웨어 피해
미국 정보 기관들, 인터록 랜섬웨어에 대한 경보 발령
💡Editor’s Pick - FBI, CISA 등 인터록 랜섬웨어 주의하라고 한 목소리 - 인터록, 아시아와 한국도 공략한 적 있어 - 드라이브 바이 다운로드 기법 주로 사용 미국의 연방수사국(FBI)과 사이버 보안 전담 기관인 CISA, 보건복지부(HHS) 등 주요 기관들이 연합해서 보안 경고를 발령했다. 인터록(Interlock)이라는 랜섬웨어 그룹의 활동량이 무섭게
전세계 유명해커 인텔브로커 프랑스서 체포...미국 송환 중
💡Editor Pick - 해커, 영국 국적의 본명 카이 웨스트 - 지난 2월 프랑스서 체포, FBI 기소 - 117차례 다크웹서 데이터 유통·판매 - 전 세계 피해 규모, 2500만달러이상 전세계적으로 악명높은 해커 인텔브로커(Intellbroker)가 지난 2월 프랑스에서 체포됐다. 해커는 현재 미국 뉴욕 남부 지방법원 기소장을 기반으로 송환 중이다. 해커는 영국

Read more

이희조 고대 교수 "의료분야, 보안 내재화 위한 취약점 관리 필수"

이희조 고대 교수 "의료분야, 보안 내재화 위한 취약점 관리 필수"

💡Editor’s Pick - 의료분야, 고위험 취약점 80%...SBOM 연계한 VEX로 취약점 관리해야 - 미국, SBOM 자동 생성 및 검증과 취약점 검증하는 플롯폼 VEX로 재편 현대 의료기기는 복잡한 사이버물리시스템으로 돼 있다. 혈압, 심전도, 센서와 펌프, 로봇 등 물리적 요소를 비롯해 펌웨어, 제어 알고리즘, AI 기반 진단 모듈 등 사이버 요소,

By CheifEditor
사이버안보 비서관, 김소정 전국가안보전략연구원책임연구위원 임명

사이버안보 비서관, 김소정 전국가안보전략연구원책임연구위원 임명

💡Editor’s Pick - 국가사이버안보, 국방외교안보, 국제안보 등 자문위원 및 연구활동 - 국가안보실 산하 사이버안보 비서관 업무, 사이버안보에 주축 역할 담당 이재명 정부 사이버안보 비서관으로 김소정 전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책임연구위원이 임명됐다. 이로써 김소정 신임 사이버안보 비서관은 그동안 공석이었던 대통령 국가안보실 산하 사이버안보 비서관 업무를 맡으며, 국가 사이버안보에 주축 역할을 담당한다. 공학박사인

By CheifEditor
현 시점 온라인 사기의 모든 전략과 전술

현 시점 온라인 사기의 모든 전략과 전술

💡Editor’s Pick - 감정을 살살 건드리는 교묘한 문구들 - 소셜미디어 플랫폼이 특히 위험 - 최종 행동을 취하기 전에도 거듭 확인 온라인 사기가 진화함에 따라 일반 사용자들이 주의해야 할 것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이 중에는 잘 알려진 것들도 있고 그렇지 않은 것들도 있다. ‘피싱 공격’이라는 말을 들어본 사람은 빠르게

By 문가용 기자
지메일 사용자 25억명,이름·연락처 노출

지메일 사용자 25억명,이름·연락처 노출

💡Editor Pick - 해킹 조직 ‘샤이니헌터스,’ 구글 클라우드서 데이터 탈취 - AI 활용한 ‘보이스 피싱’ 진화…자동 통화로 사용자 속여 구글의 이메일 서비스 지메일(Gmail) 이용자 약 25억명 계정이 대규모 해킹 위협에 노출됐다. 현지시각 24일 IT 보안 매체 사이버섹(Cybershack)에 따르면 해킹 조직 ‘샤이니헌터스(ShinyHunters)’가 구글 클라우드에서 회사

By CheifEdi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