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피싱 이메일, 링크 첨부해 '피싱' 사이트 유도 72%

5월 피싱 이메일, 링크 첨부해 '피싱' 사이트 유도 72%
[피싱 이메일 위협 통계 <이미지: 안랩>]
💡
Editor Pick
- 안랩 2025년 5월 APT 동향에서 LNK 유포가 높은 비중 차지
- CAB내에 Python 포함되는 경우도 확인

피싱이 72%, 트로젠 23%, 다운로더 4%, 인포스텔라 1%, 익스플로잇 1% 순

5월 한 달 동안 피싱 이메일 첨부파일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 위협 유형은 피싱으로 나타났다.

최근 안랩이 발표한 '2025년 5월 피싱 이메일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피싱이 72%로 가장 높게 집계됐다. 이어 트로이목마(Trojan) 23%, 다운로더 4%, 인포스틸러 1%, 익스플로잇 1% 순으로 기록됐다.

피싱은 공격자가 HTML 등의 스크립트로 로그인 페이지, 광고성 페이지 화면 구성, 로고, 폰트를 그대로 모방했다. 사용자 계정과 패스워드 입력 유도, 공격자 C2 서버로 전송, 가짜 사이트 접속을 유도했다.

이러한 피싱 유형은 스크립트, PDF 등 문서에 하이퍼링크를 삽입해 공격자가 제작한 피싱 사이트로 유도한다.

안랩은 "스크립트(Script) 첨부파일 포맷의 피싱 페이지(FakePage) 뿐만 아니라 도큐먼트(Document) 첨부파일을 이용한 취약점(Exploit) 유형의 악성코드가 피싱 이메일로 유포됐다"며 "문서 파일을 실행하면 수식 편집기 EQNEDT32.EXE 취약점(CVE-2017-11882)을 통해 록빗(Lokibot) 악성코드가 실행된다. 최근에는 PE 파일(.exe)이 ZIP에 압축한 피싱 이메일 유포가 증가했다"고 밝혔다.


Read more

파이선 리포지터리 PyPI에서 고급 악성 패키지 발견돼

파이선 리포지터리 PyPI에서 고급 악성 패키지 발견돼

💡Editor's Pick - soopsocks라는 악성 패키지, 2600번 다운로드 돼 - SOCKS5 프록시 생성 후 여러 악성행위 실시 - 공공 리포지터리의 안전한 활용 위한 대책 도입 시급 파이선 생태계의 코드 리포지터리인 PyPI에서 악성코드가 유포되고 있다는 사실이 발견됐다. 이번 악성 패키지는 일종의 백도어 기능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SOCKS5 프록시 서비스를

By 문가용 기자
오라클 자산 관리 솔루션 노리는 캠페인 성행, 혹시 클롭?

오라클 자산 관리 솔루션 노리는 캠페인 성행, 혹시 클롭?

💡Editor's Pick - 대기업 자산 관리 솔루션 노리는 공격 - 데이터 훔쳤다는 협박 메일로부터 공격 시작 - 배후에 클롭 랜섬웨어 있을 가능성 높아 보여 구글의 보안 자회사 맨디언트(Mandiant)가 최근 새로운 악성 캠페인을 발견해 세상에 공개했다. 배후 세력으로 가장 유력한 건 악명 높은 랜섬웨어 단체인 클롭(Cl0p)

By 문가용 기자
한국서도 사용되는 마일사이트 라우터, 해킹 공격에 노출돼

한국서도 사용되는 마일사이트 라우터, 해킹 공격에 노출돼

💡Editor's Pick - 산업용 셀루러 라우터의 API, 인터넷에 노출돼 - 심지어 문자 메시지 열람과 확인까지 가능한 API - 너무 많은 권한을 주는 게 많은 보안 사고의 원인 산업용 셀룰러 라우터를 감염시키는 악성 캠페인이 발견됐다. 배후 세력은 자신들이 점거한 라우터들을 통해 악성 문자 메시지를 발송하고 있다고 한다. 단순 장난

By 문가용 기자
접근 제어 솔루션 원로그인에서 API 관리 부실 취약점 나와

접근 제어 솔루션 원로그인에서 API 관리 부실 취약점 나와

💡Editor's Pick - 원로그인에서 발견된 CVE-2025-59363 - client_secret이라는 민감 정보 노출시켜 - API 관리 개념 부족해서 생긴 취약점 인기 높은 아이덴티티 및 접근 관리 솔루션인 원로그인(OneLogin)에서 심각한 보안 취약점이 발견됐다. 이를 익스플로잇 하는 데 성공한 공격자는 민감한 정보를 가져갈 수 있게 된다고 한다. 해당 취약점에는

By 문가용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