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中 추정 APT조직, 13개사 이메일 이용자 총226명 피싱 공격

北·中 추정 APT조직, 13개사 이메일 이용자 총226명 피싱 공격
한국 공무원을 타깃으로 한 공격자 로그 화면 [이미지 The Tech Edge]
💡
Editor's Pick
- APT 조직, 정부·기업·보안기업 13개 사이트 이메일 이용자 타깃 피싱
- 대검·KLID·대한민국 공직자 통합 이메일·링네트·방첩사·라온·
- 네이버·다음·한메일·디지털트러스트·인비즈넷·옴니원

데프콘에서 화이트 해커 2명이 공개한 APT 조직의 국내 해킹 파일 파장이 커지고 있다. 중국 또는 북한 추정 해커가 탈취한 9GB 분량에는 총226명 타깃으로 한 피싱 공격 흔적이 포함됐다.

해커의 피싱 공격 타깃은 ▲대검찰청 이메일 이용자 116명, ▲한국지역정보개발원 이메일 이용자 40명, ▲대한민국 공직자 통합 메일 이용자 19명 ▲링네트 이메일 이용자 11명 ▲방첩사 이메일 이용자 10명 ▲라온 IT그룹 이메일 이용자 10명 ▲라온시큐어 이메일 이용자 9명 ▲한메일 이메일 이용자 4명 ▲디지털트러스트 이메일 이용자 2명 ▲네이버 이메일 이용자2명 ▲다음 이메일 이용자 1명 ▲인비즈넷 이메일 이용자 1명 ▲옴니원 이메일 이용자 1명 총226명이다.

APT조직은 총226명 타깃으로 피싱 공격을 시도했다. 하지만 무슨 피싱 공격인지, 보고서에 공개된 인원 모두 감염됐는지, 일부만 감염됐는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하지만 로그기록이 있는 만큼 타깃 공격임은 분명하다.

한승연 리니어리티 대표는 "공개된 정보를 분석해본 결과, 소스코드 등 일부 정보는 과거에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며, "한국 정부기관 등을 표적 삼아 지속적인 공격을 수행해온 해커 조직의 실체가 이번 정보 공개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드러났단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또한 "공격자 정보 수집 방식과 공격 수행 패턴에 대한 면밀한 분석 바탕으로, 향후 유사한 공격을 사전에 탐지하고, 대응할 수 있는 체계 구축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LG유플러스도 해킹? 데프콘에서 유출파일 공개...통신사 보안 ‘비상’
💡Editor’s Pick - 데프콘에서 공개된 해킹된 국내 데이터중 LG유플러스 포함 - 2023~2025년 2년간 30만건 서버 패스워드 변경 이력 포함 - 해커 로그 서버 해킹...엘지유플러스 사실 확인 중 SKT 해킹 사고가 채 가시기도 전에 LG유플러스 데이터 유출 의혹도 제기돼 통신사 보안에 비상이 걸렸다. 이번에 ‘데프콘(DEF CON)’에서 공개된
한국 정부가 위험하다 해서 알아보니...아직까지 주인공은 해킹 조직
💡Editor’s Pick - 데프콘 현장에서 한 APT 조직의 내부 정보 유출 - 이 APT 조직은 북한이나 중국과 관련 있을 가능성 높음 - 한국 국방방첩사령부와 대검찰청을 턴 APT 조직 화이트햇 해커들을 위한 올림픽이라고 불리는 ‘데프콘(DEF CON)’에 데이터 폭탄이 떨어졌다. 보안 잡지 프랙(Phrack)을 통해 두 명의 해커가 한

Read more

줌 클라이언트와 제록스 프리플로우코어, 초고위험도 취약점 패치

줌 클라이언트와 제록스 프리플로우코어, 초고위험도 취약점 패치

💡Editor's Pick - 줌 윈도용 클라이언트서 초고위험도 취약점 나와 - 제록스 프리플로우코어에서도 심각한 취약점 나와 - 기업용 앱들은 보다 엄격히 관리해야 줌 클라이언트(Zoom Client)와 제록스 프리플로우코어(FreeFlow Core)에서 보안 취약점이 발견됐다. 이 중 초고위험도를 가진 것들도 존재한다. 줌과 제록스 두 회사는 현재까지 발견된 모든 취약점들을

By 문가용 기자
포티넷, 초고위험도 취약점 패치하며 “실제 공격 발생” 경고

포티넷, 초고위험도 취약점 패치하며 “실제 공격 발생” 경고

💡Editor's Pick - 포티시엠에서 초고위험도 취약점 나와 - 실제 공격 있다는 경고도...하지만 구체적 내용은 없어 - 취약점 정보, 덮고 숨기는 게 아니라 공유하고 패치해야 보안 업체 포티넷(Fortinet)이 자사 제품에서 발견된 초고위험도 취약점을 패치하며, 고객들에게 “시급히 적용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이 취약점은 CVE-2025-25256이며, CVSS 기준

By 문가용 기자
안랩, ‘2025년 ICT 중소기업 정보보호 지원사업’ 수요기업 모집

안랩, ‘2025년 ICT 중소기업 정보보호 지원사업’ 수요기업 모집

💡Editor's Pick - 네트워크 보안 솔루션, 중소기업용 SaaS형 보안관리 솔루션 등 공급 - KISA 지역정보보호센터 홈페이지서 11월 말까지 신청 가능 안랩이 ‘2025년 ICT 중소기업 정보보호 지원사업’ 공급기업으로 선정돼, 보안 제품과 서비스를 도입할 수요 기업을 모집한다. 이번 지원사업은 ▲정보보호 컨설팅 및 보안제품 지원 ▲클라우드 기반 보안서비스(SECaaS, Security as

By CheifEdi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