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보안원, 금융권 SW 공급망 보안 플랫폼 구축

금융보안원, 금융권 SW 공급망 보안 플랫폼 구축
[이미지: AI Generated by TheTechEdge]
💡
Editor Pick
- 유기적인 취약점 관리·정보공유로 금융권 자율보안 생태계 조성

금융보안원은 올해 하반기 '금융권 소프트웨어 공급망 보안 플랫폼' 구축을 추진한다. 2025년 말에 시범운영, 2026년부터 본격 운영할 예정이다.

 소프트웨어 공급망은 소프트웨어 개발, 배포, 업데이트 전 과정에 관여하는 사람, 조직, 기술 요소 등을 포함하는 상호 연결된 체계다.

IT 침해사고 최초 진입점 또는 피해 확산점인 SW 취약점을 통합 관리하고 정보를 공유, 사이버 위협에 선제적으로 대응 및 금융권 자율 보안 역량 강화를 목표로 한다.

취약점은 가상사설망 장비(VPN)의 로그인 시도 횟수 무제한 취약점, 모바일 기기 관리 솔루션(MDM)의 인증우회 및 원격명령실행 등이다.

플랫폼은 SW 공급망 전반의 위협을 실시간으로 식별하는 보안 가시성을 확보하고, 선제적으로 위협에 대응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기 위해, ▲금융권 취약점 통합관리, ▲SBOM 관리체계, ▲버그바운티 운영 효율화 기능 등을 제공한다.

금융권 취약점 통합관리는 SW 주요 취약점에 대해 보안 패치의 개발부터 적용까지 전 과정을 원스톱으로 지원한다. 플랫폼을 통해 통제된 방식으로 취약점 정보를 신속하게 공유함으로써 ‘패치 갭(보안패치 적용까지의 시간 차이)’ 최소화를 기대한다.

SBOM 관리체계는 금융사가 사용하거나 금융소비자에게 배포하는 SW에 대한 SBOM관리체계를 마련한다. SBOM(Software Bill of Materials)은 SW를 구성하는 모든 부품과 그 공급자, 구성 요소 간의 의존관계 등을 기록한 정보로, 소프트웨어의 DNA와 같은 자료를 말한다. SBOM 관리체계를 마련해 새로운 취약점 발견 시 금융권 영향을 신속하게 분석 및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다음으로 버그바운티를 운영한다. 취약점 제보자에게 보상을 지급하는 버그바운티를 운영으로, 금융권 SW 제로데이 취약점을 식별한다. 제로데이 취약점은 SW 개발사가 아직 인지하지 못했거나, 인지했더라도 패치나 해결책이 마련되기 전이라서 공격자가 먼저 악용할 수 있는 보안 취약점이다. 버그바운티 운영을 통해 보안 사각지대 최소화와 더불어 취약점 발굴 문화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금융보안원은 금융사, SW 개발사, 화이트해커 등 모든 이해관계자가 ‘보안 파트너’로서 협력하고, 참여할 수 있는 오픈 플랫폼 형태의 ‘공급망 보안 자율 생태계 조성’을 기대한다. 이와 함께 금융감독원, 한국인터넷진흥원 등 유관기관과도 SW 공급망 보안 정보 공유 및 협력을 지속 강화할 계획이다.

박상원 금융보안원장은 “디지털 금융의 안전은 더 이상 개별 회사의 노력만으로는 지킬 수 없으며, 공급망 전체가 협력하여 원팀(One-Team)으로 대응해야 한다”며 “안전한 금융권 SW 공급망 보안 생태계 조성을 위하여, 높은 전문성과 신뢰성을 바탕으로 참여사들이 자율적인 보안 역량을 높일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SGI보증보험, 치명적 보안실수..외부 침입할 수 있도록 포트 열어놔”
💡Editor Pick - SGI보증보험, 4월 17일 SSH서비스를 외부 침투할 수 있도록 열어놔 - 포트 변경 미흡, 접근통제 미흡이 해킹 주요 요인으로 ‘지목’ SGI보증보험이 해커로 부터 랜섬웨어 공격을 받은 가운데, 외부에서 침입할 수 있도록 포트가 열린 정황이 포착됐다. 지난 4월 17일 SGI보증보험이 사용 중인 VPN안에 SSH서비스가 외부에서 접속할 수 있도록 열려있었던
금융보안원, 보안평가…AI·클라우드 안전 확보
💡Editor Pick -총 83건 보안대책 평가, 진행해 금융회사 신뢰 확보 -패스트트랙 운영으로 평가 효율성 극대화 -모범·미흡 사례 공유로 실무자 역량 강화 금융권 망분리 규제 특례 허용으로 금융사 내부망에서 생성형 AI 등을 활용할 경우 서비스 개시 전 예상되는 보안 리스크 대책 수립과 금융보안원 등으로부터 확인받은 결과를 제출해야 한다. 이와 관련
금융권 노린 랜섬웨어, 6월 폭발 증가
💡Editor Pick - 금융권, 6월 세스템 제어 백도어, 시스템 장악 랜섬웨어 악성코드 기승 - 해커 원더, 다크웹서 금융권 개인정보 판매 - 랜섬웨어 그룹 에버레스트, 요르단 은행 해킹 주장 금융권을 노린 악성코드가 기승을 부리고 있어 이용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안랩이 발표한 ‘금융권 대상 유포 악성코드 통계’에 따르면 공격 1단계인 초기 침투에선

 

Read more

한국 정부가 위험하다 해서 알아보니...아직까지 주인공은 해킹 조직

한국 정부가 위험하다 해서 알아보니...아직까지 주인공은 해킹 조직

💡Editor's Pick - 데프콘 현장에서 한 APT 조직의 내부 정보 유출 - 이 APT 조직은 북한이나 중국과 관련 있을 가능성 높음 - 한국 국방방첩사령부와 대검찰청을 턴 APT 조직 화이트햇 해커들을 위한 올림픽이라고 불리는 ‘데프콘(DEF CON)’에 데이터 폭탄이 떨어졌다. 보안 잡지 프랙(Phrack)을 통해 두 명의

By JustAnotherEditor
나온 지 얼마나 됐다고... GPT-5 탈옥 벌써 성공

나온 지 얼마나 됐다고... GPT-5 탈옥 벌써 성공

💡Editor's Pick - GPT-5 탈옥에 성공한 보안 업체 - 이야기 빙빙 돌려 설득 거듭하면 위험한 답변 내놓아 - 인공지능 탈옥법은 다양하게 개발되는 중 오픈AI(OpenAI)가 최근 발표한 GPT-5를 겨냥한 탈옥 공격 기법이 벌써 발견됐다. 발견자는 생성형 인공지능 보안 플랫폼인 뉴럴트러스트(NeuralTrust)의 연구원들로, 이미 널리 알려진 에코챔버(

By JustAnotherEditor
김현우·이원기 티오리 연구원, 취약점 시상 'Pwnie 어워드' 한국 최초 수상

김현우·이원기 티오리 연구원, 취약점 시상 'Pwnie 어워드' 한국 최초 수상

💡Editor Pick - CVE‑2024‑50264 취약점 연구로 한국 최초 수상 영예 안아 - "포니 어워드 수상, 전세계 해커들에게 인정받아 큰 보상 받은 느낌" 김현우, 이원기 티오리 연구원이 현지시각 9일 오전 10시경 라스베가스서 열린 최대 해킹 콘퍼런스 데프콘(DEF CON)내 취약점 시상식인 '포니 어워드(Pwnie Awards)

By CheifEditor
정상 프로젝트 위장, 깃허브 저장소 통해 악성코드 유포

정상 프로젝트 위장, 깃허브 저장소 통해 악성코드 유포

💡Editor Pick - 게임 핵, 소프트웨어 크랙, 자동화 도구 검색시 깃허브 저장소 상단 노출 - 정상 프로젝트 위장 제작...감염된 PC 스크린샷, 시스템 정보 등 탈취 최근 깃허브(Github) 저장소를 통해 스마트로더(SmartLoader) 악성코드 유포가 포착됐다. 개발자와 이용자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해당 저장소들은 정상 프로젝트로 위장해 정교하게 제작됐다. 주로 게임 핵,

By CheifEdi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