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74%, 사이버테러로 '불안'...안보위협

국민 74%, 사이버테러로 '불안'...안보위협
[이미지: 전국지표조사 리포트 제156호 (2025년 5월 4주)]
💡
Editor Pick
- 국민 대다수가 사이버테로로 인한 불안감 표시
- 북한 무력 도발 보다 높은 수준의 불안감 표시

우리 국민이 안보위협 체감에 대해 사이버테러로 불안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지표조사(NBS, National Barometer Survey)'에 따르면 9일부터 11일까지 3일간 만 18세 이상 남녀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안보위협에 대해 사이버 테러로 ‘불안하다’(매우+불안한 편)고 답한 응답자가 74%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감염병 유행으로 불안하단 답변이 50%, 북한의 무력도발 49%, 식량 수급 33% 순으로 집계됐다.

[이미지: 전국지표조사 리포트 제156호 (2025년 5월 4주)]

연령별로 살펴보면 30-49세, 60-69세 77%, 50-59세 76%, 18-29세 73%, 70세 이상 62% 순으로 사이버테러로 '불안하다'고 응답했다. 전반적으로 모든 연령대에서 사이버테러에 대한 불안감을 체감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지역별로는 대구/경북이 81%로 사이버테러에 대한 불안함을 가장 높게 체감했다. 이어 대전/세종/충청 80%, 부산/울산/경남 77%, 인천/경기, 강원/제주 75%, 서울 70%, 광주/전라 57% 순으로 나타났다.

이어 ‘감염병 유행’에 대한 불안감은 70세 이상(58%)에서 가장 높게나타났다. ‘북한의 무력도발’에 대한 불안감은 18~29세(60%)에서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지난 2024년 6월 3주 조사결과 대비 ‘사이버 테러’에 대한 불안감은 8%p 오른 반면, ‘북한의 무력도발’에 대한 불안감은 13%p 감소했다.


Read more

시스코, CVSS 10점 치명적 FMC 취약점 경고… 원격 코드 실행 가능성

시스코, CVSS 10점 치명적 FMC 취약점 경고… 원격 코드 실행 가능성

글로벌 네트워크 장비 업체 시스코가 자사 ‘Secure Firewall Management Center(FMC) 소프트웨어’에서 치명적인 보안 취약점이 발견됐다며 긴급 보안 패치를 배포했다. 이번 취약점은 CVE-2025-20265로 식별됐으며, CVSS(공통 취약점 평가 시스템) 기준 만점인 10.0점을 받았다. 이는 보안 업계에서 가장 심각한 수준으로 분류되는 등 긴급 대응이 필요하다는 의미다. 이번 취약점은 FMC

By CheifEditor
LG U+, 경찰청과 보이스피싱 긴급 대응 체계 구축

LG U+, 경찰청과 보이스피싱 긴급 대응 체계 구축

💡Editor Pick - ‘AI 활용 민생범죄 예방 업무협약’ 체결…피싱 차단와 대응 체계 구축 - 경찰청 연계해 전국 매장 ‘현장 대피소’로 운영…‘익시오’ 활용 대응 LG유플러스가 경찰청과 손잡고 보이스피싱 근절에 나선다. 피싱·스미싱 피해를 예방·차단하고, 피해 고객을 돕기 위한 ‘현장 대피소’ 등 긴급 대응 체계를 구축한다. LG유플러스와 경찰청은

By CheifEdi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