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랩, ‘2025년 ICT 중소기업 정보보호 지원사업’ 수요기업 모집

안랩, ‘2025년 ICT 중소기업 정보보호 지원사업’ 수요기업 모집
[이미지 안랩]
💡
Editor's Pick
- 네트워크 보안 솔루션, 중소기업용 SaaS형 보안관리 솔루션 등 공급
- KISA 지역정보보호센터 홈페이지서 11월 말까지 신청 가능

안랩이 ‘2025년 ICT 중소기업 정보보호 지원사업’ 공급기업으로 선정돼, 보안 제품과 서비스를 도입할 수요 기업을 모집한다.

이번 지원사업은 ▲정보보호 컨설팅 및 보안제품 지원 ▲클라우드 기반 보안서비스(SECaaS, Security as a Service) 지원 등 2개 분야로 나눠 시행된다.

안랩은 각 분야에 걸쳐 ▲네트워크 보안 솔루션 ‘안랩 트러스가드(AhnLab TrusGuard)’ 50B·70B 모델 ▲중소기업용 SaaS(Software-as-a-Service, 서비스형 소프트웨어)형 보안관리 솔루션 ‘안랩 오피스 시큐리티(AhnLab Office Security)’ 제품군(3종)  ▲의심파일 실행 보류·샌드박스 분석 서비스 ‘안랩 MDS agent 관제 서비스’ ▲클라우드 워크로드 보안 플랫폼 ‘안랩 CPP(AhnLab CPP)’의 ‘안티 멀웨어(Anti malware)’ 및 클라우드 네트워크 침입 탐지·방지(Host IPS) 기능 등 중소기업 특화형 제품 및 서비스를 제공한다.

수요기업 모집은 오는 11월 말까지 진행된다. 신청은 한국인터넷진흥원 지역정보보호센터 홈페이지서 신청할 수 있다. 안랩은 별도 상담페이지서 지원 사업, 제공 제품∙서비스 상세 정보, 상담을 제공한다.

안랩 김정현 마케팅본부장은 “30년간 축적해온 보안 기술력 바탕으로, 중소기업 환경에 특화된 솔루션과 지역 전략 산업별 맞춤형 보안을 제공할 예정”이라며, “수요기업들이 예산 부담 없이 최신 보안 체계를 갖추고, 주요 위협에 선제 대응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안랩은 중소기업용 보안 제품과 서비스 우수성, 안정성을 인정받아 2021년부터 ‘ICT 중소기업 정보보호 지원사업’ 공급기업으로 5년 연속 선정됐다. 제조·IT·건설·의료 등 다양한 산업군 중소기업의 보안 환경 개선을 지원해오고 있다.


김창오 IITP PM, ”수요기반 R&D 중요...현장서 필요한 기술 검토할 것”
💡Editor Pick - 자율보안 협의체, IITP와 함께 정보보호 R&D 수요 간담회 개최 - 현장 기술적 수요와 정책적 건의사항 등 논의 - 정보보호 관련 R&D 수요 및 의견 수렴 통해 신규 과제 기획 발판 마련 한국정보보호산업협회 자율보안협의체 의장 김진수 트리니티소프트 대표는 김창오 정보통신기획평가원(이하 IITP) 정보보안 PM과 함께 정보보호
중소기업 89%, 기술 유출 타깃 이유
보안 투자 여력, 전담 인력, 사후 대응 체계 부재, 관행 중심의 업무 방식 문제 2020~2024년 국내에서 발생한 산업기술 유출 사건의 89%는 중소기업에서 발생했다. 2022년 기준, 산업기밀 유출 피해의 78% 중소기업에 집중됐다. 최근 5년간 해외 기술 유출 시도는 97건, 그로 인한 추정 피해액은 무려 23조원에 달한다. 중소기업이 기술 유출의
SK쉴더스, 최근 3년 사이버 침해사고 중소기업 비율 82.7%
💡Editor Pick - “中企 , 예산·인력 부족으로 대응 어려워” - 중소기업 환경에 맞춘 특화 구독형 사이버보안 서비스 지원 최근 3년간 국내 사이버 침해사고 10건 중 8건은 중소기업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 따르면, 2022년부터 2024년까지 신고된 4,306건 중 중소기업이 3,563건(82.7%)을 차지했다. 중견기업은 339건(7.

Read more

MSP가 사용하는 도구서 나온 취약점, 이미 익스플로잇 시작

MSP가 사용하는 도구서 나온 취약점, 이미 익스플로잇 시작

💡Editor's Pick - MSP의 원격 관리 솔루션의 취약점, CISA의 KEV에 추가 - 아직 실제 공격과 관련된 세부 내용은 비공개 - MSP는 기업들의 거대 중앙 허브...공격자들이 선호하는 표적 MSP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들 사이에서 인기리에 사용되는 플랫폼인 엔에이블엔센트럴(N-able N-central)에서 두 개의 취약점이 발견됐고, 실제 익스플로잇 공격이 시작됐다는

By 문가용 기자
北·中 추정 APT조직, 13개사 이메일 이용자 총226명 피싱 공격

北·中 추정 APT조직, 13개사 이메일 이용자 총226명 피싱 공격

💡Editor's Pick - APT 조직, 정부·기업·보안기업 13개 사이트 이메일 이용자 타깃 피싱 - 대검·KLID·대한민국 공직자 통합 이메일·링네트·방첩사·라온· - 네이버·다음·한메일·디지털트러스트·인비즈넷·옴니원 데프콘에서 화이트 해커 2명이 공개한 APT 조직의 국내 해킹 파일 파장이 커지고 있다. 중국 또는 북한 추정

By CheifEditor
줌 클라이언트와 제록스 프리플로우코어, 초고위험도 취약점 패치

줌 클라이언트와 제록스 프리플로우코어, 초고위험도 취약점 패치

💡Editor's Pick - 줌 윈도용 클라이언트서 초고위험도 취약점 나와 - 제록스 프리플로우코어에서도 심각한 취약점 나와 - 기업용 앱들은 보다 엄격히 관리해야 줌 클라이언트(Zoom Client)와 제록스 프리플로우코어(FreeFlow Core)에서 보안 취약점이 발견됐다. 이 중 초고위험도를 가진 것들도 존재한다. 줌과 제록스 두 회사는 현재까지 발견된 모든 취약점들을

By 문가용 기자
포티넷, 초고위험도 취약점 패치하며 “실제 공격 발생” 경고

포티넷, 초고위험도 취약점 패치하며 “실제 공격 발생” 경고

💡Editor's Pick - 포티시엠에서 초고위험도 취약점 나와 - 실제 공격 있다는 경고도...하지만 구체적 내용은 없어 - 취약점 정보, 덮고 숨기는 게 아니라 공유하고 패치해야 보안 업체 포티넷(Fortinet)이 자사 제품에서 발견된 초고위험도 취약점을 패치하며, 고객들에게 “시급히 적용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이 취약점은 CVE-2025-25256이며, CVSS 기준

By 문가용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