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뛰는 놈 위에 나는 놈", 해킹 빌미로 비트코인만 가로채는 다크웹 '활개'

"뛰는 놈 위에 나는 놈", 해킹 빌미로 비트코인만 가로채는 다크웹 '활개'
[이미지: AI Generated by TheTechEdge]
💡
Editor Pick
- 정교하게 짜인 구조로 돈만 가로채는 사기 다크웹 '활개'
- 오컬트·해킹·금융사기 등 제공한다며 비트코인만 가로채 잠적
- 이메일·비트코인 주소 재사용, 저렴·고효율 사이버 범죄 지속

최근 정교하게 짜인 다크웹 인프라가 발견됐다. '시크릿 히든 그룹(Secret Hidded Group)' 조직은 오컬트, 해킹 서비스, 금융사기 등 서비스 제공 사기로 암호화폐를 가로챈다.

해킹 등 맞춤형 서비스 제공 빌미로 비트코인만 가로채는 다크웹 화면 [이미지 The Tech Edge]

정교하게 짜인 구조의 다크웹 인프라
다크웹 메인화면은 기이한 적·흑 색조, 타로·사탄 상징, 그리고 심오한 문구로 표기돼 있다. 25달러 비트코인을 내면 연애·금전·개인 문제 해결을 약속하는 가짜 '특별 부적'을 준다며 닉네임과 특정 이메일 주소를 연락처로 남겼다.

그런데 이후 여러 메일 계정과, 유사 구조를 가진 onion 도메인이 연쇄적으로 발견됐다. 각각의 다크웹은 세부 테마만 다를 뿐, 오컬트 상징·컨택트 이메일·고정 요금 방식 등은 일관되고 반복된 패턴을 보였다.

반복되는 이메일·비트코인 주소 재사용
스텔스모어가 이메일을 역추적한 결과, 각기 다른 onion 사이트와 주소들이 클러스터(Cluster) 형태로 드러났다. 각기 연결된 사이트는 동일한 제안, 시각적 요소, 그리고 비트코인 지갑을 반복적으로 공유했다. 소액이나, 유사한 사이트를 지속적으로 생성해 저위험·다수피해를 유발하는 구조다. 이 과정서 또 다른 비트코인 지갑들은 스팸, ‘소원 성취’ 서비스, 해킹 대행 등 별개 onion 사이트들을 동시에 지원한다.

해킹 등 맞춤서비스 빌미로 비트코인만 가로채
해당 그룹은 같은 백엔드 이메일, 비트코인 주소, 미니멀 사이트 코드를 기반으로, 그때그때 피해자가 원하는 방향에 맞춰 연애운, 금융, 해킹, 비밀결사 등 맞춤 서비스를 제공한다. 피해자 모집과 신뢰 유도, 심리적 조작에 이르기까지 하나의 공장처럼 돌아가는 시스템이다.

사이트 대다수는 상호 대화 기능이나 실제 서비스 프로세스는 적용하지 않고, “이메일로 결과 제공”을 약속하며, 선결제를 요구한다. 하지만 실제로는 연락이 두절되거나, 허무맹랑한 메시지만 보낼 뿐 실질적 교환은 이뤄지지 않는다. 즉 사기다.

이 조직은 익명성과 상징성·미니멀 웹 인프라를 재사용하며, 저렴하고 고효율적인 사이버 범죄를 지속한다. 누적 규모는 상당하며, 전문가 추적 없이는 쉽게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다.

스텔스모어는 "사이버 범죄는 해킹·첨단 기법 없이도, 조작과 심리적 설계, 인프라 반복만으로도 큰 피해를 일으킬 수 있다"며 "피해 확산을 막기 위해선 익명의 제안, 반복되는 주소·이메일·비트코인 정보 재사용 등에 대한 경계심과, 적극적인 정보 공유 및 신고가 반드시 병행돼야 한다"고 당부했다.


[단독] 다크웹, 지우병원 개인정보 1000달러 판매글 올라와
💡Editor Pick - 해커, 지난 26일 다크웹에 지우병원 개인정보 1000달러 판매글 올려 - 지우병원 외에도 4월 최신 이력서 800만개 보유 주장 판매 다크웹에 지우병원 개인정보 판매 게시글이 올라온 정황이 포착됐다. 지우병원이 랜섬웨어 공격을 받아 개인정보가 유출됐다고 공지한 만큼, 사건 연관성도 주목된다. 해커는 지난 26일 오전 7시 8분경 다크웹에 지우병원 개인정보
IS, 다크웹서 무서운 속도로 확산 전략 펼쳐
💡Editor Pick - IS, 다크웹서 선전 자료 유출, 정보 확산 등 인프라 구축 - 표적 수사 피하기 위해 디지털 자금 치밀하게 설계 - IS추적 연구원 문서 유출...정보전의 또 다른 단면 - 다크웹, 정보전의 또 다른 전선...다크웹 생태계의 이중적 위험성 IS가 다크웹을 거점으로 선전 자료를 퍼뜨리며, 암호화폐와 텔레그램 등을
[단독] 골든팔콘 해커, 마곡 도시형 스마트팜 해킹
💡Editor Pick - 반테러 해커 조직, 마곡 도시형 스마트판 해킹 화면 텔레그램에 공유 - 해커, 시스템 접근권한 획득...해킹 녹화 후 정상으로 되돌렸다고 주장 - 스마트팜 해킹 보안사고 반복에 보안 점검 및 보안 강화 시급 반테러 해킹 조직 ‘골든 팔콘(Golden Falcon)’이 국내 도시형 스마트팜 시스템을 해킹한 정황이 포착됐다.

Read more

[단독] 해커, 국내 구매 대행사 회원 개인정보 브리치포럼에 공개

[단독] 해커, 국내 구매 대행사 회원 개인정보 브리치포럼에 공개

💡Editor Pick - 7일 브리치포럼에 국내 구매 대행사 회원 개인정보 올라와 - 아이디, 패스워드, 이메일, 전화번호, 핸드폰 번호 등 공개 국내 구매 및 대행 서비스 기업의 개인정보가 브리치포럼에 올라왔다. 7일 오후 5시 40분경 해커는 브리치포럼에 국내 구매 및 대행 서비스 기업의 개인정보 샘플을 공개했다. 해커는 공개한 샘플 개인정보는 아이디, 패스워드,

By CheifEditor
에어프랑스·KLM, 고객 정보 유출… 멤버십·연락처 노출

에어프랑스·KLM, 고객 정보 유출… 멤버십·연락처 노출

에어프랑스와 KLM이 고객 상담용 플랫폼이 해킹돼 개인정보가 유출됐다고 7일(현지시간) 밝혔다. 양사는 침해 사실을 파악한 직후 공격 경로를 차단했으며, 항공사 자체 네트워크와 결제 시스템은 피해를 입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회사 발표에 따르면 해커가 접근한 대상은 제3자 고객 서비스 시스템으로, 고객 이름·이메일·전화번호·보너스 마일 정보·최근 거래 내역 등이 포함된

By Senior Editor, Donghwi Shin
서울시 기술교육원, 랜섬웨어 감염...전산실 전담 없어

서울시 기술교육원, 랜섬웨어 감염...전산실 전담 없어

💡Editor Pick - 교직원 출·퇴근 관리 프로그램 설치 원격시스템 PC 랜섬웨어 감염 - 교직원 성명과 지문 데이터, 출퇴근 기록 등 약 6년 간 축적 자료 암호화 작년에 발생한 서울시 D기술교육원 랜섬웨어 감염 사고가 서울시 감사위원회를 통해 뒤늦게 드러났다. 기술교육원 4곳 중 1곳인 D기술교육원은 전산실 보안관리 부실로 PC가 랜섬웨어에 감염됐다.

By CheifEditor
전 세계 해커, 데이터 유출과 랜섬웨어 등 금융권에 '군침'

전 세계 해커, 데이터 유출과 랜섬웨어 등 금융권에 '군침'

💡Editor Pick - 금융권 노린 데이터 유출, 랜섬웨어 감염, 디도스 등 사이버 공격 기승 - 접근제어 강화, 고객 정보와 내부 자료 분리 저장, 백업 강화해야 금융권을 노린 데이터 유출, 랜섬웨어 감염, 디도스 공격 등 사이버 공격이 기승을 부리고 있다. 보험사, 은행 등 전 세계적으로 금융권을 타깃으로 한 공격이 곳곳에서 발생하고

By CheifEdi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