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슬라 차량 데이터 1300여 대 노출… 오픈소스 ‘테슬라메이트’ 서버 무방비 방치

테슬라 차량 데이터 1300여 대 노출… 오픈소스 ‘테슬라메이트’ 서버 무방비 방치
[이미지: AI Generated by TheTechEdge]

테슬라 차량 소유자들이 자가 호스팅 방식으로 운영하는 ‘테슬라메이트(TeslaMate)’ 서버가 전 세계적으로 무방비 상태로 노출돼 민감한 차량 데이터가 고스란히 드러난 사실이 확인됐다. 이번 조사는 사이버보안 기업 소드섹(SwordSec) 창립자인 세이풀라 킬리치(Seyfullah Kiliç) 연구원이 진행했으며, 그는 최근 블로그를 통해 1300개가 넘는 인터넷 공개 테슬라메이트 대시보드를 발견했다고 밝혔다.

테슬라메이트는 오픈소스 기반 차량 데이터 로거로, 차량 소유자가 자신의 컴퓨터나 서버에 설치해 운행 기록과 차량 상태를 시각화할 수 있는 도구다. 충전 기록, 배터리 상태, 차량 온도와 같은 일반적인 데이터는 물론, 차량 속도, 주행 경로, 위치 데이터 등 민감한 정보도 포함된다. 이 때문에 테슬라메이트 서버가 인증 없이 공개될 경우, 차량의 이동 동선과 생활 패턴까지 외부에 그대로 노출될 수 있다.

킬리치는 인터넷을 대상으로 공개된 테슬라메이트 대시보드를 검색한 뒤, 각 차량의 최근 위치 정보와 모델명을 수집해 지도에 시각화했다. 그는 “자신도 모르게 차량의 이동 경로, 충전 습관, 휴가 일정까지 전 세계 누구에게나 공유하고 있는 셈”이라며 위험성을 경고했다.

문제의 심각성은 노출된 서버 수가 급격히 증가했다는 점에서도 드러난다. 지난 2022년에도 보안 연구자가 수십 개의 테슬라메이트 서버가 웹에 노출돼 있다는 사실을 공개했으나, 3년 만에 그 수가 1,300여 개로 급증한 것이다. 이는 단순히 일부 사용자의 실수가 아니라, 보안 설정 부주의가 구조적 문제로 자리 잡고 있음을 보여준다.

테슬라메이트 개발자인 아드리안 쿰프(Adrian Kumpf)는 2022년 당시 TechCrunch와의 인터뷰에서 “공개 접근을 막기 위한 버그 수정이 배포된 바 있으나, 사용자가 서버를 잘못 설정해 인터넷에 노출하는 경우까지는 방어할 수 없다”고 설명한 바 있다. 실제로 오픈소스 프로젝트 특성상, 보안 책임은 사용자에게 전적으로 달려 있는 경우가 많다.

킬리치는 이번 연구의 목적이 단순한 데이터 수집이 아니라 경각심을 주기 위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테슬라 소유자와 오픈소스 커뮤니티가 기본적인 인증이나 방화벽 규칙 없이 민감한 데이터(GPS, 충전, 주행 기록)를 노출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고 싶었다”며, “공개 서버로 테슬라메이트를 운영하려면 반드시 보안 설정을 강화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실제 노출된 데이터는 차량 위치뿐 아니라 소유자의 생활 패턴을 추적하는 데도 악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 습관이나 주행 기록을 통해 집과 직장, 정기적으로 방문하는 장소를 쉽게 파악할 수 있으며, 휴가 기간에는 주거지가 비어 있다는 사실까지 노출될 수 있다. 이는 단순한 개인정보 침해를 넘어 절도나 스토킹 같은 2차 범죄로 이어질 가능성을 높인다.

보안 전문가들은 “사물인터넷(IoT) 기기와 자가 호스팅 서비스 확산으로, 개인이 의도치 않게 민감한 데이터를 외부에 방치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고 지적한다. 특히 차량 데이터는 위치 정보와 결합될 경우 실시간 추적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더 큰 위험을 내포한다.

테슬라 차량 소유자가 테슬라메이트를 안전하게 활용하기 위해서는 ▲서버 접근 시 인증 기능 활성화, ▲공개 네트워크 대신 VPN이나 로컬 환경 활용, ▲방화벽 규칙 설정을 통한 불필요한 포트 차단 등이 필수적이다. 또한 정기적으로 보안 설정을 점검하고, 의도치 않게 서버가 외부에 노출되는지를 확인해야 한다.

이번 사례는 ‘오픈소스’와 ‘자가 호스팅’이라는 장점이 동시에 보안 취약점으로 전환될 수 있음을 잘 보여준다. 사용자가 편의를 위해 보안 설정을 소홀히 하면, 그 결과는 개인의 사생활 침해뿐 아니라 범죄에 악용될 수 있는 대규모 위험으로 이어진다. 전문가들은 “차량 데이터는 단순한 통계가 아니라 ‘개인의 삶 그 자체’와 직결된 민감 정보”라며, 사용자가 보안 의식을 갖고 관리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결국 이번 사건은 “보안은 선택이 아닌 필수”라는 교훈을 다시 한번 각인시켰다. 테슬라메이트 같은 도구를 활용하는 사용자라면, 더 이상 ‘나만의 서버니까 안전하다’는 생각을 해서는 안 된다. 작은 설정 하나의 부주의가 곧바로 개인정보 노출로 이어질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경고이자, 스스로 보안 관리자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는 책임을 일깨운 사례라 할 수 있다.


자동차 제조사 딜러 포털 취약점, 원격 차량 제어 가능성 제시
한 보안 연구원이 대형 자동차 제조사의 온라인 딜러 포털에서 중대한 보안 허점을 발견했다. 이 결함은 고객 개인정보와 차량 데이터 노출을 넘어, 공격자가 차량 원격 제어 기능을 악용해 도어 잠금 해제 등 일부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수준이었다. 제조사 이름은 공개되지 않았으나 다수의 인기 서브 브랜드를 보유한 유명 업체로 알려졌다. 취약점을
[칼럼] 자동차 내부, 해커의 좋은 먹잇감
💡Editor Pick - 자동차 해킹, 해커가 정상 주행 방해 만으로도 목적 달성 - 예상치 못한 복잡한 상황에도 대처할 수 있어야 자율주행 가능 - 유럽, 자동차 사이버보안 가장 먼저 제도화...안전한 대한민국 돼야 [심상규 부사장 아우토크립트 CTO/부사장] 요즈음 기술과 관련하여 근래에 가장 많이 듣는 단어가 AI이다. AI가 상상 이상으로 빠르게

Read more

압축 해제, 패츠 트래버설 취약점 주의!

압축 해제, 패츠 트래버설 취약점 주의!

💡Editor’s Pick - 공격자가 상대경로 사용해 파일 수정, 생성 등 공격할 수 있어 - 사용자가 파일 실행하지 않고 압축 해제만으로도 공격자 악용 가능 사용자 입력을 검증하지 않아 발생하는 패츠 트래버설(Path Traversal) 보안 취약점이 발견됐다. 취약점 공격에 피해를 입지 않도록 기관과 기업은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이 취약점은 공격자가 상대경로

By CheifEditor
'언더그라운드' 랜섬웨어 갱단 '묻지마' 타깃 공격

'언더그라운드' 랜섬웨어 갱단 '묻지마' 타깃 공격

💡Editor’s Pick - 국가와 산업, 기업 규모 상관없이 기업 표적 공격...전세계 확산 추세 - 로컬 환경서 남은 흔적만으론 복호화 할 수 없도록 랜섬웨어 설계 언더그라운드(Underground) 랜섬웨어 갱단이 대한민국을 포함, 전세계 산업 기업들을 타깃으로 랜섬웨어 공격을 가하고 있다. 기업과 기관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언더그라운드 조직의 랜섬웨어는 2023년 7월

By CheifEditor
행안부, '재난정보 전달체계 개선 대책' 발표

행안부, '재난정보 전달체계 개선 대책' 발표

💡Editor’s Pick - '지자체-마을-취약계층' 등 3중 전달망 연결, 재난문자 중복 최소화 - 위급한 상황, 휴대전화 최대볼륨 울리는 긴급재난문자 발송으로 개선 정부가 지자체·마을·취약계층을 연결하는 다층적 재난정보 전달체계를 마련한다. 국민이 재난 상황에서 안전 정보를 받을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그동안 재난문자는 모호한 내용·과다 발송·고령층 미수신

By CheifEditor
보건복지부, '나의건강기록' 앱 의료정보 한 눈에 '확인'

보건복지부, '나의건강기록' 앱 의료정보 한 눈에 '확인'

💡Editor’s Pick - 보건복지부 국가 의료정보 중계 플랫폼 연계 완료 - 상급종합병원 등 1264개 기관 참여, 앱에서 진료·투약 등 정보 확인 - 국가건강검진 결과와 자녀 예방접종, 24시간 운영 병원·약국 정보 확인 ‘나의건강기록’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자신의 의료 정보를 직접 확인할 수 있게 됐다. 보건복지부는 전국 47개 상급종합병원과 ‘건강정보

By CheifEdi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