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분기 피싱 공격 1위 '청첩장' 위장

2분기 피싱 공격 1위 '청첩장' 위장
[이미지 안랩]
💡
Editor Pick
- ‘2025년 2분기 피싱 문자 트렌드 보고서’ 발표
- 1위: 청첩장 위장, 사칭 산업군 1위: 금융, 피싱 시도 방식 1위: URL 삽입
- 불분명한 송신자 보낸 URL 클릭 금지, 국제 발신 문자 수신 차단 등 준수

올해 2분기 피싱 공격 1위는 청첩장 위장 피싱이, 사칭 분야 1위 피싱은 금융권, 피싱 시도방식 1위는 문자 메시지에 URL을 포함시킨 수법이 차지했다. 피싱 특성상 쉽게 속는 수법에 공격자가 몰두하는 만큼, 이러한 피싱 유형에 속지 않도록 이용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공격 유형: 1위 청첩장 위장]
안랩이 지난 4월부터 6월까지 자체 구축 AI 플랫폼 기반으로 분석한 ‘2025년 2분기 피싱 문자 트렌드 보고서’에 따르면 ‘청첩장 위장’ 피싱이 전체의 28.10%로 1위를 기록했다. 이어 ▲구인공고 위장(18.69%) ▲금융기관 사칭(15.03%) ▲대출 상품 안내 위장(14.66%) ▲텔레그램 사칭(10.71%) ▲정부기관 사칭(4.85%) ▲택배사 사칭(2.03%) ▲부고 위장(2.0%) ▲가족 사칭(1.98%) ▲공모주 청약 위장(1.95%) 등이 뒤를 이었다.

특히, ‘청첩장 위장’ 유형은 직전 분기 대비 가장 높은 증가율(△1,189%)을 보였다. 이는 모바일 청첩창에 대한 경계심이 낮아지는 봄철 결혼식 성수기를 노린 공격이 급증한 결과로 분석된다. 

공격자는 모바일 청첩장으로 위장한 URL을 문자에 삽입해 사용자를 피싱 페이지로 유도하고, 사진 등 페이지 내 각종 요소에 악성 앱 다운로드 버튼을 숨겨놓는다. 악성 앱으로 연락처 등 휴대폰 내 개인정보를 탈취해, 개인화된 추가 피싱 공격을 실행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사칭 산업군: 1위 금융권]
피싱 문자 공격자가 사칭한 산업군 비중은 ▲금융(15.16%) ▲정부 및 공공기관(4.86%) ▲물류(2.03%) 순으로 나타났다.

지난 1분기에는 전체 피싱 문자 공격의 절반 이상이 정부 및 공공기관 사칭에 집중된 반면, 2분기에는 ‘기타(77.95%)’의 비중이 크게 높아졌다. 이러한 추세는 사칭 공격이 특정 산업군에 국한되지 않고, 사용자의 일상생활 전반을 겨냥한 다양한 주제로 확산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피싱 시도 방식: 1위 URL 삽입]
피싱 시도 방식은 ‘URL 삽입’이 67.37%로 가장 많이 사용됐다. 이는 사용자의 호기심이나 불안 심리를 자극해 피싱 사이트로 연결되는 URL을 무심코 클릭하도록 유도하는 전형적인 피싱 수법이다.

이어 ▲모바일 메신저로 유인(13.10%) ▲전화 유도(12.65%)가 뒤를 이었다. 문자로 최초 접근한 뒤 1:1 대화방, 오픈채팅방, 전화 등 개인적인 채널로 전환해 대화를 이어가며 신뢰를 얻고 피싱을 시도하는 방식도 꾸준히 사용되고 있다.

 피싱 문자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불분명한 송신자가 보낸 URL 클릭 금지 ▲의심스러운 전화번호의 평판 확인 ▲업무·일상에 불필요할 경우 국제 발신 문자 수신 차단 ▲V3 모바일 시큐리티와 같은 스마트폰 보안 제품 설치 등 기본적인 보안 수칙을 준수해야 한다.

안랩은 “피싱 문자 공격은 계절적 이슈, 사회적 관심사 등 사용자의 일상과 밀접한 주제로 심리적 허점을 파고드는 것이 특징”이라며, “최신 유행하는 피싱 문자 사례를 숙지하고, 의심되는 URL은 클릭하지 않는 등 기본적인 보안 수칙을 지키는 것만으로도 피해를 줄일 수 있다”고 전했다.


대국민 민생회복 소비쿠폰 피싱 주의!
💡Editor Pick - 대국민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악용한 스미싱, 피싱, 보이스피싱 주의 -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과 사용방법 등 키워드로 피싱 접속 유도 대국민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시기를 악용한 스미싱, 피싱, 보이스피싱 발생이 우려되고 있어 이용자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 따르면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관련 키워드를 사용한 피싱 시도가 예상된다며
부킹닷컴 사칭 피싱 주의!..여름휴가철 여행 예약 피싱 기승
💡Editor Pick -유명 여행 예약 사이트와 어플 사칭해 개인 정보 탈취 금전적 피해 입혀 -휴가철 특가 할인, 이벤트 당첨 등 여행 관련 이메일도 각별히 주의 -URL 영문 표기 수상할 경우 접속 금지, AskURL 통해 검사해야 여름철 휴가 시즌을 틈타 여행 예약 사이트나 모바일 앱을 사칭한 피싱 시도가 급증하고 있어 특별한
[칼럼] 사이버 범죄 시작점, 피싱 해부
💡Editor Pick - 요즘 피싱, 도메인·UI·로고·운영 방식·사업자번호 까지 복제 - ‘정상 사이트처럼 보이는 것’이 피싱 성공률의 핵심이 된 셈 - 디지털 보안, 전문가들만의 문제 아냐...모두 일상 속에서 실천돼야 [칼럼 김지훈 누리랩 이사] 최근 몇 년 사이, 사이버 범죄의 양상은 더욱 정교해지고 조직화 되고 있다.

 

Read more

[단독] 해커, 국내 구매 대행사 회원 개인정보 브리치포럼에 공개

[단독] 해커, 국내 구매 대행사 회원 개인정보 브리치포럼에 공개

💡Editor Pick - 7일 브리치포럼에 국내 구매 대행사 회원 개인정보 올라와 - 아이디, 패스워드, 이메일, 전화번호, 핸드폰 번호 등 공개 국내 구매 및 대행 서비스 기업의 개인정보가 브리치포럼에 올라왔다. 7일 오후 5시 40분경 해커는 브리치포럼에 국내 구매 및 대행 서비스 기업의 개인정보 샘플을 공개했다. 해커는 공개한 샘플 개인정보는 아이디, 패스워드,

By CheifEditor
에어프랑스·KLM, 고객 정보 유출… 멤버십·연락처 노출

에어프랑스·KLM, 고객 정보 유출… 멤버십·연락처 노출

에어프랑스와 KLM이 고객 상담용 플랫폼이 해킹돼 개인정보가 유출됐다고 7일(현지시간) 밝혔다. 양사는 침해 사실을 파악한 직후 공격 경로를 차단했으며, 항공사 자체 네트워크와 결제 시스템은 피해를 입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회사 발표에 따르면 해커가 접근한 대상은 제3자 고객 서비스 시스템으로, 고객 이름·이메일·전화번호·보너스 마일 정보·최근 거래 내역 등이 포함된

By Senior Editor, Donghwi Shin
서울시 기술교육원, 랜섬웨어 감염...전산실 전담 없어

서울시 기술교육원, 랜섬웨어 감염...전산실 전담 없어

💡Editor Pick - 교직원 출·퇴근 관리 프로그램 설치 원격시스템 PC 랜섬웨어 감염 - 교직원 성명과 지문 데이터, 출퇴근 기록 등 약 6년 간 축적 자료 암호화 작년에 발생한 서울시 D기술교육원 랜섬웨어 감염 사고가 서울시 감사위원회를 통해 뒤늦게 드러났다. 기술교육원 4곳 중 1곳인 D기술교육원은 전산실 보안관리 부실로 PC가 랜섬웨어에 감염됐다.

By CheifEditor
전 세계 해커, 데이터 유출과 랜섬웨어 등 금융권에 '군침'

전 세계 해커, 데이터 유출과 랜섬웨어 등 금융권에 '군침'

💡Editor Pick - 금융권 노린 데이터 유출, 랜섬웨어 감염, 디도스 등 사이버 공격 기승 - 접근제어 강화, 고객 정보와 내부 자료 분리 저장, 백업 강화해야 금융권을 노린 데이터 유출, 랜섬웨어 감염, 디도스 공격 등 사이버 공격이 기승을 부리고 있다. 보험사, 은행 등 전 세계적으로 금융권을 타깃으로 한 공격이 곳곳에서 발생하고

By CheifEdi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