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 기술포럼', 보건의료데이터 2차 활용 방안 모색

- 개인정보보호 강화기술 통한 보건의료데이터 2차 활용 방안 논의
- 보건의료 데이터 활용 산업 동향, 의료기관 데이터 활용 현황 등 공유
맞춤형 의료 패러다임 도입으로, 민감 의료데이터 활용 가능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데이터 활용과 개인정보 보호 기술‧정책 방향 : 보건의료데이터를 중심으로” 주제로, 10일 무역컨벤션센터서 '개인정보 기술포럼' 공개세미나 개최했다.
정수환 기술포럼 의장 개회사를 시작으로 ▲보건의료 데이터를 활용한 산업 동향, ▲병원 등 의료기관의 데이터 활용 현황, ▲보건의료데이터 관련 개인정보 정책 개선방향 등에 대한 각계 전문가 발표가 진행됐다.
패널토론서 김순석 기술포럼 정책분과장을 좌장으로, “보건의료데이터 안전활용을 위한 법‧제도 정합성 제고 및 P.E.T. 대응방안” 논의가 이뤄졌다. 토론에선 공공·학계·법조계·산업계 등 구체적 사례 바탕으로, 보건의료 데이터 활용 시 애로사항과 기술 해결 가능성에 대한 의견이 오갔다.
최장혁 개인정보위 부위원장은 “건강 증진에 대한 인식 확산 및 기술 발전으로 보건의료데이터의 2차적 활용 수요가 높아졌으나, 민감정보인 보건의료데이터에 대해서는 세심한 접근이 필요하다”라면서, “가명처리 및 다양한 개인정보 보호 강화기술을 활용하여 보건의료데이터의 안전활용 생태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Related Materials
- 미국의 의료 데이터 표준화에서 확산되는 2차 이용과 AI - IRS글로벌, 2024년
- 미국 의료 시스템, AI 활용해 지속가능한 방향으로 진화 - 바이오인, 2024년
- 미국 HHS, 의료정보기술 자금 지원 프로젝트 LEAP 2024년도 의료AI 분야 지원계획 발표, 2024년
- 보건의료 빅데이터의 정책 현황과 과제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3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