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미디어 AI 혁신에 1,363억원 투입

방송미디어 AI 혁신에 1,363억원 투입
[이미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Editor Pick
- 예타 통과로 5년간 대규모 R&D 추진
- 디지털미디어 제작·플랫폼·전파방송 3대 분야 집중
- 산업계-학계 협력, AI 기반 방송 혁신 가속

정부가 국내 방송미디어 산업의 인공지능(AI) 혁신을 위한 ‘디지털미디어 이노베이션 기술개발사업’이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했다. 이 사업은 디지털미디어 제작, 서비스 플랫폼, 전파방송 기반 디지털 서비스 등 3대 분야서 AI·디지털 핵심기술을 개발해 방송산업의 경쟁력을 높이는 게 목표다.

예타 통과, 방송미디어 AI 혁신 R&D 본격 추진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정보통신기획평가원과 함께 기획한 ‘디지털미디어 이노베이션 기술개발사업’이 26일 국가연구개발사업평가 총괄위원회에서 예비타당성조사를 최종 통과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2026년부터 2030년까지 5년간 국비 1,097억 원을 포함한 총 1,363억원이 투입된다. 이번 사업은 지난해 개편된 국가연구개발 예타 제도에 따라 신설된 ‘부처 고유임무형 R&D 사업’이다. 기존 소규모·단기 연구개발을 통합해 중장기 기술개발 체계를 갖추는 것이 특징이다.

디지털미디어 제작·플랫폼·전파방송 3대 분야 집중
사업은 △디지털미디어 제작 △미디어 서비스 플랫폼 △전파방송 기반 디지털 서비스 등 3대 분야에서 AI·디지털 핵심기술 개발에 초점을 맞춘다.

디지털미디어 제작 분야서는 AI를 활용한 자동화 제작 공정과 고효율 콘텐츠 편집·합성 기술, 미디어 플랫폼 분야서는 방송 시청 데이터를 분석해 맞춤형 콘텐츠를 추천하는 시스템, 전파방송 인프라 분야서는 방송망을 활용한 양방향 데이터 서비스 기술 등이 개발될 예정이다. 이를 통해 국내 방송미디어 플랫폼의 AI 역량을 높이고, 기획-제작-송출-시청 전 과정의 디지털화를 촉진한다.

산업계-학계 협력으로 상용화 및 혁신 확산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사업 기획 및 추진 과정서 방송사,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미디어 기술기업, 연구기관, 학계 등과 협력 체계를 구축한다. 특히 과제 간 연계를 강화할 수 있도록 ‘과제협의체’를 구성해 R&D 효율을 극대화하고, 연구개발 결과의 상용화와 산업 현장 확산을 유도할 계획이다.

강도성 방송진흥정책관은 “이번 사업은 국내 방송미디어 산업이 AI 기반으로 전환하기 위한 핵심 사업”이라며 “방송사, IPTV, OTT 등 다양한 사업자가 참여해 콘텐츠 기획부터 제작, 송출, 시청 전 과정에서 혁신을 이끌어주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번 디지털미디어 이노베이션 기술개발사업은 글로벌 경쟁 심화와 미디어 제작비 급증 등 급변하는 방송미디어 환경에 대응해, 국내 산업의 기술경쟁력과 성장동력을 확보하는 데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AI 경진 대회 개최, 우승팀 30억원 연구 지원
💡Editor Pick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AI CHAMPION 경진 대회 추진 - 선발 연구팀은 후속 연구과제를 R&D로 최대 30억 상당 연구 지원 대회 참가팀, 7월 1일부터 7월 23일까지 접수 예정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상임, 이하 ‘과기정통부’)가 ‘2025년 인공지능 경진(챔피언) 대회’ 참가팀을 7월 1일(화)부터 7월 23일(수)까지 모집한다.
AI 기술 고도화에 해킹 공격도 ‘고도화’
인공지능(AI) 기술이 고도화될수록 AI 기술을 이용한 해킹 공격도 심화되는 양상이다. 북한·러시아·이란·중국 등과 같은 국가배후 해킹 조직은 챗GPT를 활용하거나, 가상자산 탈취 목적의 범죄 조직은 AI를 활용해 일반인 가상 자산을 노린다. 뿐만 아니라 생성형 AI는 악성코드 개발에도 활용된다. 2025년 하반기에는 이러한 AI 기반 공격이 더욱 고도화할 것으로 보인다.
이 대통령 “AI시대 고속도로 구축...아낌없이 지원 투자할 것”
💡Editor Pick - 울산 AI 데이터센터 출범식 참석 : 미포 국가산업단지에 100MW(메가와트) 규모 인공지능(AI) 전용 데이터센터 구축 예정 - AI 글로벌 협력 기업 간담회 : AI 시대 준비하기에 따라 성장 또는 퇴보 - 최태원 SK 회장 : 대한민국의 성장 위해 AI 필수 울산 AI데이터센터 출범식 참석…“AI 개발 집중 지원” 이재명

Read more

최민희 과방위원장 “북한 해킹 의혹, 통신사 자체 조사 신뢰할 수 있냐”

최민희 과방위원장 “북한 해킹 의혹, 통신사 자체 조사 신뢰할 수 있냐”

💡Editor's Pick - 국회 과방위 전체회의, 북한 해킹 조직, 국내 통신사 공격 의혹 - 류차관, “KT와 LG유플러스에 자료 제출받아 사실 여부 확인 계획”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북한 해킹 조직이 국내 주요 통신사들을 겨냥했다는 의혹과 관련해 사실 관계 확인에 나섰다. 류제명 과기정통부 2차관은 20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전체회의에서 “KT와 LG유플러스로부터 자료를 제출받아

By CheifEditor
마이데이터 전산업 확대, 개인정보 유출 우려

마이데이터 전산업 확대, 개인정보 유출 우려

💡Editor's Pick - 갑작스런 마이데이터 전산업 확대로 개인정보‧기업기밀 해외유출 우려 - 상업적 남용 방지·저작권법 등 타법 충돌 해소 위한 제도 설계 필요 개정 개인정보보호법시행령으로 추진하고 있는 마이데이터 본인전송요구권 확대 적용이 국내 데이터 산업에 대한 투자 위축과 성장 저하를 초래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뿐만 아니라 영업비밀과 핵심 기술

By CheifEditor
아우토크립트, AWS 소프트웨어 파트너 자격 획득

아우토크립트, AWS 소프트웨어 파트너 자격 획득

💡Editor's Pick - 클라우드 기반 SaaS 보안 솔루션 본격화 - “차량 사이버보안 규제 대응, SaaS가 대안으로” 자동차 사이버보안 기업 아우토크립트는 자사 자동차 보안 분석 소프트웨어 ‘아우토크립트 CSTP 퍼저(AutoCrypt CSTP Fuzzer)’가 ‘기본 기술 검증(FTR)’을 통과하고, AWS 공식 소프트웨어 파트너 자격을 획득했다고 20일 밝혔다. CSTP 퍼저는

By CheifEdi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