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위, 생성형 AI, 개인정보 처리 안내서 어떤 논의했나?

개인정보위, 생성형 AI, 개인정보 처리 안내서 어떤 논의했나?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8일 오후 서울 서초구 서울 AI 허브에서 AI 프라이버시 민·관 정책협의회 전체회의를 개최했다.[이미지: 개인정보위원회]
💡
Editor Pick
- AI 프라이버시 민·관 정책협의회 제4차 전체회의 개최
- 프라이버시 리스크 진단 최신 기술 및 우수 사례 비교·분석 결과
- AI에 내재된 프라이버시 리스크 진단·평가 프레임워크 구축 방안 공유

인공지능(AI) 시대에 필요한 개인정보보호 체계 선진화하기 위해 민·관이 머리를 맞댔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8일 서울 AI 허브에서 인공지능 프라이버시 민·관 정책협의회 제4차 전체회의를 열고, AI 프라이버시 리스크 진단 및 인증 방안 연구와 생성형 AI 개발·활용을 위한 개인정보 처리 안내서(안)에 대해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번 전체회의서 김병필 카이스트 교수(정책협의회 1분과장)는 AI 프라이버시 리스크에 대한 구체적 진단과 인증 방안에 대해 제언했다.

이 자리에서는 프라이버시 리스크 진단 최신 기술 및 우수 사례 비교·분석 결과와 AI에 내재된 프라이버시 리스크를 진단·평가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 구축 방안 관점을 공유했다.

개인정보위는 이날 제시한 의견을 검토·반영하고, 후속 정책연구를 추진해 향후 AI 프라이버시 리스크에 대한 구체적인 방법론을 마련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생성형 인공지능 개발·활용을 위한 개인정보 처리 안내서(안)도 논의했다.

안내서는 생성형 AI 수명주기 각 단계서 개인정보 처리 및 보호를 위해 고려해야 할 적법성·안전성 확보 기준 등을 소개하고, 생성형 AI 개발·활용에 개인정보 보호 관점이 반영될 수 있도록 했다.

특히, 실무 현장에 적용할 수 있도록 ▲생성형 인공지능 관련 개인정보 보호법 주요 내용 ▲인공지능 개인정보 처리 안내서 ▲조사·처분 등 집행 사례 ▲규제샌드박스 등 혁신지원 사례를 포함한 그동안의 정책적 경험을 활용해 인공지능 개발·구현 단계에 맞춰 도출한 개인정보 처리 및 보호 관련 고려 사항을 알기 쉽게 안내했다. 또한, 미국·영국·유럽연합(EU) 등 주요국 최신 정책자료를 참고해 국제적 흐름도 반영했다.

개인정보위는 이번 전체회의 논의에서 제시된 시민단체, 관계부처, 전문가들의 의견을 반영해 생성형 인공지능 개발·활용을 위한 개인정보 처리 안내서를 이달 말까지 마련할 계획이다.

고학수 개인정보위 위원장은 "안전한 가드레일 구축은 신뢰할 수 있는 인공지능 발전의 선결 조건이며, 이러한 전제를 바탕으로 인공지능 혁신을 위한 프라이버시와 프라이버시를 위한 인공지능 혁신이라는 두 과제가 상호 발전적인 관계 속에서 기술 수용성과 사회적 신뢰를 높이는 기제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개인정보위, ‘2025년 공공기관 개인정보 보호수준 평가’ 설명회 개최
💡Editor Pick - ‘개인정보 영향평가’ 제도 설명, 제도 개선 사항, 기관 대응 방향 안내 - ‘보호수준 평가’ 운영계획과 절차, 평가지표, 우수사례, 질의응답 개인정보보호위원회(위원장 고학수, 이하 ‘개인정보위’)는 4일 오후2시에 서울시 양재동 aT센터서 중앙부처,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의 개인정보 보호 업무 담당자 400여 명 대상으로 ‘2025년 공공기관 개인정보 보호수준 평가’ 현장 설명회를
개인정보위-KISA, ‘문화·여가 마이데이터 관계기관 간담회’ 개최
💡Editor Pick - 마이데이터 관계기관 간담회 : 정보주체 전송요구권 정보기준안 마련 - 데이터 주권 실현, 안전한 활용 및 맞춤형 혜택 제공 고용 부문, 문화여가 부문 마이데이터 관계기관 간담회 개최 하반기 중 정보주체 전송요구권 확대 위한 부문별 정보기준안 마련 개인정보보호위원회(위원장 고학수, 이하 ‘개인정보위’)와 한국인터넷진흥원(원장 이상중, KISA)이 올 하반기
개인정보위, 오송서 개인정보 제도 설명회 개최
💡Editor Pick - 알기 쉬운 법령 해석, 공공기관 평가제, 마이데이터·가명정보 제도 안내 - 현장 중심 법령 해설과 질의응답, 개인정보보호수준 평가제 설명 - 마이데이터 및 가명정보 제도·컨설팅 제공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27일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서 기업과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찾아가는 개인정보 현장 설명회’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개인정보 및 마이데이터 주요 정책 안내와 함께,

Read more

KISA-ICANN, 2025년 아태지역 인터넷거버넌스 아카데미 성료

KISA-ICANN, 2025년 아태지역 인터넷거버넌스 아카데미 성료

💡Editor Pick - 아태지역 차세대 인터넷거버넌스 전문가 양성 위해 교육 - 인터넷주소자원 및 거버넌스 개념과 최신 이슈 국제기구 임원진 강의 한국인터넷진흥원은 국제인터넷주소기구(ICANN)와 함께 차세대 인터넷거버넌스 전문가 양성을 위한 ‘2025년 아태지역 인터넷거버넌스 아카데미(APIGA)’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APIGA(Asia-Pacific Internet Governance Academy)는 2016년부터 아태지역 차세대 인터넷거버넌스 전문가 양성을

By CheifEditor
KISIA, '정보보호 개발자 해커톤' 성료

KISIA, '정보보호 개발자 해커톤' 성료

💡Editor Pick - AI 기반 보안 서비스 개발 주제, 전국 대학생 대상 무박 2일 해커톤 진행 - 최우수상, LLM 기반 의미 분석 통한 지능형 파일 유출 방지 시스템 개발 한국정보보호산업협회(KISIA)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2025 제3회 KISIA 정보보호 개발자 해커톤’을 성료했다고 밝혔다. 20일부터 21일까지 무박 2일간 서울 스페이스쉐어 중부센터에서 진행된

By CheifEditor
북 추정 해커 역추적한 해커들, “불법이지만 폭로해야 했다”

북 추정 해커 역추적한 해커들, “불법이지만 폭로해야 했다”

💡Editor Pick - 국가 배후 해커 일상과 운영 방식 엿볼 수 있는 새로운 단서 제공 - 국가 차원의 공격자조차 다른 해커의 표적이 될 수 있는 사례 - 불법 해킹과 내부 폭로라는 경계가 가져오는 윤리적 논란 북한 추정 해커 시스템에 접근한 ‘세이버(Saber)’와 ‘사이보그(cyb0rg)’는 ‘프랙(Phrack)’ 잡지에 자신들의

By CheifEditor
구글 클라우드, AI 지원 보안 신 기능 발표

구글 클라우드, AI 지원 보안 신 기능 발표

💡Editor's Pick - AI 에이전트 맞춤형 필수 보안 기능으로 실시간 위협 탐지 및 방어 강화 - AI 에이전트 기반 자율형 보안관제센터, 맨디언트 컨설팅 서비스 확대 구글 클라우드가 현지 시간 20일 온라인으로 진행된 ‘구글 클라우드 시큐리티 서밋 2025(Google Cloud Security Summit 2025)’에서 AI 혁신을 지원하는 보안 신기능을

By CheifEdi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