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 공공 AI 전략 - 신뢰 기반 디지털 혁신 5개월 성과

캐나다 공공 AI 전략 - 신뢰 기반 디지털 혁신 5개월 성과
[이미지: AI Generated by TheTechEdge]
💡
Editor Pick
- 캐나다 공공 AI 전략 5개월차, 구체적 성과 가시화
- 농림식품부 AI 챗봇 응답시간 70% 단축
- 만족도 4.2/5점시민 참여 기반 신뢰 구축 모델로 국제적 주목

2025년 8월 기준 지난 3월 4일 발표된 캐나다 공공부문 인공지능(AI) 전략이 시행 5개월째를 맞으며 가시적 성과를 보이고 있다. 연방정부는 인공지능(AI)이 국민을 위한 정부 운영 및 서비스를 크게 개선할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고 판단했으며 윤리적 이슈 등을 고려하여 신뢰, 책임, 투명성을 핵심으로 추진하고 디지털 전환 가속화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전략의 핵심은 네 가지 "▲정부 전반의 AI 정책을 통합 관리할 'AI 전문센터' 설립 ▲안전하고 책임 있는 AI 운용 체계 구축 ▲공직자 대상 AI 역량 강화 ▲정책의 개방성과 투명성을 통한 국민 신뢰 확보"로 전략을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앞서 언급한 핵심 가치를 실현하고자 하는 의지이다.

구체적 성과 사례

캐나다 농림식품부(Agriculture and Agri-Food Canada)는 AI 챗봇을 활용한 농업 프로그램 안내 서비스를 시범 운영하며, 기존 전화 문의 대비 응답 시간을 70% 단축시켰다. 사용자 만족도는 4.2/5점으로 나타났으며, 월 평균 3만 건의 문의를 처리하고 있다. 개발 초기부터 현장 관계자와의 협의를 반복한 결과, 실제 서비스까지 이어진 점에서 신뢰 기반 접근의 효과를 입증했다.

Agriculture and Agri-Food Canada’s AgPal

연방정부 방향성

연방정부는 AI로 세상을 변화하는 가운데, 기술을 신뢰할 수 있고 캐나다인의 이익에 부합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AI 시스템의 책임감 있는 개발과 관리가 여전히 필수적이라 판단, 2019년부터 설치 운영하던 인공지능 자문위원회를 2025 AI 거버넌스 및 안전과 같은 주제에 대한 새로운 관점과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해 자문위원회 위원을 새롭게 구성하고 권한도 확대했다. 나아가 2024년 11월 캐나다 인공지능 안전 연구소를 출범시킨 데 이어 자문 위원회와 연계된 별도의 안전 및 보안 AI 자문 그룹을 출범시켜 AI의 안전성과 보안에 대한 조언을 제공하도록 했다.

캐나다는 AI에 대한 정책과 지원을 고려하기 위해 대기업, 중견기업, 중소기업, 산업 협회, 원주민, 비영리 단체, 고등교육기관, 연구기관의 이해관계자들과의 대면 또는 온라인 회의와 온라인 설문조사와 이메일을 통해 의견 수렴, 캐나다의 AI 분야 경쟁력 확보를 위한 다음과 같은 주제를 발굴했다.

  • 접근 가능하고 저렴한 AI 컴퓨팅 리소스 보장
  • AI 인재 유치 및 유지
  • 고품질 데이터 및 데이터 주권 확보

이를 통해 연방정부는 AI 산업과 연구자들이 합리적인 가격의 최첨단 컴퓨팅 인프라를 이용할 수 있도록 국내 컴퓨팅 용량을 늘리고, 캐나다 AI 생태계를 지원하며, 경제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함께 협력할 것을 명시했다. 또한 데이터와 지적 재산을 보호하는 동시에 기업, 혁신가, 연구자들이 획기적인 연구를 추진하고 캐나다산 AI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위와 같은 맥락에서 현재 캐나다와 함께하는 AI 산업, 캐나다를 거점으로 하는 AI 산업 진출을 고려할 수 있는 시기라 할 수 있다. 더군다나 연방정부뿐 아닌 중소기업의 AI 솔루션 도입을 지원하고 있으므로 넓은 영역의 고객 확보 차원에서 충분히 가치 있는 시장이라 할 수 있다.

이에, SPConsulting 김국현 이사는 "현재 캐나다 산업에서 많은 부분이 아날로그적 성격을 띄고 있으나 IT 서비스 활용도는 높은편으로 앞으로 AI 기술이 효과적으로 녹아들어갈 수 있다고 판단한다."면서 캐나다 시장 진출의 가능성을 높게 평가 했다.

SPONSORED
CTA Image

위 기사는 캐나다 이민 컨설팅 기업 SPConsulting과 함께 기획하여 작성한 기사로 북미 지역에 대한 깊이 있는 소식을 전해드립니다.

Learn more

AI에 1,793억원 추가경정예산안 의결
💡Editor Pick - 공공·의료·제조 분야 ‘AI 대전환’ 본격 추진 총 656억원 예산 투입 - 500억원 AI혁신펀드 추가 조성...AI 분야 유망 기업 육성 -정보통신기반시설 대상 고위험 취약점 관리체계 강화 67.4억원 -생성형 AI 기반 침해 대응체계 50억원, 인터넷 경로 보안체계 30억원 국회 본회의서 총 1,793억원 규모의 인공지능(
AI 기술 고도화에 해킹 공격도 ‘고도화’
인공지능(AI) 기술이 고도화될수록 AI 기술을 이용한 해킹 공격도 심화되는 양상이다. 북한·러시아·이란·중국 등과 같은 국가배후 해킹 조직은 챗GPT를 활용하거나, 가상자산 탈취 목적의 범죄 조직은 AI를 활용해 일반인 가상 자산을 노린다. 뿐만 아니라 생성형 AI는 악성코드 개발에도 활용된다. 2025년 하반기에는 이러한 AI 기반 공격이 더욱 고도화할 것으로 보인다.

Read more

샤이니헌터즈와 스캐터드스파이더, 손 잡았나?

샤이니헌터즈와 스캐터드스파이더, 손 잡았나?

💡Editor's Pick - 두 유명 해킹 조직, 협력하는 듯 - 상호보완적 스킬셋 보유, 파괴력 막강할 것 - 아직 확인된 내용 아니지만, 보안 전문가들 다수가 수긍 사이버 범죄 집단 샤이니헌터즈(ShinyHunters)와 스캐터드스파이더(Scattered Spider)가 손을 잡은 것 같다는 조사 결과가 나오고 있다. 이들은 연합하여 세일즈포스(Salesforce) 고객들을

By JustAnotherEditor
자동차 제조사 딜러 포털 취약점, 원격 차량 제어 가능성 제시

자동차 제조사 딜러 포털 취약점, 원격 차량 제어 가능성 제시

한 보안 연구원이 대형 자동차 제조사의 온라인 딜러 포털에서 중대한 보안 허점을 발견했다. 이 결함은 고객 개인정보와 차량 데이터 노출을 넘어, 공격자가 차량 원격 제어 기능을 악용해 도어 잠금 해제 등 일부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수준이었다. 제조사 이름은 공개되지 않았으나 다수의 인기 서브 브랜드를 보유한 유명 업체로 알려졌다. 취약점을

By Senior Editor, Donghwi Shin
국가정보원 3차장, 김창섭 국정원 과학기술부서장 임명

국가정보원 3차장, 김창섭 국정원 과학기술부서장 임명

💡Editor's Pick - 이재명 대통령 13일, 10개 기관 차관급 인선 단행 - 김창섭 3차장, 국정원 과학기술부서장 거쳐 기술개발부서 단장 역임 국가정보원 3차장으로 김창섭 국정원 과학기술부서장이 임명됐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브리핑을 통해 이 대통령이 "10개 기관 차관급 인선을 단행했다"고 밝혔다. 이재명 대통령은 13일 문화체육관광부 1차관에 김영수

By CheifEditor
손기욱 사이버안보학회장, "현 국정 과제, AI 사이버 보안 추가 반영될 것"

손기욱 사이버안보학회장, "현 국정 과제, AI 사이버 보안 추가 반영될 것"

💡Editor's Pick - '2025 한국사이버안보학회 기술정책연구위원회 하계 워크숍' 개최 - 새로운 국가망 보안 체계 N2SF중심으로 국가 기반 시설 보안 강화 논의 현 정부 국정 과제서 AI 사이버 보안이 추가 반영될 전망이다. 국가 기반 시설 보호 강화와 안전한 디지털 대한민국을 위해선 보안이 필수기 때문이다. 13일 여수 베네치아

By CheifEdi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