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윈도우·리눅스 서버 공격 급증

6월, 윈도우·리눅스 서버 공격 급증
[이미지: 안랩]
💡
Editor Pick
- 윈도우 My SQL 서버 공격, 573개...전월 대비 약 10배 이상 증가
- 리눅스 SSH 서버 공격, 1만 2613개 공격...전월 대비 약 2배 증가

지난 2분기 윈도우 데이터베이스 공격과 리눅스 SSH 서버 공격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안랩이 7일 발표한 '2025년 2분기 윈도우 데이터베이스 공격' ASD로그 통계에 따르면
2025년 1월 154개, 2월 87개, 3월 121개, 4월 199개, 5월 56개, 6월 573개로 집계됐다. 특히 지난 6월 많은 공격이 이뤄진 것이 특징이다.

[이미지: 안랩]

리눅스 SSH 서버 대상 공격도 늘었다. '2025년 2분기 허니팟 리눅스 SSH 서버 공격'은웜(Worm )악성코드인 P2P인펙트 공격이 50%를 차지했다. 이어 Tsunami가 38.5%를 차지하는 등 두 종류 악성코드가 80% 이상을 점유했다.

부적절하게 관리되고 있는 환경은 무차별 대입 공격이나 사전 공격에 취약한 계정 정보가 설정되어 있는 환경으로, 공격자가 만약 시스템 관리자 계정으로 로그인에 성공했다면 악성코드 또는 시스템 제어를 획득할 수 있다.

부적절하게 관리되고 있는 리눅스 SSH 서버에 대한 공격은 스캐닝부터 시작되며, 대부분의 공격 시도들은 스캐닝 이후 무차별 대입 공격이나 사전 공격을 통해 계정 정보를 획득하거나 이후 기본적인 정보를 수집한다.

웹 서버 공격은 주로 보안 패치가 되지 않은 환경에 대한 취약점 공격, 부적절하게 설정된 환경 공격, 부적절하게 관리되는 서버 공격이 있다.

일반적으로 웹 서버를 공격하는 공격자들은 파일 업로드 취약점을 이용해 웹쉘을 업로드하여 명령을 실행하는 방식이 자주 사용된다. 하지만 이외에도 웹 개발 프레임워크 자체의 취약점 또는 Web Application Server(WAS)의 취약점을 이용하여 웹쉘을 업로드할 수 있다. 물론 파일 업로드 방식 대신 원격 코드 실행 취약점을 이용해 직접 명령을 실행할 수도 있다.


프록시 설치하는 리눅스 서버 공격
💡Editor Pick - 허술하게 관리되고 있는 리눅스 서버에 프록시 설치해 공격 - 티니 프록시, 싱박스처럼 정상 오픈 소스 도구 악용 특징 최근 허술하게 관리되고 있는 리눅스 서버에 프록시 설치해 공격하는 사례가 포착되고 있다. 이 공격 방식은 티니 프록시(TinyProxy) 같은 정상 도구나 싱박스(Sing-box)처럼 정상 오픈 소스 도구를 악용하는
악성코드 설치하는 MySQL 서버 공격 주의!
💡Editor Pick - MySQL 서버에 대한 Brute force / Dictionary Attack - 공격 후, UDF/GhostRAT/XWorm, HpLoader, Zoho ManageEngine 등의 악성코드 설치 MySQL은 대표적인 데이터베이스 서버다. 기업, 사용자 환경에서 대량 데이터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그런데 최근 외부에 노출되거나, 관리가 소홀한 MySQL 서버를 노린 공격이 지속적으로 포착되고 있다. 공격자는 스캐닝을 통해
중국어 사용 공격자, 국내 서버 공격
최근 국내 웹 서버를 노린 사이버 공격이 포착됐다. 공격자는 네트워크 장악 시도를 위해 악성코드로 시스템을 감염시켰다. 네크워크가 장악될 경우 민감한 정보 탈취나 랜섬웨어에 감염될 수 있어 이용자들의 철저한 보안 점검이 필요하다. 공격자는 웹쉘 악성코드를 설치하고, 라돈(Ladon) 도구를 악용, 수퍼쉘(SuperShell)과 메쉬에이전트(MeshAgent)를 설치해 감염 시스템을 제어했다. 라돈은

Read more

북 추정 해커, 한국 주재 외국 대사관 타깃 사이버 공격

북 추정 해커, 한국 주재 외국 대사관 타깃 사이버 공격

💡Editor's Pick - 깃허브, 명령·제어채널로 활용해 ‘XenoRAT’ 악성코드 배포 - 해커, 실제 외교 일정에 맞춰 정교하게 초정장·한미동맹 문서 위장 - 공격 전술·기법, 북한 연계 해킹 조직 ‘킴수키’ 패턴 유사 한국에 주재하는 외국 대사관을 겨냥한 사이버 첩보 공격이 드러났다. 2025년 3월부터 7월까지 최소 19차례의 스피어피싱을 통해

By CheifEditor
금융 보안 앱 위장, '루나스파이' 주의!

금융 보안 앱 위장, '루나스파이' 주의!

💡Editor's Pick - 지난 6월부터 7월까지 두 달 동안 전 세계에서 3천 건 이상 탐지 - 메신저 통해 접근, 뱅킹 보안 도구 설치 권유로 감염 유도 금융 보안 앱으로 가장한 스파이웨어 ‘루나스파이(LunaSpy)’가 유포되면서 이용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카스퍼스키에 따르면 루나스파이가 지난 6월부터 7월까지 두 달 동안

By CheifEditor
레노보 웹캠, ‘BadCam’ 취약점 발견

레노보 웹캠, ‘BadCam’ 취약점 발견

💡Editor's Pick - 운영체제 무관하게 키 입력 주입, 추가 장치 가장해 악성 행위 - 리눅스 기반 동작 USB 주변기기 펌웨어 무결성 검증 부재 -“주변기기도 소프트웨어다” 사실 인지해야...펌웨어 중요 레노보의 일부 웹캠 모델에서 원격으로 ‘BadUSB’ 공격 장치로 변조될 수 있는 취약점이 확인됐다. 공격자는 운영체제와 무관하게 은밀하게 키

By CheifEdi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