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부 부총재, "AI 미래, 우리가 만드는 선택에 달려"

김상부 부총재, "AI 미래, 우리가 만드는 선택에 달려"
[이미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Editor Pick
- 디지털·인공 지능 연결성과 복원력 강화 중요성 강조
- AI와 디지털 기술 격차 해소와 사회적 회복력 향상 논의
- 디지털 공공서비스 혁신 통해 포용적인 디지털 사회 실현 논의

디지털·인공 지능 연결성과 복원력 강화 중요성, 디지털 기술 격차 해소, 포용적인 디지털 사회를 위한 논의가 진행됐다.

5일 인천 쉐라톤 그랜드 호텔서 개최된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sia Pacific Economic Cooperation) 국제 디지털· 인공 지능 토론회에선 정보 공유, 정책 혁신, 디지털·인공 지능 역량 강화 등 촉진 논의가 이뤄졌다.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의 혁신적인 디지털·인공 지능 미래를 위한 준비’를 주제로 열린 토론회는 △연결성, △포용, △혁신 등 3개 분과로 구성됐다. 배경훈 과기정통부 장관의 개회사를 시작으로 김상부 세계은행 부총재 및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사무국장의 축사가 이어지며 막을 열었다. 

김상부 세계은행 디지털 전환 초대 부총재는, “인공 지능의 미래는 아직 정의되지 않았다. 인공 지능이 포용적 사회로 이끄는 동력이 될지, 사회적 분열을 가속화할지는 오늘 우리가 만드는 선택에 달렸다”며, “세계은행은 인공 지능 격차를 해소하고, 더 포용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복원력 있는 모두를 위한 디지털 미래를 구축하기 위하여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회원경제와 협력할 수 있어 기쁘다"고 덧붙였다.

첫 번째 분과에선 디지털·인공 지능 연결성과 복원력 강화의 중요성이 강조됐다. 송상훈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정책실장의 기조연설을 시작으로, 케이시 토거슨 세계은행 전문관리자의 사회로 진행된 참여자 토론에선 인공 지능과 디지털 기술이 어떻게 디지털 격차를 해소하고 사회적 회복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지에 대해 깊이 있는 논의가 이어졌다. 참여자에는 윌슨 화이트 구글 공공정책부문 부사장, 양승현 SK AI R&D 센터장, 페이 칸 청 대만 CyCraft Technology 창립자, 압둘 카림 파키르 빈 알리 말레이시아 통신멀티미디어위원회(MCMC) 전무, 김영훈 아마존웹서비스(AWS) 한&일 정책협력 총괄부사장이 참여하여 다양한 관점에서 논의가 진행됐다.

두 번째 분과에선 디지털 공공서비스 혁신을 통해 포용적인 디지털 사회를 어떻게 실현할 수 있을지에 대한 심도 깊은 논의가 이어졌다. 쑹 지준 중국 산업정보화부 차관의 기조연설 후, 고윤석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글로벌협력본부장의 진행으로 참여자 토론이 진행되었다. 참여자에는 김득중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부원장, 제이슨 알포드 세계은행 한국사무소장, 샌디 쿤바타나간 오픈AI 아태정책총괄, 배민 LG CNS 전무가 참여, 디지털 공공서비스가 어떻게 사회적 불평등을 해소하고 모두에게 혜택을 제공할 수 있는지에 대한 깊은 통찰이 공유되었다.

세 번째 분과서는 세계적 도전과제 해결을 위해 어떻게 인공 지능 혁신을 장려할 수 있을지 논의가 이어졌다. 마이클 크라치오스 미국 백악관 과학기술정책실장의 기조연설로 시작된 이번 분과에서는 인공 지능 기술이 사회적 과제 해결을 위한 강력한 도구가 될 수 있음이 강조됐다. 

서민준 한국과학기술원(KAIST) 교수의 진행 하에 앤토니 쿡 마이크로소프트(MS) 대외협력 총괄 수석부사장, 사이먼 밀너 메타(Meta) 아태정책 부사장, 칼리스타 레드먼드 엔비디아(Nvidia) AI 이니셔티브 부사장, 재닛 드 실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기업인자문위원회 디지털·인공지능 단체(AI 그룹) 의장, 신성규 리벨리온 최고재무책임자(CFO) 등이 참여해 국제 공동과제 해결을 위한 인공 지능 활용방안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공유했다.

AI 전시회선 네이버, SKT, 카카오, 이스트소프트, 코난 테크놀로지 등 국내 기업들은 인터넷 기반 자원공유(클라우드) 서비스, 웹페이지 제작시연, 인공 지능 무인 정보 단말기(AI 키오스크), 동시 통역 서비스 등 자체개발 거대언어모형(LLM) 등을 활용한 AI 솔루션과 디지털 혁신 기술을 선보였다.

메타(Meta), 구글(Google), 비자(Visa) 등 세계적 기업도 지능형 착용 기기(스마트 웨어러블 기기), 인공 지능 도우미(AI 어시스턴트), 인공 지능 기반 결제 온라인 체제 기반(플랫폼) 등을 통해 소개했다. 이번 전시회는 산업 전반에 활용되고 있는 인공 지능·디지털 혁신 기술을 조명하며 인공 지능·디지털 생태계의 미래를 가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배경훈 과기정통부 장관은 “이번 토론회는 디지털·인공 지능(AI) 장관회의서의 논의를 이어받아, 국제기구, 공공기관, 세계적 기업이 함께 디지털·인공 지능 혁신 및 대응 전략을 모색한 뜻깊은 자리였다”며 “국제사회의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디지털·인공 지능 미래를 공동으로 설계해 나가는 데 긴밀히 협력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AI 휴머노이드 데이터 경량화 등 융합연구 본격 착수
💡Editor Pick - 6개 신규 과제 선정… 216억 원 투입 - 미래 기술 경쟁력 확보·글로벌 협력 강화 - 친환경·저전력 신기술 개발 집중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인공지능(AI) 휴머노이드 데이터 경량화와 에너지 효율화 등 첨단 융합연구에 본격 착수한다. 사업은 국내·외 최고 연구진의 공동 연구와 미래 신기술 선점, 산업 패러다임 변화를
AI에 1,793억원 추가경정예산안 의결
💡Editor Pick - 공공·의료·제조 분야 ‘AI 대전환’ 본격 추진 총 656억원 예산 투입 - 500억원 AI혁신펀드 추가 조성...AI 분야 유망 기업 육성 -정보통신기반시설 대상 고위험 취약점 관리체계 강화 67.4억원 -생성형 AI 기반 침해 대응체계 50억원, 인터넷 경로 보안체계 30억원 국회 본회의서 총 1,793억원 규모의 인공지능(
AI 모델 오작동 유발하는 ‘GPUHammer’ 공격…엔비디아 GPU 보안 허점
💡Editor Pick - GPU 메모리의 BitFlip 일으켜 AI 시스템에 영향 미칠 수 있음 - NVIDA 취약점 확인 후, ECC 활성화로 대했지만 GPU 성능 저하 이슈 존재 엔비디아 A6000 GPU의 메모리에서 AI 모델의 정확도를 무력화할 수 있는 하드웨어 취약점이 발견됐다. 캐나다 토론토대학교 연구진이 공개한 이른바 ‘GPUHammer’는 GPU 메모리에 반복 접근해

Read more

파이선 리포지터리 PyPI에서 고급 악성 패키지 발견돼

파이선 리포지터리 PyPI에서 고급 악성 패키지 발견돼

💡Editor's Pick - soopsocks라는 악성 패키지, 2600번 다운로드 돼 - SOCKS5 프록시 생성 후 여러 악성행위 실시 - 공공 리포지터리의 안전한 활용 위한 대책 도입 시급 파이선 생태계의 코드 리포지터리인 PyPI에서 악성코드가 유포되고 있다는 사실이 발견됐다. 이번 악성 패키지는 일종의 백도어 기능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SOCKS5 프록시 서비스를

By 문가용 기자
오라클 자산 관리 솔루션 노리는 캠페인 성행, 혹시 클롭?

오라클 자산 관리 솔루션 노리는 캠페인 성행, 혹시 클롭?

💡Editor's Pick - 대기업 자산 관리 솔루션 노리는 공격 - 데이터 훔쳤다는 협박 메일로부터 공격 시작 - 배후에 클롭 랜섬웨어 있을 가능성 높아 보여 구글의 보안 자회사 맨디언트(Mandiant)가 최근 새로운 악성 캠페인을 발견해 세상에 공개했다. 배후 세력으로 가장 유력한 건 악명 높은 랜섬웨어 단체인 클롭(Cl0p)

By 문가용 기자
한국서도 사용되는 마일사이트 라우터, 해킹 공격에 노출돼

한국서도 사용되는 마일사이트 라우터, 해킹 공격에 노출돼

💡Editor's Pick - 산업용 셀루러 라우터의 API, 인터넷에 노출돼 - 심지어 문자 메시지 열람과 확인까지 가능한 API - 너무 많은 권한을 주는 게 많은 보안 사고의 원인 산업용 셀룰러 라우터를 감염시키는 악성 캠페인이 발견됐다. 배후 세력은 자신들이 점거한 라우터들을 통해 악성 문자 메시지를 발송하고 있다고 한다. 단순 장난

By 문가용 기자
접근 제어 솔루션 원로그인에서 API 관리 부실 취약점 나와

접근 제어 솔루션 원로그인에서 API 관리 부실 취약점 나와

💡Editor's Pick - 원로그인에서 발견된 CVE-2025-59363 - client_secret이라는 민감 정보 노출시켜 - API 관리 개념 부족해서 생긴 취약점 인기 높은 아이덴티티 및 접근 관리 솔루션인 원로그인(OneLogin)에서 심각한 보안 취약점이 발견됐다. 이를 익스플로잇 하는 데 성공한 공격자는 민감한 정보를 가져갈 수 있게 된다고 한다. 해당 취약점에는

By 문가용 기자