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통위, 불법 촬영물 18만건 삭제..."사업자 책임 강화"

방통위, 불법 촬영물 18만건 삭제..."사업자 책임 강화"
[이미지: AI Generated by TheTechEdge]
💡
Editor Pick
- 총 23만 1,261건 불법 촬영물 신고 접수, 18만 1,204건 삭제·차단 조치
-전년 대비 신고, 59.7%, 삭제·차단 122.1% 증가

네이버, 구글, 카카오 등 국내외 주요 인터넷 사업자들이 지난해 성 착취물 등 불법 촬영물 약 18만 건을 삭제·차단한 것으로 나타났다.

방송통신위원회(위원장 이진숙)는 4일 '2024년도 불법 촬영물 등의 처리에 관한 투명성 보고서'를 공개했다. 이번 보고서는 네이버, 카카오, 구글, 메타 등 81개 인터넷 사업자가 성적 허위 영상물, 아동·청소년 성 착취물 등 불법 촬영물 처리 현황을 담고 있다.

[이미지: 방송통신위원회]

불법 촬영물 신고 및 삭제 '급증'…AI 기술 악용 범죄 우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인터넷 사업자들은 이용자 및 대리 신고·삭제 기관으로부터 총 23만 1,261건의 불법 촬영물 신고를 접수 받아 이 중 18만 1,204건을 삭제·차단 조치했다. 이는 전년 대비 신고 건수는 59.7%(8만 6,448건), 삭제·차단 건수는 122.1%(9만 9,626건) 증가한 수치다.

이처럼 삭제·차단 실적이 크게 늘어난 배경에는 디지털 성범죄에 대한 시민 의식이 높아지면서 신고가 활성화된 점과 함께, 인터넷 사업자들이 해당 정보의 삭제 등 유통 방지 조치에 더욱 적극적으로 나선 점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이번 보고서는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에 따른 촬영물, 복제물, 편집물, 합성물, 가공물 등과 '아동·청소년 성보호에 관한 법률'에 따른 아동·청소년 성 착취물 등의 유통 방지 노력 및 조치 현황을 투명하게 공개했다.

사업자별로 ▲불법 촬영물 등 신고 접수 및 처리 결과 ▲유통 방지를 위한 노력 ▲유통 방지 관련 절차 마련·운영 ▲유통 방지 책임자 배치 및 교육에 관한 사항을 확인할 수 있다.

방통위, "안전한 사회 조성 위한 사업자 책무 다해야"

이진숙 방통위원장은 "인공지능 서비스의 급격한 발전에 따라 딥페이크 등 첨단 조작 기술을 활용한 성범죄 피해가 급증하고 있어 2차 피해 예방을 위한 인터넷 사업자의 유통 방지 노력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앞으로도 사업자들이 투명성 보고서를 충실히 작성해 안전한 사회를 조성하기 위한 사회적 책무를 다해주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방통위, 스마트폰 ‘선탑재 앱’ 조사
💡Editor Pick - ‘스튜디오 앱’ 등 금지행위 위반 소지 확인 - 2023~2024년 출시 갤럭시·아이폰 4종 187개 앱 점검 - 이용자 선택권 보호 강화...전기통신사업법 위반 시 법적 조치 예정 방송통신위원회는 2023~2024년 출시된 삼성 갤럭시, 애플 아이폰 등 스마트폰 4종에 선탑재된 187개 앱 점검 결과, 삼성전자의 ‘스튜디오’ 앱이
LG유플러스, 유해 사이트 12만건 차단
‘프리미엄 안심 보상 인터넷 요금제’로 스미싱 사이트 접근 차단 KISA·경찰청 등 협업해 차단 고도화…스미싱 의심 URL 수집에 AI 엔진 도입 예정 LG유플러스가 유해 사이트 접근을 차단하는 인터넷 상품 ‘프리미엄 안심 보상 요금제’를 통해 약 12만건 스미싱 의심 사이트 접속을 차단했다고 9일 밝혔다. 이는 요금제 출시 4개월
쇼핑몰 사칭 피싱 사이트 ‘기승’ 주의
💡Editor Pick - 쇼핑몰 브랜드 스투시, 파타고니아, LFmall 사칭한 피싱 사이트 활개 - 금전 탈취 목적으로 개인정보, 금융정보 등 탈취...피싱 등 2차 피해 주의 - Askurl서 검색 등 악성 피싱 사이트인지 확인하는 보안 습관 중요 최근 쇼핑몰을 사칭한 피싱 사기 사이트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 이용자들은 이러한 피싱 사기 사이트에

Read more

[칼럼] 정보보호공시제 강화로 국내 기업의 정보보호 수준 강화 도모해야

[칼럼] 정보보호공시제 강화로 국내 기업의 정보보호 수준 강화 도모해야

[칼럼 염흥열 순천향대 정보보호학과 명예교수] 최근 지능화되고 조직화된 사이버 공격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모든 산업 부문에 대해 디지털 전환이 진행되고 있고 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이에 따라 공격자 입장에서는 공격의 대상이 되는 기업의 정보시스템의 공격 표면이 전보다 휠씬 많이 넓어졌다. 또한 공격 목적도 금전적 목적을

By CheifEditor
랜섬웨어 조직 ‘헌터스 인터내셔널’ 돌연 해산 선언…복호화 키 무상 배포

랜섬웨어 조직 ‘헌터스 인터내셔널’ 돌연 해산 선언…복호화 키 무상 배포

💡Editor Pick - 랜섬웨어조직 Hunters International 활동 중단 선언 - 활동 중단 선언 - World Leaks 라는 다른 이름으로 활동 정황 2년간 미국 내 주요 기관을 포함해 다수의 피해자를 만들어온 랜섬웨어 조직 ‘헌터스 인터내셔널(Hunters International)’이 활동 중단을 선언했다. 다크웹을 통해 이 같은 소식을 공개한 이들은 피해 기업들을 위한

By CheifEditor
2025년 사이버 침해 사고 유형 TOP4

2025년 사이버 침해 사고 유형 TOP4

💡Editor Pick - 2025년 상반기 침해사고 중 랜섬웨어 1위 - 포털 사이트 피싱 2위, 개인정보 유출 3위 침해사고 발생 -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 서버 등 보안 강화해야 2025년 상반기 침해사고 중 랜섬웨어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서는 포털사이트 피싱, 개인정보유출, 게시글 무단작성 순으로 발생했다. 블루데이타시스템즈에 따르면 2025년 상반기 침해사고

By CheifEditor
특허청, AI기업과 특허 경쟁력 강화 방안 논의

특허청, AI기업과 특허 경쟁력 강화 방안 논의

💡Editor Pick - 특허청, 인공지능기업들과 지식재산 간담회 개최 - AI시장규모 2030년 약 1.4조 달러 연평균 35.7% 수준 성장 - AI분야 특허로R&D 및 해외특허 출원지원 확대 등 논의 특허 경쟁력 강화와 글로벌 진출방안 간담회가 4일 판교이노밸리서 개최됐다. 이번 간담회는 국내 ‘AI 가치사슬’ 내 혁신기업 간의 수직・수평

By CheifEdi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