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위, 생성형 AI 개발·활용 '개인정보 처리 기준' 공개

개인정보위, 생성형 AI 개발·활용 '개인정보 처리 기준' 공개
[이미지 개인정보보호위원회]
💡
Editor Pick
- 생성형 AI 개발·활용 위한 개인정보 처리 기준 제시
- 생애주기 4단계 나눠 안전조치 제시…최신기술 동향·연구성과 등 반영

생성형 인공지능(AI) 개인정보 안전 처리 기준이 발표됐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6일 서울 중구 정동 1928 아트센터에서 개최한 ‘생성형 인공지능과 프라이버시’ 오픈 세미나에서 안내서가 챗GPT 등 상용 대규모언어모델(LLM) 서비스뿐만 아니라, 라마(Llama) 등 오픈소스 LLM을 활용한 서비스 개발 기업에도 적용 가능하다고 밝혔다.

[이미지 개인정보보호위원회]

① 생성형 AI 개인정보 처리 기준 첫 제정…불확실성 해소 기대
그간 생성형 AI 현장에선 개인정보보호법 적용의 불확실성과 실무 혼선을 해소할 체계적 기준 마련 요구가 꾸준히 제기돼 왔다. 개인정보위는 다양한 민간·전문가 의견수렴과 정책협의회를 거쳐 실질적 가이드라인을 마련, 현장 실무자들이 법적 불확실성을 해소할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② AI 개발 전 생애주기별 단계적 안전조치·관리 지침 제시
안내서는 생성형 AI 개발 및 활용 전 과정을 △목적 설정 △전략 수립 △학습·개발 △적용·관리의 4단계로 구분하고 각 단계별 최소한의 안전조치를 구체적으로 제시했다. 목적 설정 단계에서는 인공지능 개발 목적의 명확화와 개인정보 종류·출처별 적법 근거 확보를 강조하고, 전략 수립단계는 개발 방식별 리스크 평가 및 대응 방안을 안내한다. 학습 및 개발 단계에서는 데이터 오염, 모델 탈옥 등 다양한 리스크에 대비한 다층적 안전장치를 제시하며, 적용 및 관리 단계에서는 정보주체(이용자)의 권리 보장에 초점을 맞췄다. 또한 개인정보보호책임자(CPO) 중심의 거버넌스 구축을 권고하며, 반복적 개선 과정을 거쳐 시스템 고도화를 지향한다는 내용도 담았다.

③ 정책·집행 사례 토대로 AI 개인정보 쟁점 구체적 해법 마련
개인정보위는 개인정보의 AI 학습 활용 법적 기준 등 쟁점에 대해 정책 및 집행 경험을 바탕으로 구체적 해결방안을 안내서에 반영했다. 기존에 준비된 안내자료, 사전실태점검, 규제샌드박스 및 적정성 검토 등 다양한 경험을 통해 현장에 유의미한 사례 중심의 해법을 제시했다. 개인정보위 고학수 위원장은 “명확한 안내서로 실무 현장의 법적 불확실성이 해소될 것으로 기대되며, 앞으로도 프라이버시와 혁신, 두 가치가 조화를 이루도록 정책적 노력을 이어갈 것”이라며 지속적 안내서 개선 의지를 밝혔다.


“AI 에이전트, 내 개인정보 노린다”
💡Editor Pick - AI 에이전트, ① 계획 및 추론 ②메모리 ③도구 활용서 개인정보 침해 - 외부 시스템 연동 시 개인정보 필터링, 전송 정보 최소화 보장 돼야 AI 에이전트 환경서 개인정보 침해 위험이 나타났다. 문제가 되는 AI 에이전트 개인정보 침해 위험은 ① 계획 및 추론 기능, ②메모리 기능, ③도구 활용 기능이다. AI 에이전트
AI 코딩 플랫폼 베이스44에서는 남의 프로젝트도 쉽게 엿볼 수 있어
💡Editor’s Pick - 바이브 코딩 플랫폼 베이스44, 보안 취약 - 기본적인 설정 오류 때문에 타인 프로젝트도 열람 가능 - 인공지능 발전 눈부신데, 보안 인식은 따라오지 못해 인공지능 기반 코딩 플랫폼인 베이스44(Base44)에서 초고위험도 취약점이 발견됐다. 익스플로잇 하는 데 성공할 경우, 사용자가 만든 비밀 애플리케이션 프로젝트에 무단으로 접근할 수 있게
AI 모델 오작동 유발하는 ‘GPUHammer’ 공격…엔비디아 GPU 보안 허점
💡Editor Pick - GPU 메모리의 BitFlip 일으켜 AI 시스템에 영향 미칠 수 있음 - NVIDA 취약점 확인 후, ECC 활성화로 대했지만 GPU 성능 저하 이슈 존재 엔비디아 A6000 GPU의 메모리에서 AI 모델의 정확도를 무력화할 수 있는 하드웨어 취약점이 발견됐다. 캐나다 토론토대학교 연구진이 공개한 이른바 ‘GPUHammer’는 GPU 메모리에 반복 접근해

Read more

서울시 기술교육원, 랜섬웨어 감염...전산실 전담 없어

서울시 기술교육원, 랜섬웨어 감염...전산실 전담 없어

💡Editor Pick - 교직원 출·퇴근 관리 프로그램 설치 원격시스템 PC 랜섬웨어 감염 - 교직원 성명과 지문 데이터, 출퇴근 기록 등 약 6년 간 축적 자료 암호화 작년에 발생한 서울시 D기술교육원 랜섬웨어 감염 사고가 서울시 감사위원회를 통해 뒤늦게 드러났다. 기술교육원 4곳 중 1곳인 D기술교육원은 전산실 보안관리 부실로 PC가 랜섬웨어에 감염됐다.

By CheifEditor
전 세계 해커, 데이터 유출과 랜섬웨어 등 금융권에 '군침'

전 세계 해커, 데이터 유출과 랜섬웨어 등 금융권에 '군침'

💡Editor Pick - 금융권 노린 데이터 유출, 랜섬웨어 감염, 디도스 등 사이버 공격 기승 - 접근제어 강화, 고객 정보와 내부 자료 분리 저장, 백업 강화해야 금융권을 노린 데이터 유출, 랜섬웨어 감염, 디도스 공격 등 사이버 공격이 기승을 부리고 있다. 보험사, 은행 등 전 세계적으로 금융권을 타깃으로 한 공격이 곳곳에서 발생하고

By CheifEditor
배경훈 과기정통부 장관, 보이스피싱 피해 예방에 AI활용 주문

배경훈 과기정통부 장관, 보이스피싱 피해 예방에 AI활용 주문

💡Editor Pick - “보이스피싱 등 디지털 범죄, AI 기술 활용해 민·관 협력할 것” 강조 - 보이스피싱 예방에 실질 효과 나타나도록 고도화와 홍보 당부 보이스피싱 피해 예방 근본 대책 모색 자리가 마련됐다.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8일 오전, KT 광화문 사옥서 열린 보이스피싱 대응 현장간담회서 보이스피싱 예방을 위해 AI활용을 주문했다. 배경훈

By CheifEditor
모니터랩, 웹 공격 트렌드 및 보안 대응 전략 제시

모니터랩, 웹 공격 트렌드 및 보안 대응 전략 제시

💡Editor Pick - 국내·글로벌 웹 공격 트렌드·대응 전략, 매월 웹 공격 동향 보고서 발간 - 고객사 인프라 로그 데이터 수집, 위협 정보 반영 보안 인사이트 제공 웹 애플리케이션 보안 기업 모니터랩은 국내 및 글로벌 웹 공격 트렌드와 대응 전략을 매월 웹 공격 동향 보고서를 통해 정기적으로 제공하고 있다고

By CheifEdi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