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스코 제품에서 발견된 10점짜리 취약점 3개, 조속한 패치 필요

시스코 제품에서 발견된 10점짜리 취약점 3개, 조속한 패치 필요
Photo by Albert Stoynov / Unsplash
💡
Editor's Pick
- 시스코 네트워크 제품 일부에서 3개 취약점 발견됨
- 전부 10점 만점짜리 초고위험도 취약점
- 원격 공격자가 임의 명령 시행할 수 있게 해 줌

시스코 제품에서 발견된 취약점이 실제 해킹 공격에 악용되고 있다고 시스코가 발표했다. 문제의 제품은 ‘아이덴티티서비스엔진(Identity Services Engine, ISE)’과 ‘ISE 패시브아이덴티티커넥터(Passive Identity Connector, ISE-PIC)’이다. 발견된 취약점은 CVE-2025-20281과 CVE-2025-20337, CVE-2025-20282로, 셋 다 CVSS 기준 10점 만점을 받았다.

ISE는 네트워크에 대한 접근을 제어하는 데 사용되는 장비로, 어떤 사용자가 어떤 장비를 이용해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지를 규정하고 관리한다. 이 규정에서 어긋나면 네트워크로 접속할 수 없다. “그런데 이 장비가 침해되면 어떻게 될까요? 무단으로 마음껏 네트워크에 침투할 수 있게 됩니다. 뿐만 아니라 접근 관련 규정도 공격자가 바꿔 후속 공격이 이어지게 할 수도 있습니다.” 시스코 자체 경고문의 내용이다.

취약점들은 다음과 같다.

1) CVE-2025-20281 : 인증되지 않은 원격의 공격자가 루트 권한을 획득해 임의 코드를 실행할 수 있게 해 주는 취약점

2) CVE-2025-20337 : 1)과 동일

3) CVE-2025-20282 : 인증되지 않은 원격의 공격자가 임의 파일을 업로드 함으로써 실행시킬 수 있게 해 주는 취약점

시스코의 설명에 따르면 1)과 2)에 해당하는 취약점은 “사용자가 입력하는 값을 제대로 확인하지 않아서 생기는 문제”라고 하며, 3)은 “업로드 되는 파일을 제대로 확인하지 않아서 생기는 문제”라고 한다. 결국 셋 다 외부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확인하지 않아서 발생한 취약점이라고 할 수 있다.

입력되는 것들을 검증하지 않아서 생기는 유형의 취약점은 유구한 전통을 자랑한다. 소프트웨어 및 서비스 개발에 있어서 기본 중 기본이지만 개발자들이 자꾸만 놓치곤 한다. 해커들도 이를 알고 입력 값을 이리 저리 조작하는 실험을 해보고, 결국 뚫어내는 데 성공한다. 이런 취약점들은 어디에나 있고, 치명적인 사고로 이어질 수 있지만, 대신 패치가 어렵지 않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즉, 개발사의 업데이트만 제 때 해도 사고의 악화를 막을 수 있다는 의미다.

시스코는 “가능한 빨리 수정된 소프트웨어로의 업그레이드가 필요하다”며 “픽스를 하지 않을 경우 고도의 위험에 노출된다는 것을 기억해야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또한 “의심스러운 API 활동이나 무단 파일 업로드 기록이 있는지 확인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밝혔다. 

하지만 시스코는 현재 공격자들이 어떤 기법과 절차를 통해 실제 익스플로잇 공격을 진행하고 있는지는 구체적으로 공개하지 않았다. 충분한 고객들이 픽스를 적용할 때까지 그러한 정보를 비공개로 남겨두는 게 안전하다고 판단하고 있기 때문이다. 어떤 부류의 공격자들이 어떤 식으로 공격을 실시하고 있는지 자체가 중대한 힌트가 될 때도 있다.


취약점 PoC, 공개해야 하나 말아야 하나
💡Editor’s Pick - 파일 전송 솔루션 윙FTP서버에서 10점짜리 취약점 발견됨 - 이 취약점 익스플로잇 하면 원격에서 서버 통째로 장악 가능 - 잠잠했다가 PoC 공개된 이후부터 익스플로잇 시도 극성 파일 전송 기술인 윙FTP서버(Wing FTP Server)에서 초고위험도 취약점이 발견됐다. CVE-2025-47812로, CVSS 기준 10점 만점에 10점을 받았다. 익스플로잇에 성공할 경우 공격자는
새 기관 설립한 영국 NCSC, 취약점 관리 수순 밟나
💡Editor’s Pick - 영국 보안 기관, 취약점 연구 전문 센터 설립 - 이를 통해 내부 연구와 외부 네트워크 형성 강화 계획 - 취약점의 ‘국가적’ 관리, 아직 논란거리 영국의 국가사이버보안센터(NCSC)가 취약점 연구를 전문으로 하는 기관을 새로 설립했다. 이를 통해 보안 취약점을 집중적으로 연구하는 것은 물론, 외부 보안 전문가들과의 인적

Read more

파이선 리포지터리 PyPI에서 고급 악성 패키지 발견돼

파이선 리포지터리 PyPI에서 고급 악성 패키지 발견돼

💡Editor's Pick - soopsocks라는 악성 패키지, 2600번 다운로드 돼 - SOCKS5 프록시 생성 후 여러 악성행위 실시 - 공공 리포지터리의 안전한 활용 위한 대책 도입 시급 파이선 생태계의 코드 리포지터리인 PyPI에서 악성코드가 유포되고 있다는 사실이 발견됐다. 이번 악성 패키지는 일종의 백도어 기능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SOCKS5 프록시 서비스를

By 문가용 기자
오라클 자산 관리 솔루션 노리는 캠페인 성행, 혹시 클롭?

오라클 자산 관리 솔루션 노리는 캠페인 성행, 혹시 클롭?

💡Editor's Pick - 대기업 자산 관리 솔루션 노리는 공격 - 데이터 훔쳤다는 협박 메일로부터 공격 시작 - 배후에 클롭 랜섬웨어 있을 가능성 높아 보여 구글의 보안 자회사 맨디언트(Mandiant)가 최근 새로운 악성 캠페인을 발견해 세상에 공개했다. 배후 세력으로 가장 유력한 건 악명 높은 랜섬웨어 단체인 클롭(Cl0p)

By 문가용 기자
한국서도 사용되는 마일사이트 라우터, 해킹 공격에 노출돼

한국서도 사용되는 마일사이트 라우터, 해킹 공격에 노출돼

💡Editor's Pick - 산업용 셀루러 라우터의 API, 인터넷에 노출돼 - 심지어 문자 메시지 열람과 확인까지 가능한 API - 너무 많은 권한을 주는 게 많은 보안 사고의 원인 산업용 셀룰러 라우터를 감염시키는 악성 캠페인이 발견됐다. 배후 세력은 자신들이 점거한 라우터들을 통해 악성 문자 메시지를 발송하고 있다고 한다. 단순 장난

By 문가용 기자
접근 제어 솔루션 원로그인에서 API 관리 부실 취약점 나와

접근 제어 솔루션 원로그인에서 API 관리 부실 취약점 나와

💡Editor's Pick - 원로그인에서 발견된 CVE-2025-59363 - client_secret이라는 민감 정보 노출시켜 - API 관리 개념 부족해서 생긴 취약점 인기 높은 아이덴티티 및 접근 관리 솔루션인 원로그인(OneLogin)에서 심각한 보안 취약점이 발견됐다. 이를 익스플로잇 하는 데 성공한 공격자는 민감한 정보를 가져갈 수 있게 된다고 한다. 해당 취약점에는

By 문가용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