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해커, SharePoint 제로데이 악용…CISA 긴급 경보

中 해커, SharePoint 제로데이 악용…CISA 긴급 경보
💡
Editor Pick
- CISA, Microsoft SharePoint 취약점 KEV 추가 및 조치 의무화
- Linen Typhoon, Violet Typhoon에 의해 악용

미국 사이버안보국(CISA)이 7월 22일, Microsoft SharePoint 서버의 치명적 보안 취약점 2건을 ‘악용 확인 취약점(KEV)’ 목록에 추가했다. 대상은 CVE-2025-49704와 CVE-2025-49706으로, 이미 실제 공격에서 사용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미국 연방 민간기관(FCEB)에는 7월 23일까지 해당 취약점에 대한 조치가 의무화됐다.

문제의 두 취약점은 각각 코드 역직렬화와 인증 우회를 통한 원격 코드 실행(RCE) 취약점으로, 함께 악용될 경우 인증된 사용자가 아닌 이도 내부 SharePoint 서버에 접근할 수 있다. CISA는 이들 결합 취약점이 ‘ToolShell’로 알려진 공격 체인에 활용되고 있다고 밝혔다.

Microsoft는 해당 취약점이 최소 7월 7일부터 중국 국적 해킹 조직 Linen Typhoon과 Violet Typhoon에 의해 악용됐다고 공식 발표했다. 이들은 온프레미스 SharePoint 서버에 침투해 인증 토큰과 암호화 키를 탈취, 장기적인 권한 상승과 후속 공격에 사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공격은 인증이 없는 상태에서도 공격을 가능하게 하는 CVE-2025-53770과 연계된다. Microsoft는 해당 취약점이 CVE-2025-49704와 49706의 패치 우회를 통해 구성된 것으로 분석했다. 53770의 핵심은 ToolPane.aspx 파일의 ViewState 처리 취약점으로, 공격자는 정교한 페이로드를 통해 인증 없이 원격 명령 실행이 가능하다.

Microsoft 측은 “최초 공개 당시의 정보는 정확하며, 이후 별도 업데이트는 일반적으로 진행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그러나 CISA와의 협력을 통해 KEV 목록에는 지속적으로 최신 악용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보안 기업 watchTowr는 해당 취약점을 이용해 Microsoft가 권장한 방어책인 AMSI(안티맬웨어 스캔 인터페이스)를 우회하는 방법을 자체 개발했다고 밝혔다. CEO 벤자민 해리스는 “일부 기관이 패치 없이 AMSI 활성화만으로 안심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다”며 경고했다.

전문가들은 이미 국가 수준 해킹 그룹이 개입한 만큼, 단순한 방어로는 위험을 줄이기 어렵다고 입을 모은다. 악성 페이로드 대부분이 AMSI를 무력화하기 때문에, 패치 적용과 함께 암호화 키 회전 및 웹셸 탐지 등 다계층 방어가 필수라는 조언이 나온다.

이번 공격은 과거 SolarWinds 사태와 유사하게, 정교한 인증 우회와 장기 침투를 특징으로 한다. 특히 SharePoint Server는 기업 내부 시스템과 연계된 경우가 많아, 침투 이후 영향 범위가 광범위할 수 있다.

CISA는 악용 사례가 지속적으로 확인되고 있으며, SharePoint Online은 영향이 없지만, 온프레미스 버전 사용자들은 즉시 패치를 적용하고, 키 재설정과 탐지 정책 강화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중국 해킹 그룹 ‘실크타이푼’ 일원 체포
💡Editor Pick - 중국 해킹 그룹 실크타이푼 일원 추정 쉬저웨이 체포 - 다양한 국가 산업 대상으로 제로데이 및 엔데이 취약점 악용 공격 현지시간 지난 3일, 이탈리아 밀라노 말펜사 공항서 중국 연계 해킹 그룹 ‘실크타이푼(Silk Typhoon, UNC5221) 일원으로 추정되는 ‘쉬저웨이(Xu Zewei, 33세)’가 체포됐다. 구글 위협 인텔리전스 그룹(Google
[칼럼] 100km 위에서 얼굴 식별? 중국 스파이 위성 충격
“100km 위에서 얼굴 식별가능? 중국 스파이 위성 충격적 발전과 우리의 과제” [최성환 한화시스템 전문위원/전 공군 우주센터장] 최근 중국이 저궤도에서 사람의 얼굴 특징까지 식별 가능한 강력한 스파이 위성을 개발했다는 소식은 전 세계 우주안보 전문가들에게 큰 충격을 안겨주고 있다. 이는 단순히 우주기반 관측위성의 감시 역량 향상을 넘어, 미래 정보전의 판도를 바꿀

Read more

MS의 ‘앱 간 상호작용 활성화’ 기술, 코요테 공격자가 악용

MS의 ‘앱 간 상호작용 활성화’ 기술, 코요테 공격자가 악용

💡Editor's Pick - MS의 UIA라는 프레임워크, 공격에 활용 가능 - 원래는 이론상 개념이었으나, 누군가 실제로 구현 - 코요테라는 뱅킹 멀웨어가 이 방식으로 퍼짐 MS 셰어포인트가 최근 전 세계 보안 전문가들의 주목을 받고 있는 가운데, MS의 ‘UI 자동화(UI Automation, UIA)’ 프레임워크를 악용하는 새 공격 기법이 발견됐다. 보안 업체

By JustAnotherEditor
해외 기술유출 범죄 증가, 27건 송치...처벌대상 확대 경찰 집중 단속

해외 기술유출 범죄 증가, 27건 송치...처벌대상 확대 경찰 집중 단속

💡Editor Pick - 작년 해외 기술유출 사건 27건 송치, 범죄수익 약 65억원 환수 - 처벌대상 확대, 손해배상 상향 등 '산업기술보호법' 개정 - 경찰, 오는 24일부터 10월 31일까지 100일간 집중단속 최근 빠르게 해외 기술유출 범죄가 증가하고 있다. 경찰청이 발표한 2024년 해외 기술유출 주요 수사 사례를 살펴보면 작년 한 해

By CheifEditor
토스, ‘모바일 신분증’ 서비스 개시

토스, ‘모바일 신분증’ 서비스 개시

💡Editor Pick - Android·iOS 양대 운영체제 모두 지원…토스 앱서 모바일 신분증 발급 - 페이스패스·페이스페이 연동해 실물 없이 간편한 인증·결제 토스(운영사 비바리퍼블리카, 대표 이승건)는 오늘부터 ‘모바일 신분증’ 서비스를 정식 개시한다고 23일 밝혔다. 모바일 신분증은 개인 스마트폰에 안전하게 저장해 온⋅오프라인에서 모두 사용할 수 있는 실물

By CheifEdi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